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전세계가 유동성 공급중, 나스닥 앞으로 상승할까?

전세계가 유동성 공급중, 나스닥 앞으로 상승할까?


 [뉴욕마켓워치] 파월, 빅컷 거리두며 경제 '긍정'…국채↓주식·달러↑ 

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26828
                               [뉴욕마켓워치] 파월, 빅컷 거리두며 경제 '긍정'…국채↓주식·달러↑ - 연합인포맥스           30일(이하 미 동부시간) 뉴욕 금융시장에서 주요 주가지수들은 동반 상승했다. 지수들은 추가 '빅 컷'(50bp 인하)과는 거리를 둔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ㆍFed) 의장의 발언을 소화하며            news.einfomax.co.kr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7.15포인트(0.04%) 오른 42,330.15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4.31포인트(0.42%) 상승한 5,762.48, 나스닥종합지수는 전장보다 69.58포인트(0.38%) 오른 18,189.17에 장을 마쳤다.


어제는 나스닥이 0.38%, S&P500지수가 0.42%, 다우존스 지수가 0.04% 오르며 3대 지수 모두 상승했다.


메인 이슈 :  전세계가 유동성 공급중, 나스닥 앞으로 상승할까? 


요즘 시장의 특징이 1% 이하로 움직이며 변동성이 줄었고 장초반보다는 장후반에 오르는 경향이 있다.

이럴 경우 오르는 장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반대로 1% 이상 크게 움직이며 장초반에는 강하지만 장후반으로 갈수록 힘이 없는 장이 떨어지는 장의 특징이다.


그렇다면 왜 이렇게 주가가 꾸준히 오를까?

전세계가 유동성 파티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연준이 50bp 빅컷을 했고 중국은 지준율을 낮추고 주택담보대출 규제를 없앴고 기존 대출자까지 이자를 깎아주고 있다.

전세계 은행들은 최근에 45번의 금리인하를 하고 있다.


어제는 중국의 차이신PMI지수가 안 좋게 나왔지만 중국이 앞으로 더 유동성 공급을 할 것이라는 기대에 더 많이 올랐다.

앞으로 중국의 아파트 건설이 활성화 될 것이라는 예상 때문인지 국제 철강가격이 뛰고 있다.


중국의 랠리를 보는 국제적 시각은 두 가지다.

1) 지금이 기회다 모든 재산을 다 넣어라.

2) 아직은 못 믿겠다.

반반이라고 한다.


그러나 최근의 중국 증시를 보면 1) 번이 힘을 얻는듯 하다.

우리는 주가를 믿어야 한다.

이렇게 갑자기 크게 중국 증시가 오른 것은 숏스퀴즈 물량이 터졌고 중국의 국경절이전에 주식을 매수하려는 수요가 넘치고 있어서다.

다만 앞으로도 중국 공산당은 꾸준하게 돈을 집어넣어주는 것을 보여야 앞으로 랠리가 계속 될 것이다.


2008년 금융위기 당시에도 중국이 세계를 구한적이 있었다.

그 때 중국이 내수를 부양하면서 유동성을 공급해 글로벌 금융위기가 일찍 끝났다.

그로인해 중국의 부동산 자산에 과도한 쏠림이 생겼고 중국의 가계는 부동산 자산 비중이 크게 늘었다.

이번 중국 공산당의 내수부양이 단기적으로는 주식시장에 훈풍이 될지는 몰라도 장기적으로는 더 큰 자산 버블이 될 것이 확실하다.


건전한 자산시장이 되려면 미국처럼 주식과 같은 자산비중을 키워야하는데 중국, 한국, 일본은 그럴 능력이 없다.

주식시장은 폭락해도 기본적으로 레버리지를 쓰지 않아 돈만 잃고 끝난다.

자산이 0이 되어도 마이너스가 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부동산 시장은 폭락한다면 레버리지를 쓰고 있고 규모가 거대해서 국가가 흔들린다.

부동산이 폭락하면 돈을 빌려준 은행, 돈을 빌린 개인 모두가 파산하면서 소비여력이 떨어진다.


미국은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당시 수 많은 은행이 파산 할 뻔 했으나 기축통화국의 잇점을 살려 무제한 양적완화로 은행을 살렸다.

미국은 은행만 살리면 되었을까?

그렇다. 

왜냐하면 미국과 한국, 일본, 중국의 대출 시스템은 다르기 때문이다.


미국은 담보대출이 기본적으로 한정근담보와 같다.

즉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면 그 부동산에만 담보권이 설정되어 있어 집주인은 바로 집열쇠를 은행에 넘기고 빠져나오면 된다.

집주인은 집값이 떨어지면 집을 은행에 떠 넘기면 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미국에서는 집값이 떨어져도 집주인이 신용 문제는 없다.

반면 은행 건전성이 문제가 되는 것이다.

그래서 미국은 막대한 자금을 은행에 쏟아부어 리먼브러더스만 파산 시키고 AIG, 시티 등 월가의 모든 은행을 살린 것이다.


그러나 동북아 3국은 다르다.

지금 한국이 한정근담보이지만 말만 그렇다.

집값이 떨어지면 한국의 집주인은 은행에 열쇠 맡기고 나올 수 없다.

일단 집 값이 떨어지면 이자와 원금을 갚는데 거기에 더해 떨어진 담보가치를 더 갚아야 한다.

만약 갚지 못하면 집은 경매로 넘어가며 그래도 돈을 다 못 갚으면 집주인은 신용불량자가 된다.

따라서 집 값 하락기에는 빌라왕이 속출 할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10억 원의 아파트를 대출 70% 받아 내돈 3억 대출 7억에 샀다고 치자.

처음에는 7억 대출이자와 원금을 갚아나가면 된다.


그러나 집값이 떨어져 5억 원으로 하락했다면 어떻게 될까?

대출은 5억 원 집값의 70%이니 3억 5천 만원만 빌릴 수 있다.

따라서 추가로 떨어진 담보가치인 3억 5천만 원을 더 갚아야 하고 기존에 원금과 이자까지 갚아야 하는 상황이 벌어진다.

이렇게 되면 빚을 감당할 수 없는 개인은 파산하거나 극도로 소비를 줄일 수밖에 없다.


이것이 바로 일본의 대차대조표 불황이다.

그러니 일본은 30년 째 불황중이다.

그리고 중국이 최근까지 집값이 떨어져 내수소비가 확 죽었던 원인이기도 하다.

한국도 금리를 올리는 와중에 정부가 집값 부양을 했던 이유도 마찬가지다.

대차대조표 불황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다.


그래서 국민의 자산비중이 부동산이 많은가? 주식이 많은가? 에 따라서 소비여력이 결정된다.

미국과 같이 주식 비중이 높은 곳은 소비여력이 높고 한국, 일본, 중국과 같이 부동산 비중이 높으면 소비여력이 떨어진다.

주식은 끊임없이 올라갈 수 있지만 부동산은 올라가는데 한계가 있다.

주식은 혁신과 꿈으로 주가가 올라갈 수 있지만 부동산은 개인소득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당장은 중국 주식, 부동산 좋을 수 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중국은 더 시한폭탄의 시곗바늘만 뒤로 늦췄을 뿐이다.

따라서 중국시장은 단기적으로만 접근해야 한다.


요즘 중국시장이 핫하니 머니 무브가 있는듯 보인다.

어제 중국은 상해종합이 8%가 넘게 올랐는데 일본의 닛케이는 4.8%가 빠졌다.

일본의 후임총리 후보인 이시바 시게루 차기 총리가 매파적이어서 그렇다는 얘기가 있다.

그러나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이 있을 수 있으니 일본에서 돈을 빼 적게 오른 중국으로 돈을 움직였을 가능성도 있다.


요즘 미국 기술주가 안 좋다.

마찬가지로 미국 기술주에서 돈을 빼 중국에 넣었을 수 있다.

미국 기술주와 일본 증시의 특징은 많이 올랐다는 것이고 중국은 많이 떨어졌다는 것이다.

그러나 중국증시 어제부로 52주 신고가를 썼다.

중국증시도도 이젠 싸지 않다.

그렇다고 중국증시가 앞으로 떨어진다는 소리는 아니다.

단기간에 너무 올랐다는 얘기다.


어제 애플이 크게 올랐다.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1) 오픈AI 투자 철회

애플이 오픈AI 투자에서 발을 뺐다는 것이다.

오픈AI에 투자를 지속한다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주가는 삽질의 연속이다.

오픈AI는 영리법인으로 전환하면서 초창기 인재들이 전부 빠져나가고 있다.

이러다가 껍데기만 남을까 우려된다.

어차피 애플은 iOS 플랫폼 사업자라 오픈AI의 챗GPT가 아니더라도 라마, 제미나이 등 골라서 넣으면 된다.

따라서 애플이 굳이 오픈AI에 투자를 할 필요가 없다.


2) 중국 정부의 내수 경기 활성화

중국 내수가 좋아지면 빅테크 중 중국 수혜주는 애플이다.

따라서 요즘 주춤한 애플의 아이폰 판매량이 늘어 날 수 있다.

이 두 가지 이유로 애플은 사상 최고가에 접근중이다.


글로벌 은행의 돈 풀기가 시작되었다.

그러나 돈 풀기가 시작되면 인플레이션이 다시 고개를 들 수 있다.

그렇다면 인플레이션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앞으로 돈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보면 된다.


1) 주식이 오른다.

좋은 신호다.

각국 중앙은행이 돈풀기를 하는데도 주식이 오른다면 연착륙이다.

따라서 시장은 인플레이션은 걱정 없고 경기침체는 은행이 빅컷으로 막아줄 것이라 생각한 것이다.

그래서 어제 파월의장이 빅컷이 없다고 얘기했어도 주가가 올랐다.

만약 금요일에 나오는 고용데이터가 안 좋다고 하더라도 연준이 빅컷을 하면 주가는 더 오를 것이라고 보는 것이다.


2) 원자재가 오른다.

안 좋은 신호다.

유가는 이스라엘, 헤즈볼라간 중동 분쟁에도 70달러 밑에서 기고 있다.

그러나 각국 중앙은행이 돈을 풀고 있는데 주식은 안 오르고 철강, 유가, 금값 등 원자재 가격이 꾸준히 오른다면 시장은 인플레이션에 베팅하고 있다고 봐야 한다.

인플레이션이 다시 온다면 연준이 빅컷을 지속하기는 힘들다.

인플레이션 우려에 연준이 금리 낮추는 속도를 늦추거나 멈출 수 있다.

이렇게 된다면 주가는 금방 꺾일 것이고 조만간 급락장이 올 수도 있다.


3) 달러, 미국 채권 가격이 오른다.

가장 안 좋은 신호다.

주가는 안 오르고 투자자들이 채권에만 몰려 채권 가격이 오른다면 경기침체를 우려해야 한다.

시장은 불황에 베팅하고 있는 중이다.

조만간 크게 시장이 빠질 가능성이 있다.


결론 : 각국 중앙은행이 꾸준한 돈 풀기로 주가가 오르기를 기대한다.

애플이 중국발 훈풍에 사상 최고치를 돌파했으면 기도한다.

우리는 매뉴얼대로 투자하면 된다.

매뉴얼대로 투자하면 시장을 읽고 따라갈 수 있어 크게 깨질 일은 없는 것이다.

올 해 위기가 없다면 내년에 위기가 올 수는 있다.

다만 그 위기는 올 해 왔어야 할 위기보다 더 클 것이다.


1) 매뉴얼 :
1. 세계1등 주식은 전고점대비 -2.5% 떨어질 때마다 10%씩 팔면서 숏을 치며 리밸런싱을 하다가 나스닥 -3%가 뜨면 숏을 치며 말뚝을 박는다.
그러다 반등이 시작되면 V자 반등 리밸런싱을 하면 된다.
자세한 내용은 제이디부자연구소 인강사이트에서 강의를 들으면 된다.
 
2) 전제 : 세계 1등 주식은 우상향 한다.
매뉴얼을 지키며 세계1등에 투자하면 매년 25%의 복리로 10년간 10배, 20년간 100배로 재산을 불릴 수도 있다.
 
위의 상황은 매뉴얼일뿐이다.
따를 사람은 따르고 참고할 사람은 참고하기만 하면 된다.
주식을 사고 파는 것의 모든 책임과 이득은 자신에게 있다.
 
매뉴얼을 지키려면 머리를 쓰지 말고 머리를 쓰려면 매뉴얼을 지키지 말자.
경고 : 매뉴얼에 대한 댓글을 쓰시면 앞으로 예고없이 강퇴처리됩니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JD부자연구소 인강 사이트 (구글에서 제이디 부자연구소 검색)
PC URL : https://www.jordan777.com/main/index.jsp
 
JD부자연구소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JN8yfW2p6Gd8-wZ04pGAkg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