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입학하자 '리트 올인'…사시보다 더한 '로스쿨 광풍'

입학하자 '리트 올인'…사시보다 더한 '로스쿨 광풍'


                    학점 관리위해 '꿀수업'만 수강…중간고사 망치면 휴학도

로스쿨 '전초기지' 전락한 대학 
취업난에 인문계열 대거 몰려…올 사시 폐지땐 응시자 급증 예상
교수들 "학문탐구 외면 세태 씁쓸"                                                    

연세대 경영학과 3학년 A씨(24)는 ‘학점 리셋’을 위해 이달 초 휴학원을 냈다. 이번 학기 수강 6개 과목 중 한 과목의 중간고사를 망쳐서다. 그는 입학 직후부터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을 준비 중이다. 학점을 철저히 관리한 덕에 지금까지는 거의 모든 과목이 A+ 학점이다. 그는 “중간고사 결과 A학점이 힘들 것 같아 등록금이 아깝지만 휴학을 결심했다”고 말했다.

◆대학 입학 직후부터 ‘로스쿨 올인’ 

만성적인 취업난 탓에 로스쿨 입시 준비에 ‘올인’하는 대학생이 급증하고 있다. 그나마 취업이 잘된다는 상경계열조차 예외가 아니다. 입학 두 달된 신입생들도 대거 로스쿨로 달려가고 있다. 올해 고려대 경영대학에 입학한 B씨(21)는 과 행사에 한 번도 참여하지 않고 법학적성시험(리트·LEET) 스터디에 몰두 중이다. “로스쿨 진학에 유리할 것 같아 대학도 재수를 해서 고대 경영대학에 입학했다”는 그는 고등학교 시절부터 로스쿨로 진로를 결정했다고 전했다.

그는 “수업 내용과 관계없이 강의 평가를 보고 ‘학점을 잘 준다’는 수업만 듣고 있다”고도 했다. 로스쿨 입시에서 학점 영향이 절대적이라 학점 잘 주기로 유명한 소위 ‘꿀수업’만 골라 수강한다는 설명이다. 

서울대 로스쿨의 서류전형격인 1단계 평가는 학부 성적 반영 비율이 50%에 달한다. 서울 소재 상위권 대학 로스쿨 입학생들의 학점 평점은 A0 수준이라는 게 대학가의 추정이다. 

◆좁아진 취업문에…“로스쿨이 유일 대안”

사법시험이 올해를 마지막으로 폐지될 예정이라 로스쿨 준비생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작년 리트 응시자 수도 8110명으로 한 해 전 7579명에 비해 늘었다. 로스쿨 입시학원 관계자는 “사법시험을 오래 준비한 수험생의 상당수가 내년부터는 로스쿨로 방향을 돌릴 수밖에 없다”며 “리트 응시자 수가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좁아지는 인문계생의 취업문이 로스쿨 열풍의 원인으로 꼽힌다. 전문 기술이 없는 인문·사회계열 학생이 안정적인 직장을 찾아 로스쿨로 몰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취업포털 인크루트가 지난 2월 918개 상장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2017 채용동향’에 따르면 자연·이공계 학생을 뽑겠다고 밝힌 기업은 34.6%에 달했지만, 인문·사회계 학생을 뽑겠다는 기업은 6.8%에 그쳤다.

지성과 학문 연마의 터전이어야 할 대학이 ‘로스쿨 전초기지’로 전락 중이라는 우려가 크다. 서강대 경제학과의 한 교수는 “얼마 전 아끼는 학생에게 대학원 진학을 권유했는데 로스쿨을 가야 한다며 거절하더라”고 전했다.

연세대 경영학과의 한 교수도 “내 수업을 듣는 학생 태반이 ‘학점 따기 쉽다’는 생각에 수강 신청한 로스쿨 준비생”이라며 “창업을 하거나 학문의 길을 걷기보다 학점 잘 따서 로스쿨에 가려는 학생들을 가르치는 자괴감이 크다”고 말했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7050845641

자본주의 논리가 무엇인가?

모든 것을 돈으로 따진다는 것 아닌가?

그 근원은 효율성이다.

즉 돈이 안 되는 것은 모두 제거한다는 것이다.

예전에는 그렇게 하지 않았다.

정말 기업에 위기가 닥쳤어야 구조조정이라는 것을 했다.

구조조정도 신자유주의의 물결이 그리고 우리나라는 IMF가 터지고서야 비로서 구조조정이라는 것을 했다.

그런데 격세지감이다.

이젠 기업구조조정을 넘어 학교 구조조정이다.


목적을 가지지 않는 곳이 어디일까?

가족 아닌가?

칸트의 정언명령과 가언명령 중 유일하게 정언명령을 실천할 수 있는 곳이 가정이고 그리고 학교 그리고 종교집단이다.

그런데 지금은 가정은 물론이고 학교도 종교집단도 목적이 아닌 수단으로 사람을 대한다.


목적이 아닌 수단은 예를 들어 이렇다.

상인이 손님에게 물건을 파는 이유는 손님이 왕이거나 그 손님에게 진심을 다해 서비스 하려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에게 서비스를 하고 돈을 받아내기 위해서다.

즉 수단으로서의 사람이라는 얘기다.

그런데 이런 인간관계가 통하지 않고 그 사람이 목적인 곳은 최소한 가족이다.

어머니가 아들에게 따뜻한 밥을 해주는 이유는 어떤 목적이 있어서가 아니라 아들을 사랑하는 마음 때문이라는 것이 아들이 수단이 아닌 목적이라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서 학교, 그 다음으로 종교집단인데 학교와 종교집단을 수단이 아닌 목적으로서의 공간이라고 보는 사람은 드물다.


학교가 학문을 하는 공간이 아닌 취업을 위한 도구가 된 것은 자본주의의 효율성이 학교까지 침투했음이다.

그럼 로스쿨을 노리는 학생은 정말 어떻게 해야 로스쿨을 들어가는지 알고나 공부를 할까?

로스쿨의 교수가 누구를 뽑고 싶어하는가가 중요한 기준 아닐까?

리트 시험 잘 본다고 지방대 학생을 뽑을까?

과연 강원대는 강원대 학생을 로스쿨로 뽑는 비율은 얼마나 될까?

제발 이런 비율이라도 보면서 공부하자.

아무리 코피 터지게 공부해도 이미 갈린 학벌의 차이는 극복할 수 없고 아까운 청춘만 흘러간다.

그래서 처음부터 학교를 잘 갔어야 했다.


세상이 돌아가는 이치를 알아야 한다.

학생들은 알 수없으니 어른들이 공부해서 가르쳐주자.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2292.76… 코스피 또 최고 기록 하루에 51.52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