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IFRS17' 2021년 전격 시행…이대로 가면 보험

'IFRS17' 2021년 전격 시행…이대로 가면 보험사 9곳 퇴출




기사 이미지 보기

2021년 1월1일부터 국내외 보험회사는 현재 원가로 평가하는 보험 부채를 시가로 평가해야 한다. IFRS17로 명명된 새 국제 보험회계기준 시행일이 이 날짜로 정해졌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국내 보험사들의 재무제표상 부채가 40조원 이상 늘어나 대규모 자본 확충 압박을 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7일 한국경제신문이 단독 입수한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의 비공개 내부보고서(AP02H)에 따르면 IASB는 ‘IFRS4 2단계’로 불려온 새로운 국제 보험회계기준 명칭을 IFRS17로 정하고 2021년 시행하기로 했다. IASB는 오는 14일부터 사흘간 열리는 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공식 결정할 계획이다.

국내 보험업계에는 비상이 걸렸다. 해외 업체에 비해 고금리 확정금리형 상품을 많이 팔았던 만큼 수년간 지속된 저금리를 반영해 시가로 평가하면 회계상 부채 규모가 크게 늘기 때문이다. 국내 생명보험회사의 확정금리형 상품 비중은 43%에 달한다. 
    

보험연구원은 IFRS17이 도입되면 국내 보험사들의 부채가 47조원가량 늘어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부채가 늘면 가용자본이 줄어들어 보험사 건전성 평가의 척도인 지급여력비율(RBC 비율)은 큰 폭으로 떨어진다. 업계 관계자는 “지금 당장 도입하는 것을 전제로 추정하면 국내 9개 중소형 보험사의 RBC 비율이 적기시정조치 대상인 100% 미만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온다”고 말했다.

국내 보험업계는 이런 점을 고려해 최근 IASB에 IFRS17 시행 시기를 3~5년 늦춰달라고 건의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지훈 기자 

lizi@hankyung.com

http://stock.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6110779091


보험사들, 자본확충 '속도전'

IFRS17 대비 후순위채 쏟아내 
KDB생명, 5000억 유상증자 검토                                      

기사 이미지 보기

보험사들이 2021년 새 국제회계기준(IFRS17) 도입을 앞두고 유상증자 및 후순위채·신종자본증권 발행 등을 통한 자본 확충에 경쟁적으로 나서고 있다. 한화생명은 5000억원 규모의 신종자본증권 발행을, KDB생명은 5000억원 이상 규모의 유상증자를 검토하고 있다.

농협생명은 3000억원 규모 후순위채를 상반기에 발행한다는 계획을 28일 발표했다. 지난해 9월엔 농협손해보험이 1000억원 규모의 후순위채를 발행했다.

보험사들이 후순위채 물량을 쏟아내면서 후순위채 가산금리도 오르고 있다. 흥국생명은 지난 15일 1000억원 규모의 후순위채를 발행하기 위해 금융감독원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했으나 하루 만인 16일 철회했다. 예상보다 금리 수준이 너무 높아서다.

후순위채는 발행 절차가 비교적 수월한 반면 시간이 지날수록 자기자본 인정 비율이 줄어드는 게 단점이다. 발행 첫해에는 100% 자기자본으로 인정받지만 1년이 지날 때마다 20%씩 경감해야 한다. 

한화생명은 이 때문에 5000억원 규모의 신종자본증권 발행을 추진하고 있다. 신종자본증권은 초기 배당 비용 등을 고려하면 후순위채보다 발행금리가 높지만 만기 때까지 100% 자본으로 인정된다. 교보생명도 신종자본증권 발행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주주의 결단으로 유상증자에 나선 곳도 있다. 동양생명은 27일 대주주인 중국 안방그룹으로부터 제3자 배정 방식의 유상증자를 통해 5283억원의 자본을 확충받았다. 알리안츠생명도 안방그룹에서 218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받았다.

KDB생명은 5000억원 이상 규모의 유상증자를 검토 중이다. 대주주인 산업은행, 국민연금과 관련 내용을 협의하고 있다. 올해 2500억원을 증자하고 이후 나머지 금액을 증자한다는 계획이다. KDB생명은 이와 함께 후순위채 발행도 추진하고 있다. 

박신영/이지훈 기자 

nyusos@hankyung.com




위엣 것은 작년에 9곳 퇴출된다는 얘기고 어제자 기사는 자본확충해야 할 보험사들 명단이 떴다.

이게 다 IFRS17 때문이다.

이 회계기준이 무엇인가?

앞으로 장래에 일어날 손실도 장부에 넣으란 얘기다.

그래서 자본금 등을 확충하라는 얘기다.

그럼 돈 없고 돈이 안 모이는 보험회사는 어떻게 되는가?

아마도 법정관리, 모기업의 도움 등을 받아야 할 것이다.


지금 그 명단이 이렇게 뜬 것이다.

어찌보면 정말 돈 필요한 기업들이다.

이럴 때 유상증자한다고 덜컥 받아버리면 정말 골로 간다.

언제 망할지 모르는데 나 지금 돈 없소 하는데 그걸 받아버린다고?

정말 미친짓이다.


왜 이런 일이 벌어졌는가?

2000년대 초반에 10% 금리 확정형으로 연금보험 팔았기 때문이다.

그럼 보험료 줬는가?

안 줬다.

아직 연금을 받을 나이가 대부분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1955년생 즉 베이비부머 시작 세대가 조금있으면 65세가 넘어간다.

2년 후다.

그런데 이 때부터는 돈을 본격적으로 줘야 하는데 현재 금리가 얼마인가?

기준금리 1.25% 아닌가?

국채수익률이 2.1% 넘나들고 잇다.

외국은 마이너스 금리라 투자도 못한다.

그러니 2% 연금보험 받아서 10% 줘야 하는 꼴이다.

그러니 돈이 안 모자르나?


그럼 살생부 자신들이 깐 보험사 정리해보자.


농협 3000억 후순위채

한화생명 5000억 신종자본증권

KDB생명 5000억 유상증자

흥국생명 1000억 후순위채

동양생명 5283억 유상증자


작년에 9곳이라 했으니 아직 더 있을 것이다.

일단 보험회사 주식은 팔자.

그것도 생명회사는 빨리 팔자.

다 역마진에 늪에서 허우적거리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화재주식도 팔자.

자율주행차 나오면 손해율 떨어져 이익인데 사고 자체가 안 나서 보험회사의 존재가치가 없어진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중국 텐센트, 테슬라 손잡고 전기자동차 시장 공략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