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해외서 '펑펑'…1월 서비스 적자 사상 최대  해외여행

해외서 '펑펑'…1월 서비스 적자 사상 최대 

해외여행 늘고 외국인 씀씀이 줄고…서비스수지 적자 33억6000만달러

경상수지는 59개월째 흑자 
중국, 한국 여행상품 판매금지로 여행수지 적자 더 커질 수도                                    서비스수지가 지난 1월 사상 최대 적자를 냈다. 겨울철 해외여행이 늘어난 데다 해운업 부진이 겹쳤기 때문이다. 상품 수출입을 합친 경상수지 흑자는 5개월 만에 가장 적었다.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2017년 1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1월 경상수지 흑자는 52억8000만달러로 집계됐다. 2012년 3월부터 59개월째 수출이 수입보다 많았다. 사상 최장 흑자 기록이다. 흑자 규모는 작년 12월(78억7000만달러)보다 26억달러 줄어들어 작년 8월 후 최소였다. 

부진하던 수출이 작년 11월부터 증가세를 유지했지만 수입 증가폭이 더 컸다. 1월 수출은 441억1000만달러로 전년 동월보다 18.1% 늘어났다. 수입은 362억9000만달러로 24.5% 증가했다. 이에 따라 상품수지 흑자는 78억1000만달러로 작년 8월(69억4000만달러) 후 가장 적었다. 서비스수지도 33억6000만달러 적자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해외여행이 활발해지고 지식재산권 사용도 늘면서 적자폭이 확대됐다.

서비스수지 적자는 지난 1월 33억6000만달러로 전월(7억9000만달러)의 4.3배에 달했다. 서비스수지 적자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여행수지다. 여행수지 적자는 12억2000만달러로 전월(10억2000만달러)보다 19.8% 급증했다.

한국은행은 겨울방학과 설 연휴를 맞아 해외로 떠난 국민이 많았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내국인 출국자 수는 지난해 연인원 2238만3190명으로 전년보다 11.6% 늘어나는 등 매년 최대치를 경신하고 있다. 외국인의 한국 방문도 늘고 있지만 씀씀이가 내국인을 웃돌지 못했다. 최근 중국이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 결정을 빌미로 한국 여행상품 판매 금지에 나서면서 여행수지 적자가 더 커질 것이란 우려도 제기됐다. 


지식재산권 사용료는 5억1000만달러 적자를 냈다. 작년 2월(5억8000만달러) 후 11개월 만에 가장 컸다. 국내 기업이 해외에 지급하는 특허 및 실용신안권, 디자인권, 소프트웨어(SW) 저작권 사용료 규모가 커 이 부문도 만성적인 적자 구조다.

운송수지 적자는 2억3000만달러로 전월(1억6000만달러)보다 37.7% 늘었다. 작년 10월 반짝 흑자를 보인 운송수지는 해운업계 불황의 직격탄을 맞았다. 한진해운 파산으로 국내 해운사의 매출이 급감하며 적자 규모가 커졌다.

서비스수지 적자는 지난해 176억1000만달러로 연간으로도 최대를 기록했다. 상품수지가 19년째 흑자를 이어간 것과 대조적이다. 한은은 국제 유가가 상승세를 타면서 경상수지 흑자규모가 점차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한은이 예상한 올해 경상수지 흑자는 810억달러로 작년(986억8000만달러)보다 18%가량 적다.

자본 유출입을 나타내는 금융계정의 순자산(자산에서 부채를 뺀 것)은 한 달간 43억5000만달러 증가했다. 직접투자는 내국인의 해외 투자가 38억5000만달러 늘었고, 외국인의 국내 투자가 5억8000만달러 증가했다. 

김유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7030327871

해외로 왜 나갈까?

자아정체성의 확립 때문이라는 생각도 있다.

정체성(正體性, identity)은 존재의 본질을 규명하는 성질이다. 

자아 정체성은 왜 내가 존재해야 하는 것을 알아내는 것이다.

자아정체성이 없다면 존재하는 의미나 이유가 없다.

그래서 자아정체성으로 사람들은 신을 택하기도 한다.

존로크는 얘기했다.

인간의 자아정체성은 노동으로부터 나온다.

노동으로 댓가를 바라는 것이 아니라 노동을 통해 그 사람의 존재의 본질이 확립된다는 것이다.

예전에는 모든 물건을 다 혼자서 만들었다.

뜨게질을 해서 하나의 옷을 온전히 자신의 힘드로 만들었다고 치자.

이것이 자아정체성 확립인 것이다.

그런데 산업혁명으로 분업이 되면서 노동으로서의 자아정체성이 없어졌다.

왜냐하면 자아정체성은 하나의 물건을 만들어 그전까지 책상이건 옷이건 만들었었는데 분업은 인간을 하나의 부품으로 만들어버린 것이다.

효율성은 좋아졌으나 인간의 정체성을 잃어버렸다.

혹시 회사 다닐 때 내가 하나의 톱니바퀴가 된 기분 든 적이 없나?

그런 것이 분업 때문에 일어난 자아정체성을 잃어버린 결과다.

매일 나사만 조립하는데 어떻게 자아정체성을 알 수 있을까?

그래서 현대에 와서는 자아정체성의 확립을 소비에 둔다.

아니면 혼자서 처음부터 끝까지 어떤 것을 해 내는 것을 자아정체성의 확립으로 본다.

예를 들면 가구를 혼자 만든다던가?

가죽공예 등을 한다던가 말이다.

그래서 하나의 물품이 나오면 그때서야 자아정체성이 확립된다.

아마도 자아정체성의 확립은 내가 이 세상에 쓸모있는 인간이다.

하나의 부품이 아니고 인격체다 라는 것 아닐까 생각한다.

그럼 소비로서의 자아정체성 확립은 무엇인가?

밥을 먹음으로써 자아정체성이 확립되나?

아니다.

이런 소비는 매일 하는 소비다.

무엇인가 특별한 소비가 필요하다.

여행도 국내여행이 아니라 해외여행, 소비도 마트에서 물건 사는 것이 아니라 조그마한 사치를 하는 소비 말이다.

그래서 반대급부도 벌어진다.

국내여행은 미친듯이 아끼고 해외여행은 카드를 북북 긁는다. 대신 일년에 한번 혹은 몇 년에 한번 가는 것이니 나에게 선물한다는 느낌으로 말이다.

마트에서는 미친듯이 아끼고 사치는 몇 십만 원 혹은 몇 백만 원짜리를 사서 몇 달간 라면으로 끼니를 때워도 그것을 기꺼이 받아들인다는 그런 자아정체성 말이다.

아마도 기업이나 자영업은 자아정체성 확립을 위해 어떤 소비를 부추길 것인가 고민하는 것도 좋은 방법인 것 같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미국 경제, 긴축해도 될 정도로 좋다…이달 금리 안올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