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버핏 "美 경제, 둔화 가까운 곳으로 가고 있지만 침

버핏 "美 경제, 둔화 가까운 곳으로 가고 있지만 침체는 안될 것"


워런 버핏, CNBC와 인터뷰

 경제는 더딘속도로 성장하고 있어
低금리, 증시에 호재…투자 지속
 애플, 콘텐츠 시장 진출엔 회의적







‘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 벅셔해서웨이 회장(사진)이 미국 경기가 둔화되고 있지만 침체로 가진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침체 징후인지를 놓고 논란이 벌어지고 있는 미국 장·단기 국채금리 역전 현상에 대해서도 걱정하지 않았다.



버핏 회장은 28일(현지시간) CN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미 경제의 성장 속도가 느려진 것처럼 보인다”면서도 “둔화에 가까운  어딘가로 가고 있지만 그 이상(침체)으로 가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투자회사인 벅셔해서웨이가 소유한 철도회사인 BNSF를 예로 들며 “경기 둔화 신호가 나오고 있지만 일부 데이터는 날씨 등 계절적 요인에 의해 왜곡됐을 수 있다”고 했다.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지난해 4분기 2.2%(연율 기준)에 그친 데 이어 올 1분기엔 1%대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미 국채 시장에서도 금리지표 벤치마크인 10년물 수익률이 2017년 12월 이후 최저인 연 2.3%대로 떨어져 경기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 3개월물 국채 금리가 10년물보다 더 높은 수익률곡선 역전이 발생하면서 향후 1~2년 내 경기침체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버핏은 “걱정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경기가 둔화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지금까지의 성장 경로가 뒤집어진 건 아니다”며 “경제는 더딘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버핏은 “낮은 금리는 증시에 좋다”고도 했다. 더 나은 수익률을 올릴 수 있는 증시가 자연스레 투자자를 끌어들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침체를 경고하는 신호가 있다 해도 지금까지 해온 것처럼 계속 투자할 것”이라고 말했다.

버핏은 애플이 지난 25일 발표한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해 회의적 반응을 보였다. 그는 “애플이 성공하는 걸 보고 싶지만, 한두 번의  실수는 감당할 수 있는 회사”라고 했다. 버핏은 “시청자가 콘텐츠를 소비하는 시간은 하루 몇 시간으로 제한돼 있다”며 “이들의  시선을 잡기 위해 매우 큰 경쟁자들과 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벅셔해서웨이는 애플 지분 5.5%를 갖고 있다.

차량공유서비스 기업인 리프트의 기업공개(IPO)와 관련해서도 신중한 접근을 주문했다. 그는 “젊고 성공적인 기업에 대한 투자 기회를 놓치게 될 위험이 있지만, 입증되지 않은 회사에 투자해 실패하는 것보다는 낫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이 IPO 시장에 참여한 건  1950년대 포드 상장 때가 마지막이었다고 덧붙였다. 이날 상장한 리프트의 공모가는 주당 72달러로 결정됐다. 기업 가치가  240억달러 이상이다.




한편 버핏은 아이폰이 아닌, 삼성전자의 구형 폴더폰(SCH-U320)을 쓰고 있다. 그는 “(전화기를 발명한)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이 빌려줬는데 돌려주는 걸 잊어버렸다”고 농담했다. CNBC는 버핏이 쓰는 삼성 폰은 이베이에서 20~30달러대에 판매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뉴욕=김현석 특파원 realist@hankyung.com    


https://www.hankyung.com/article/2019032915591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지난해 4분기 2.2%(연율 기준)에 그친 데 이어 올 1분기엔 1%대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미 국채 시장에서도 금리지표 벤치마크인 10년물 수익률이 2017년 12월 이후 최저인 연 2.3%대로 떨어져 경기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 3개월물 국채 금리가 10년물보다 더 높은 수익률곡선 역전이 발생하면서 향후 1~2년 내 경기침체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버핏은 “걱정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경기가 둔화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지금까지의 성장 경로가 뒤집어진 건 아니다”며 “경제는 더딘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장단기 금리가 역전이 되면서 떨어진 경우는 지금까지 2007년 버블이 심하게 끼어 있을 무렵인 7월 20일부터 8월 10일까지 일어났다.


이로부터 1년 후인 2008년 9월 리먼브러더스가 파산하면서 공황이 왔다.




그 외에 2000년에 4월에 장단기 금리차 역전이 있었지만 이 때는 공황이 이미 2000년 1월에 시작되었기 때문에 장단기 금리차 역전에 의한 하락이 아닌 그냥 경기가 불황으로 고꾸라져서 일어난 하락이었다고 봐야 한다.




그 외에는 장단기 금리차 역전이 오히려 상승을 불러왔다.




그러나 이 장단기 금리차 역전에 의한 공황의 예견은 2008년도를 예견했고 2000년 닷컴버블을 예견했다.


그러니 1년이나 2년 후에 공황이 올 수도 있다.




버핏은 경기가 둔화되는 것이지 성장이 뒤집어지는 것은 아니라고 했다.


전문가의 말은 믿을 필요가 없다.


버핏도 마찬가지다.


누구건 예견은 맞으면 좋고 아니면 말고다.


어떻게 신이 아닌 이상 정확히 맞추나?


돌발변수까지 보면 인간이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리고 불황이나 공황이 왔을 때 그린스펀을 비롯한 대학교수, 유명 투자자 등등을 막론하고 공황이 온다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물론 매번 공황이 올거라고 떠들고 다니는 루비니 교수와 같은 사람 말고 말이다.


결론은 믿을 놈 없다는 것이다.




그러니 우리는 공황을 대응하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 매뉴얼이 필요하다.




-3%의 법칙 말이다.


버핏은 “낮은 금리는 증시에 좋다”고도 했다. 더 나은 수익률을 올릴 수 있는 증시가 자연스레 투자자를 끌어들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침체를 경고하는 신호가 있다 해도 지금까지 해온 것처럼 계속 투자할 것”이라고 말했다.


요즘 Fed에서도 금리를 낮춰야 한다고 했다.

지금 상황도 절대 증시에 나쁜 상황이 아니다.

금리 동결상황인데 올해는 안 올린다 했다.

그리고 내년에는 대선이다.

웬만하면 금리 안 올린다.

오히려 올리더라도 내릴 태세다.

아마도 올해 내리고 내년에 동결할 수도 있다.

왜냐햐면 내년에는 올리고 내리는 것이 정치적인 이해관계 때문에 Fed에서는 그냥 동결하지 않을까 싶다.

그러니 경기가 안 좋아 내리려면 올해 내려야 한다.

그런데 금리 내린다?

그러면 증시는 엄청난 호재를 더 만나는 것이다.


금리를 내리면 일단 사람들이 저축에 대한 유인이 떨어진다.

그러니 저축을 안 한다.

엄청 열심히 일을 해봐야 낮은 금리는 저축보다는 투자로 돈을 벌어 보겠다는 마음을 먹게 된다.

그래서 장기간의 저금리는 커다란 버블을 일으킨다.


그러다 버블이 꺼진다.

그러나 버블이 꺼지는 것을 두려워할 필요 없다.

왜냐하면 버블이 꺼질 때 배에서 탈출하면 되기 때문이다.

물론 -3%로 말이다.

그리고 버블의 꺼짐을 공황이라 한다.

공황이 지속되면 급격한 자산가치의 하락이 온다.

그러나 공황이 시작되고 바닥까지 꺼진 증시는 다시 거대한 저금리와 엄청난 양적완화를 다시 몰고 온다.

그렇기 때문에 다시 버블은 초입에 다시 들어가는 것이다.


그러니 버블이 꺼지는 것을 두려워 할 것이 아니라 버블이 꺼지면 대응하면 버블의 중간에 거대한 부를 잡을 기회를 맞게 된다.


버핏은 애플이 지난 25일 발표한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해 회의적 반응을 보였다. 그는 “애플이 성공하는 걸 보고 싶지만, 한두  번의 실수는 감당할 수 있는 회사”라고 했다. 버핏은 “시청자가 콘텐츠를 소비하는 시간은 하루 몇 시간으로 제한돼 있다”며  “이들의 시선을 잡기 위해 매우 큰 경쟁자들과 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벅셔해서웨이는 애플 지분 5.5%를 갖고 있다.


독점 보다는 출혈경쟁에 의한 애플의 사업실패 우려를 하는 것 같다.

애플 그리 스트리밍이 적극적이지 않다.

차라리 넷플릭스를 인수해서 디즈니와 맞짱을 뜨는 것이 좋을 것 같지만 사실 애플의 문화가 넷플릭스와 다르기에 인수합병이 답인가도 싶다.

즉 애플이 영상제작을 어떤 노하우도 없이 시작한다는데 있어 좋지 않아 보이는 것 같다.

다만 그래도 애플은 실패해봐야 껌값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


차량공유서비스 기업인 리프트의 기업공개(IPO)와 관련해서도 신중한 접근을 주문했다. 그는 “젊고 성공적인 기업에 대한 투자  기회를 놓치게 될 위험이 있지만, 입증되지 않은 회사에 투자해 실패하는 것보다는 낫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이 IPO 시장에  참여한 건 1950년대 포드 상장 때가 마지막이었다고 덧붙였다. 이날 상장한 리프트의 공모가는 주당 72달러로 결정됐다. 기업  가치가 240억달러 이상이다.


상가를 잘 하는 형이 있다.

이 형은 부자인데 상가로 말아먹기도 분양을 해서 성공하기도 했다.

부자라서 많이 해 보았다.

그런데 이 형이 하는 말이 상가는 안정된 곳에 사야 한다고 했다.

무슨 말인가 상가 처음 살 때 의아했다.

그러나 상가를 사보니 무슨 말인지 알았다.


상권이 어떻게 변할지 모르니 상권이 안정되어 월세가 잘 나올 때 현찰주고 사는 것이 제일 좋다는 뜻이었다.

그럼 비싸지 않은가?

비싸지 않다.

오히려 분양상가보다 훨씬 싸다.

상가가 오래되어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사람도 없고 앞으로 상권이 잘 될지 안 될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지도만 보고 상가 투자하는 것은 자살행위다.

이것이 오랜 상가 투자 노하우다.


그런데 어찌 워렌버핏의 말과 비슷하지 않은가?

그렇다.

상장하고 어닝 서프라이즈 몇 번 해서 정말 시장에서 통할 수 있는지 확인 하고 사도 늦지 않는다는 얘기다.

어차피 1등 주식 빼고 나머지는 모두 어닝 서프라이즈 주식 아닌가?

어닝 서프라이즈 하면 샀다가 어닝 시즌 전에 파는 주식들 말이다.

어떤 놈도 믿을 수가 없다.

그리고 팔 때의 기준이 없다.

1등은 2등으로 바뀔때라도 팔지 그런데 1등 주식 빼고 나머지는 언제 팔아야 하나?

수익률 50%쯤 나고 있다가 어닝 쇼크가 나서 20%가 하루에 빠졌다고 치자.

그럼 팔아야 하나?

아니면 지속적으로 봐야 하나?

팔 때의 기준이 없는데 다음날도 5% 정도 또 빠진다.

그럼 정말 고민이 될 것이다.

이미 50% 수익률에서 이틀만에 벌써 절반의 수익률이 빠졌으니 말이다.

그런데 다음 날 또 떨어진다면?


고민이 될 것이다.

답은 없다.

그러나 팔 때의 기준이 없다는 것은 정말 힘든 일이다.


장기간 묻어 둬라 이렇게 얘기하는 사람이 있는데 그것은 틀린 말이다.

왜냐하면 지금 S&P500의 기업이 지난 30년간 절반이 바뀌었으며 최근에는 기업수명이 60년에서 15년으로 급격히 줄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기술주들이다.

한 순간 삐끗하면 한방에 나가 떨어지는데 믿고 가자고?

그런데 기업을 제대로 분석한 적이 있는가?

분석 했다고 그 기업의 운명을 알까?

모른다.


그러니 팔 때의 기준은 반드시 있어야 한다.


그런 면에서 1등 빼고는 어떤 놈도 믿을 놈이 없다.

그러니 어닝 서프라이즈나 하면 한 분기 정도만 믿어 보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이런 신규 상장 기업은 믿으면 안 된다.

초반에 오르더라도 굉장히 심하게 등락을 반복할 것이다.

차후에 오르더라도 내릴 때 버틸 수 있을까?

아닐 것이다.

페이스북을 이기겠다는 스냅은 25달러에서 시작해 현재는 10달러 언저리까지 와 있다.


그러니 세계 1등을 배고 나머지는 한 분기만 보자.

그런면에서 리프트와 같은 기업은 지켜보고 어닝 서프라이즈 하면 그 때나 봐도 안 늦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운동선수·여배우·유통사도 디지털 재무장해야 생존"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