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마켓인사이트] 금감원 "영구채는 부채로 봐야"…30

[마켓인사이트] 금감원 "영구채는 부채로 봐야"…30兆어치 발행한 기업들 '발칵'


국제회계기준委 의견에 동조

자본 불인정 땐 부채비율 급증
 최종 확정까진 2~3년…결과 주목


▶마켓인사이트 3월 20일 오후 3시55분


  




국내 회계정책을 총괄하는 금융감독원이 금융상품의 자본과 부채 개념을 새롭게 정하고 있는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에  ‘신종자본증권(영구채)은 회계상 자본이 아니라 부채로 봐야 한다’는 취지의 의견을 냈다.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받고 있는 영구채를  부채로 인식하게 되면 부채비율이 급증해 자본잠식에 빠지는 기업이 속출하는 등 파장이 커질 수 있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국내  기업이 발행한 영구채 규모는 30조원에 달한다.

20일 투자은행(IB)과 회계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최근 IASB에 ‘영구채는 자본이 아니라 부채로 인식해야 한다’는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IASB는 금융상품 표시 회계기준(IAS32) 개정 작업을 하면서 회원국 의견을 취합하고 있다. 이 중 쟁점이 된 영구채는 부채 성격이  있지만 원금상환 의무가 없기 때문에 유권해석을 통해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받고 있다. 자본 확충이 필요한 기업들이 이자 부담을  감수하면서도 적극적으로 영구채를 활용해온 이유다.

IASB는 그러나 지난해 8월 영구채에 관한 토론서를 내고 기업을 청산할 때 금융상품을 발행자가 갚아야 할 경우, 성과나 주가에 상관없이  보유자에게 특정 금액의 수익을 약속해야 할 경우 ‘금융부채’라고 명시했다. 이 원칙을 적용하면 영구채는 부채로 분류될 여지가  크다. 여기에 금감원도 영구채 분류에 대해 IASB와 같은 의견을 제시하면서 영구채가 부채로 분류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관측이  나온다.

한국기업평가에 따르면 작년 3분기 말 기준 영구채를 발행한 국내 기업은 모두 73곳으로 발행 금액은 총 29조5338억원에 달한다. 영구채를 부채로 분류할 경우 이들의 부채비율은 평균 51.9%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추산된다. 대우조선해양(28,550  0.00%)과 

대한항공(32,750 -2.09%)



회계기준 개정까지는 최소 2~3년이 걸리기 때문에 기업들이 대비할 시간은 있다. 국내에서 발행된 영구채 대부분은 발행 후 일정 시점이  지나면 발행자나 투자자가 콜·풋옵션을 행사할 수 있도록 돼 있다. 금감원이 영구채를 부채로 인식해야 한다는 신호를 주면 영구채  조기상환 행렬이 이어질 전망이다. 이 과정에서 기업들은 새로운 자금조달 방식을 고민해야 한다.


영구채의 이자 지급 방식에 따라 부채와 자본 분류가 달라질 가능성도 열려 있다. 회계업계 관계자는 “발행 조건에 따라 영구채 분류가  달라질 수 있지만 일단 명문화되면 자의적 해석이 어려워질 것”이라며 “영구채를 부채로 분류할 경우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지훈 기자 

lizi@hankyung.com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9032061551


    



오 ~ 미국의 신의 한 수다.




기사 내용을 보자.




국내 회계정책을 총괄하는 금융감독원이 금융상품의 자본과 부채 개념을 새롭게 정하고 있는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에  ‘신종자본증권(영구채)은 회계상 자본이 아니라 부채로 봐야 한다’는 취지의 의견을 냈다. 




영구채는 자본이 아니라 부채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무엇이 달라지나?


재무제표 항목에서 자본이 바로 부채로 바뀌게 되고 그러면 영구채를 많이 발행한 기업은 갑자기 우량한 기업에서 채무가 많은 불량기업으로 바뀌고 이러면 신용등급의 하락과 더불어 돈을 빌릴 때 더 많은 이자를 감당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왜 이것이 미국의 신의 한 수인가?




이런 기업이 바로 중국에 많기 때문이다.




이것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중국은 붕괴할 것인가?


http://cafe.daum.net/jordan777/Bm2o/786




을 보면 된다.




요약하자면 이렇다.


중국은 각 지방정부에서 은행보증하에 자산관리상품(WMPs)라는 금융상품을 팔았다.


그런데 그 이자가 무려 7~15%에 달한다.


그러나 지금 중국경기가 하강중이기 때문에 이런 무지막지한 이자를 감당할 여력이 없다.


그런데 이것에 가입한 사람들은 가난한 농민공을 비롯해 중국의 대부분 인민이다.


그러니 이것이 파산이 나면 폭동이 일어날 수도 있다.


그래서 허베이금융투자보장에서 4조 위안의 디폴트가 났다.


그런데 이것을 은행이 영구채를 발행해서 디폴트를 막았다.


그러자 자산관리상품에 더 많은 사람들이 뛰어들어 이것이 무려 24조 위안 무려 중국 GDP의 1/3에 달하게 되었다.


진짜 이것이 폭발하면 큰일 난다.


그런데 이자가 무지막지하다.


그래서 이자를 지급해야 하는데 새로 들어온 놈의 돈을 받아다가 이자를 주는 경우라 파산을 눈앞에 뒀다.


중국이 아마겟돈으로 들어가게 생겼다.


그런데 1월25일 인민은행이 어떤 일을 했는가?


부실은행의 자산관리상품을 파산하지 않는 중국국채와 맞교환 해주겠다고 했다.


즉 안전한 중국국채가 이 자산관리상품을 죄다 떠 안은 것이다.


그러니 인민은행이 막대한 부채를 떠 안게 되었고 7~ 15%의 무지막지한 이자를 감당해야 한다.


그러나 인민은행은 일대일로를 통해 인플레이션을 수출하고 있기때문에 현재는 괜찮다.


그러나 일대일로가 막힌다면 아마도 외국으로 나가지 않은 위안화는 중국 내부로 쏟아질테고 그러면 위안화의 절하가 급격히 일어난다.


이러한 상황이 현재 상황이다.


그래서 죽자고 일대일로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글로벌 스탠다드를 정하는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에 ‘신종자본증권(영구채)은 회계상 자본이 아니라 부채로 봐야 한다’는 취지의 의견을 냈다는 것이다.


즉 중국의 은행들은 전부 부채덩어리가 된 것이고 미국의 신용평가사들은 죄다 트리플B를 줄 것이다.


그러면 즉시 인민은행은 돈을 찍어 은행의 모든 부실을 떠 안을 것이다.


인민은행이 폭탄을 떠안게 된다.


올해는 중국의 서비스 수지가 더 악화 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부호들이 이것을 모를리 없다.


그냥 해외로 여행나가서 달러화 은닉할 것이다.


그리고 중국의 국채를 대량매도하면 중국은 패닉에 빠진다.




미국은 정말 전방위적으로 압박하고 있다.


중국에 투자하고 있다면 빠져 나와라.


패가망신한다.




심판의 날이 머지 않았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美연준, 기준금리 동결…올해 동결 예상·자산축소 9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