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맥도날드 일으킨 가맹점 관리…한국선 '갑질 논란' 현장

 맥도날드 일으킨 가맹점 관리…한국선 '갑질 논란'

현장에서 

1950년대 미국 맥도날드 창업 뒷이야기 다룬 영화 '파운더'
그 당시도 점포관리로 갈등 

가맹업 균일 품질 핵심인데…프랜차이즈 정조준한 공정위
'본사=갑' 프레임 벗어나야    

  “우리 햄버거엔 피클이 두 개라니까! 왜 세 개가 들어있냐고!”

 

  맥도날드 창업자들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 ‘파운더’(사진). 맥도날드를 프랜차이즈로 전환한 직후 레이 크록이 가맹점주를 찾아가 햄버거를 바닥에 내던지며 한 말이다.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두 형제가 운영하던 작은 햄버거 레스토랑 맥도날드는 크록의 손을 거쳐 미국 문화의 상징이 됐다. 지금도 전 세계 인구의 1%가 먹는 세계 최대 프랜차이즈다.

영화 속에는 세 명의 파운더(창업자)가 나온다. 맥도날드를 처음 만든 맥도날드 형제와 이 가게를 프랜차이즈 사업으로 키운 크록. 영화는 맥도날드 형제와 크록의 갈등을 다루면서 프랜차이즈산업의 본질을 끊임없이 이야기한다. 창업자들의 고민은 한결같다. “지점을 내줬더니 관리가 안돼. 햄버거를 만들라니까 옥수수를 튀기고, 요즘 대세라면서 치킨을 팔고 있더군.” 1950년대 미국의 이야기다. 

국내에서도 비슷한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지난해 국내 프랜차이즈 점포 수는 20만 개를 넘은 것으로 추산된다. 프랜차이즈 본부와 가맹점 간 분쟁도 늘었다. 공정거래위원회 산하 공정거래조정원에 들어온 가맹사업 관련 분쟁조정신청은 2006년 212건에서 지난해 593건으로 늘었다. 10년 새 3배 가까이 증가했다.    

  맥도날드 "알바하며 평창올림픽 무료로 관람하세요" 

  공정위는 프랜차이즈 본사의 ‘갑질’을 손보겠다고 팔을 걷었다. 가맹점에 대한 보복 금지 규정을 신설하고, 구매 필수 물품 실태조사도 하겠다고 했다. 가맹본부가 가맹점에 필수 식자재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과도한 이익을 남기고 있다는 게 이유다. 

 

  가맹점주들은 환영하는 분위기다. 본사가 과도한 마진을 붙여 물품을 강매하거나, 일부 가맹점주에게 계약 해지 등 보복성 조치를 취하는 행위가 없어질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피자집을 운영하는 한 가맹점주는 “본사가 마트에서 파는 공산품까지 필수 구매 물품으로 지정해놓아 너무 비싼 가격으로 구매해야 하고, 인테리어도 8년 동안 세 차례나 바꿔야 했다”며 “공정위가 나서서 해결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반면 ‘프랜차이즈 본사=갑질’이라는 프레임에 갇히면 프랜차이즈산업 자체가 위축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일부 악덕 프랜차이즈 업체가 가족 명의의 인테리어 회사, 물류 회사 등을 차려놓고 공산품까지 판매하지만 이는 일부에서의 일이라는 주장이다. 오히려 가맹점의 자율권을 확대하면 ‘어디를 가나 같은 맛의 음식을 맛볼 수 있다’는 프랜차이즈산업의 본질을 해칠 수 있다는 의견이 많다. 한 피자 프랜차이즈 가맹점 점주들이 “우리 피자에 들어가는 치즈는 우리가 알아서 수급하겠다”고 나선 일도 있었다. 하지만 본부는 피자의 핵심 재료가 치즈인데 이를 양보하면, 피자 맛이 가맹점마다 다를 수밖에 없다며 버텼다. 

   프랜차이즈산업협회 관계자는 “본사가 적게는 수십 개, 많게는 1000여 개 점포를 관리하려면 엄격한 관리와 물류 시스템을 운영해야 하는 게 이 업종의 본질”이라며 “공정위가 가맹점의 자율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밀어붙이면 프랜차이즈산업 자체가 위축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크록은 과거 “본사와 가맹점주, 공급 업체가 의자의 세 다리와 같은 역할을 해야 맥도날드가 글로벌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본사가 가맹점주에게 사업 시작 단계부터 운영까지 모든 경영 노하우를 전수해야 한다는 것. 그 성장모델의 시작은 철저한 가맹점의 품질 관리에 있었다. 

김보라 생활경제부 기자 destinybr@hankyung.com
http://news.hankyung.com/industry/2017/05/30/2017053092611

프랜차이즈에 기본이 뭐라 생각하나?

같은 맛이다.


세상에서 제일 맛있는 김치찌게는?

답은 엄마의 김치찌게다.

왜냐하면 내 입맛에 맞는 익숙한 맛이기 때문이다.


스타벅스에서 커피를 마시면 모든 것이 스타벅스로 통일 되어 있다.

약간 시끄러운 째즈음에 인테리어에 동일한 커피맛으로 말이다.


만약 서울에서 이렇게 스타벅스에 익숙해지고 뉴욕을 갔다 치자.

그러면 뉴욕에선 어떨까?

뉴욕 스타벅스에 들어서는 순간 우리는 마치 친정집에 온 것 같은 익숙한 분위기와 익숙한 음악과 익숙한 맛에 빠져든다.

마치 서울에 있는 것처럼 편안한 기분이 들게 된다.

그리고 상하이를 가도 파리를 가도 방콕을 가도 마찬가지다.

그것이 스타벅스다.

맥도날드로 바꿔도 마찬가지다.

그들의 전략은 고도로 세련되어 있다. 

째즈음악은 아이들 뛰노는 소리와 엄마들 떠드는 소리를 상쇄하여 노트북을 펴고 공부를 하는 젊은이들도 신경쓰지 않고 공부를 할 수 있을 정도의 소리와 음악이다.

매장에 동일화를 위해 직영점만 하고 있으며 그들은 손님의 이름이나 닉네임을 부르지 진동벨을 나눠주지 않는다.

그들의 분위기와 경영철학이 들어가 있다.

이름을 부르는 것은 손님으로 하여금 익숙함과 친숙함을 느끼게 하기 위함이다.


어제 P 매장에 갔다.

음악소리는 들리지 않았고 인테리어도 그리 통일감 있지 않았다.


우리나라 프랜차이즈가 세계적으로 되지 않는 이유는 이러한 이유가 아닐까 싶다.

기사처럼 문제는 있다.

그러나 프랜차이즈에 기본은 익숙함이다.

그것이 맛이 있건 없건 간에 말이다.


그나마 파리바게뜨가 외국에서 선전중이다.
파리에도 있다고 한다.

파리도 잘 된다고 한다.

파리 사람들은 파리바게뜨가 파리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한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아마존 주가, 장중 1000달러 찍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