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제 2의 영상콘텐츠 시대…유튜브·넷플릭스 대세로

제 2의 영상콘텐츠 시대…유튜브·넷플릭스 대세로

                    김희경 기자의 컬처 insight                                                    


2014년까지 국내 대표 포털사이트 네이버의 검색어 1위는 ‘다음’이었다. 네이버에서 다른 검색 사이트를 찾아 들어가 본격 검색하는 사용자가 많았기 때문이다. 몇 년째 그러더니 2015년 연간 검색어 1위가 돌연 바뀌었다. 다음을 제친 검색어는 동영상 사이트 ‘유튜브’였다. 지난해에 이어 올 들어서도 여전하다. 네이버데이터랩에 따르면 최대 검색량을 100으로 설정했을 때 유튜브 검색량이 2015년엔 40~60이었고 올해는 90~100에 달했다. 동영상을 보기 위해 유튜브를 검색하는 횟수가 2년 사이 두 배 증가한 것이다. 

제2의 영상콘텐츠 시대다. TV가 영상콘텐츠 시대의 1막을 열었다면 이제 1인 방송, OTT(Over the Top·인터넷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가 제2막을 쓰고 있다. 2~3년 전만 해도 이런 현상은 일부 네티즌에 의한 작은 움직임에 불과했다. 하지만 태동기를 지나 대중들의 삶 속에 깊숙하게 파고들고 있다. 밥 먹을 때도, 지하철 탈 때도 스마트폰을 들고 유튜브의 1인 방송과 넷플릭스의 OTT 영상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다.

1인 방송과 OTT 서비스는 최근 다양한 세대를 아우르며 영향력을 키워가고 있다. 리서치업체 닐슨코리아가 지난달 발표한 ‘세대별 앱 이용패턴 결과’에 따르면 13~24세, 25~39세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앱’에 채팅앱 카카오톡에 이어 유튜브가 2위를 차지했다. 그 이상의 연령대에서도 유튜브가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 놀랍다. 40~59세, 60세 이상에서 유튜브는 모두 카카오톡, 네이버 다음으로 3위를 차지했다. 

콘텐츠 생산자의 연령도 상상을 초월한다. 71세 박막례 할머니(사진)는 ‘계모임 메이크업’ ‘치과 들렀다 시장 갈 때 하는 메이크업’ 노하우 등을 선보이며 구독자 20만명의 유튜브 스타가 됐다. OTT 서비스 이용자 수도 연령대에 관계없이 급증하고 있다. ‘하우스 오브 카드’로 유명한 넷플릭스가 한국에 진출한 지 1년이 된 현재, 넷플릭스 포함 주요 8개 OTT 서비스(티빙, 왓챠플레이 등)의 전체 앱 다운로드 수는 세 배 가까이 뛰어 3000만여건에 달했다. 

이런 현상은 스마트폰 대중화로 콘텐츠의 개인화, 파편화가 가속된 결과다. 임종수 세종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한국현대 생활문화사》란 책에서 “이젠 콘텐츠 소비가 개인의 문화로 바뀌고 있다”고 분석한다. TV만 볼 때는 각자의 취향에 맞는 콘텐츠를 찾기 어려웠다. 방송 제작자는 다양한 콘텐츠를 만들 필요 없이 주부 등 메인 시청자층만 사로잡으면 됐다. 하지만 이제 사람들은 각자의 방에서, 각자의 스마트폰으로 콘텐츠를 즐긴다. 

조금 더 들여다보면 ‘소통의 단절’과도 맥이 닿는다. 많은 사람이 혼자 식당에서 밥을 먹으며 스마트폰으로 콘텐츠를 즐긴다. 먹는 소리만 들리거나, 도마 위에서 칼질하는 소리를 담은 영상도 인기다. 혼자 밥을 먹어도 여러 명이 있는 것 같은 심리적 위안을 느끼는 것이다. 콘텐츠 생산자로서 역할을 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실시간 방송으로 네티즌들과 대화를 하면서 소통의 단절을 극복한다.

영상 내용도 이에 맞춰 변하고 있다. 영상은 물리적으로 인식한 것을 나타내는 ‘지각상(像)’, 마음속으로 상상한 것이나 잠재된 내면을 비추는 ‘심적상(像)’을 표현한다. 지금까지 TV 프로그램들은 대부분 보이는 것을 담은 지각상에 초점을 맞춰 왔다. 하지만 최근엔 고독을 위로하는 콘텐츠, 다른 사람들은 몰랐던 각자의 취향과 내면을 비추는 콘텐츠가 쏟아지고 있다.

유튜브 스타 박 할머니가 느끼는 보람, 이를 보는 사람들의 미소가 제2의 영상콘텐츠 시대의 핵심이다. 박 할머니는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가장 큰 기쁨은 유튜브하는 거지. 멀리 사는 친구가 몸이 아픈데, 밤마다 아들이 내 영상을 틀어줘서 웃다가 잠든대. 이런 게 행복이지 뭐야.”

김희경 기자 hkkim@hankyung.com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7042867631

개인의 파편화가 아닌 개인의 개인화가 아닐까?

예전에는 사회에서 집단으로서의 개인만 존재했는데 지금은 집단으로서의 개인이 아닌 개인으로서의 개인이 존재하는 것이 아닐까?

방송국에서 틀어주는 방송만 보다가 자신이 컨텐츠를 만들어내는 개인화와 그것을 즐기는 것 말이다.


상품은 무엇일까?

내가 원하는 것일까? 아니면 상품을 만들어 파는 사람이 파는 것을 일방 소비하는 것일까?

예를 들어 학원이라고 하더라도 내가 다니고 싶은 컨텐츠를 만들어 팔아야 나는 그것을 선택하는 것이다.

만약 학원에서 그러한 코스를 만들어 팔지 않으면 나는 들을 수 없는 것과 같다.

물건도 마찬가지다.


그렇다면 이러한 세대를 한숨만 쉬며 세상 말세라느니 옛날에는 안 그랬다느니 등의 헛소리는 집어치우고 이러한 세대를 반영이 의미하는 것을 찾아야 하지 않나?


인간이 소외되었다고 한다.

왜 소외 되었지?

개인의 개성 말살로부터 인간의 소외는 일어난 것이 아닌가?

집단으로서의 개인만 강조하니 나라는 존재는 잃어버리고 집단을 위해 희생하는 가족을 위해 희생하는 국가를 위해 희생하는 존재로서의 소외 아닌가?

그런데 매스미디어(방송)으로부터 탈출해서 내가 좋아하는것을 직접 방송할 수도 그리고 들을수도 있는 세상이다.

그러니 더 발전된 세상 아닌가?

연예인들의 시덥잖은 개그와 내가 보기 싫어도 봐야 하는 뉴스로부터의 탈출 아닌가?

그것이 스마트폰이라는 멀티채널로 탄생했고 지하철, 내방, 화장실 등등 철저히 개인적인 공간에서 즐길수 있는 시대가 온것 아닌가?

앞으로 더 심해지면 심해지지 다시 집단화되지는 않을 것 같다.

인간은 더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좋아하는 방향으로 끌고 나가기 때문에 말이다.

그럼 그러한 채널은 많이 있나?

양방향으로 소통하는 채널 말이다.


아마도 몇 개 있다.

유튜브, 페이스북 등과 아프리카 TV

내가 아프리카 TV 사장 아들이 아니라면 굳이 투자를 할 필요는 없을 것이라 본다.

그렇다면 구글과 페이스북 만 남지 않나?

그런데 이것을 이용하는 자가 청년이라면 미래는 더 밝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中·싱가포르는 수학적 思考… 한국은 암기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