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r united Mar 06. 2018

critic 강홍구의 사진과 돌의 무의식

리서치,리:리서치 전 수록 작가론 - 강홍구

강홍구의 사진과 돌의 무의식



글 조주리


소재주의적으로 접근하자면 강홍구 작업에서 지배적인 이미지는 ‘집’처럼 보인다. 그것이 확장되어 마을과 도시, 문명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그런데, 지난 십여 년 동안 축적된 여러 작업들을 구성하는 더 근본적인 배경이 되는 이미지는, 나에게는 ‘돌’로 그려진다. 지방에서 신도시로, 이곳 저곳 빈번하게삶의 거처를 옮겨온 나에게 돌은 지질학적 분류에 따른 것이라기 보다 북한산의 독바위와 같은 ‘자연물’이기도 하고 현대적 건물의 파사드를 이루는 대리석같은 번쩍거리는 건축적 ‘재료’기도 하고, 변두리 주택가 특유의 회색조 경관을 이루는 시멘트나 벽돌 같은 ‘자재’이기도 하다. 어떤 면에서는 집도 길도, 산도 모두 돌인 셈이다.  그러니까 돌은 어떤 물성의 교집합이기 보다, 이 세계를 구성하는 가장 견고하고 거대한 합집합 덩어리다.   



ⓒ강홍구, 그집-암벽, Pigment Print, Ink, Acrylic, 105X200cm, 2010


2000년 이후 강홍구 작가의 사진을 모아놓은 카탈로그를 보면서 참으로 다양한 모양새와 질감을 지닌 돌들로부터 그것들의 무의식적 에너지와 마주하는 느낌을 받게 되었다. ‘무의식’이란 다분히 정신분석적 표현이고 따라서 인간중심적인 개념이지만, 자연에 내재된 무의식에 감응하는 것이 나 홀로 경험해 본 감정선은 아닐 것이다. 바위나 동굴이 나를 응시한다는 초현실적 느낌, 녹슨 철근이 볼품없이 튀어나온 콘크리트 덩어리가 발산하는 촉각적 권태로움, 포크레인에 가루가 되어버린 불광동 뒷산과 마주선 아파트 경관이 대치하면서 만들어내는 시각적 비루함. 흔히 생명력이 없다고 간주되는 돌의 자연석 변성과 마모, 그리고 굴삭과 분쇄와 같은 물리적 과정에 개입된 기계 문명의 흔적 속에서 그 어떤 애니미즘적 에테르가 전혀없다고 한다면, 그것은 퍽 건조한 논리다.     


ⓒ강홍구, 미키네 집 - 철거, Digital Photo & Print, 100x240cm, 2005-6


 그러니까 이 모두는 우리의 무의식이 투사된 감정이고 해석이긴 하지만, 강홍구가 오랜 시간, 여러 장소들을 돌며 부단히 채집해온 이미지 더미들이 발산하는 자연물/인공물로서의 돌의 무의식, 그것이 전달하는 미묘한 시그널을 무시할 수는 없다. 한 때 옹골찬 밀도로 우뚝 섰던 돌은 도시문명을 일으키고 들과 강을 지지하는 쐐기였지만, 부단히 패이고 깎이고 갈려져 이내 돌 그 자체의 오롯한 총체성이나 그것이 뿌리박혀 있는 장소성을 상실하여 우리 앞에 처리해야 할 도시의 잔여물로, 산업 폐기물로 흝어져 있다. 강홍구 사진속의 돌들은 특정한 의도에서 비롯된 사진적 전략과 미술적 장치를 통해 가공되고 변형되었지만, 대체로 그 안에서 무심하게 배경으로 깔려 있거나 귀퉁이에 잠복되어 있다 이따끔씩 그 자신의 무의식을 통해 심기를 툭 건드린다.  


                                   강홍구_우암 03_피그먼트 프린트_100×120cm_2012


 물론 나는 지난 수 세기 동안 전지구적으로 진행되어온 도시화 과정을 전면 부정하는 생태 근본주의자거나, 자연의 신묘한 힘을 추앙하는 오컬트주의자는 더더욱 아니다. 사진이미지에 대한 비평적 관점 혹은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예술적 담론구성과는 결이 다른 소재를 통해 그 동안 축적되어온 강홍구의 이미지 사전을 편집, 구성해 보면 좋겠다는 소박한 아이디어에 기껏 머물러 있는 정도이다.


작업에 대한 비평적 텍스트들은 당신 스스로에 의해, 그리고 명성있는 기획자와 이론가들에 의해 넘칠 정도의 분량으로 생산되어 왔기에, 그것들보다 적확한 표현을 찾아 내거나 참신한 해석을 제시하기도 쉽지 않다. 이번 전시에 초청하기 전까지는 개인적으로 이야기를 나눠 볼 일도, 그의 전작을 펼쳐놓고 이번 전시에 필요한 요소를 간파하기 위해 복기하듯 훑어본 적도 없었던 터다.  작가의 방대한 이미지와 텍스트의 더미를 더듬어가면서 인덱스를 뽑아내고 프로토콜을 분석하여 나름의 텍소노미를 구축해 볼 요량이었지만, 생각만큼 쉽지 않았던 듯 하다.  그리고 종국에는 그것이 그리 필요한 작업이었는가 하는 생각도 들었는데, 여하간에 나는 당분간 그의 작업을 따라 다니면서 나를 사로잡았던 자연의 무의식과 그것을 포획하여 배치한 작가의 시선, 혹은 그것과 상관없이 존재하는돌이 발신하는 에너지에 대해서 간혹 고민해 보려고 한다. 물론 이러한 관심사는 비단 강홍구의 작업에만머무는 것은 아니겠지만.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지난 봄 작가의 작업실에서 보았던, 이러저런 이유로 전시에는 소개되지 않았던 작업들이 담겨 있었던 폴더들 몇몇을 떠올려본다. 여태까지 잔상으로 남아있는 이미지들이라면 작가의 고향인 신안의 풍경, 그리고 아마도 벽제 인근에 있을 법한 주문형 석재 조형물작업장의 모습들이다. 탁하디 탁한 회색톤 시멘트로 마감한 신안 부둣가의 축대와 권태롭던 마을의 모습이 기억난다. 그리고 어딘지 비율이 맞지 않아 코믹함과 괴이함의 중간에 있던 화강암 조각들이 도열된 외곽 국도의 풍경만은 유독 선명하게 남아있다. 작가의 일상 속에서 습관처럼 채집된 이 이미지들 속에서 나는 돌의 풍경과 질감을 편집증적 시선으로 포획한다.


그리고 이내 섬 마을로, 괴물 같은 대도시로, 저 먼 세계로 이어지는 풍경의 사슬들을 꿰어본다.                                         

 

 

Photography of Kang Hong-Goo and the Unconsciousnessof Rocks*

 

The dominantimages in Kang Hong Goo’s works in terms of subject matter appear to be ‘houses,’which would aggregate to constitute villages, cities and civilizations. Personally,‘rocks’ loom larger as the principal contextual image in his decade plus work.For someone who has frequently moved from provinces to new towns, and between Koreaand overseas, rocks resist simply falling under a geological category. Rather, theybecome a part of ‘nature’ in the likes of the protruding boulder along theBukhan Mountain ridge; or architectural ‘material’ conveyed by the gleamingmarble façade of a modern high-rise; or building ‘blocks’ in the forms ofbricks and cement that render the ashen landscape of a typical suburban residentialdistrict. In a certain sense, houses, roads and mountains are all essentially rocks; thus, rather than being a mere crossing of properties, rocks collectively embody the entire world as the most enduring and colossal lump.


When I leaf through Kang’s catalogue of photographs taken since 2000, I come incontact with the unconscious energy as it were, from rocks of various shapesand textures. ‘Unconsciousness’ is a psychoanalytic term, which necessarily makes it a human-centered concept; but I believe I’m not alone in sensing arange of emotions stirred by the unconsciousness embedded in nature. Supernaturalawe that envelops you when you feel as if a boulder or a cave is staring intoyour eyes; the tactile ennui emanating from a concrete slab with a rusty steelwire sticking out; the abject juxtaposition of the backyard hills in Bulgwang-dongdemolished by a bulldozer with an apartment complex standing erect. When youconsider the rocks’ natural variability and the marks of the machine-drivencivilization, which entailed a series of physical transformative processincluding abrasion, excavation, excision, conjugation and pulverization, anylogic that denies the animistic ether preserved in rocks, though often regardedas lifeless, would be devoid of imagination.


Our own unconsciousness superimposed on rocks may have spawned these feelings andanalyses, but the subtle signals of unconsciousness emitted from rocks in theirnatural and artificial forms – as captured in the pile of images Kang collected from traversing various locales for long  - cannot be simply brushed away. The dense rocks were once chief pillars of ancient civilizations and wedges anchoring fieldsand rivers. It was the relentless furrowing, paving and cracking that robbed these rocks of their integrity and deep-rooted sense of place, and reduced themto urban residues and industrial wastes harrowingly scattered about. Althoughthe image of rocks have been touched up and modified in line with shooting strategies and artistic techniques to suit specific purposes, they seem ingeneral to sit nonchalantly in the background or lay ambushed in the corner.These rocks occasionally tap at the viewers’ heart through their own unconsciousness.


I must stress that I am not an overzealous ecologist whoadamantly negates the worldwide urbanization transpiring over a few centuries,nor am I am occultist enthralled to the mystic power of nature. I am merelynursing a humble inclination to design and compile an image compendium out ofthe cumulative trove of Kang’s photography through a critical perspective on hisimageries or keywords from an alternate artistic discourse on gentrification.

Giventhe wealth of critical assessment of his works by the artist himself andprominent gallery directors and theorists, it would be challenging to attempt amore precise and sophisticated portrayal or add fresh insight. I never had thechance to talk to the artist in person before the exhibit nor to peruse hisearly work to identify the defining elements for the sake of this show. Isimply set out to build a working taxonomy by tracing vast images and texts, extractingindices and analyzing his modus operandi, which proved harder than anticipated.Ultimately, I came to wonder whether such work was called for in the firstplace. At any rate, I intend to closely follow his work for the time being andmull over the unconsciousness of nature that mesmerized me, the artist’s keeneyes that seized and laid it across canvas, as well as the sheer energy waftingout of the oblivious rocks, though I reckon such interest would go beyond Kang’sworks.


Circling back, I jog my memory of coming across several folders at his studio lastspring, containing various pieces excluded from this exhibit for one reason oranother. Images that linger in my head are of the artist’s hometown Sinan andthe made-to-order stone sculpture studio, similar to ones you could expect tofind near Byeokje where a cluster of tombstone-producing studios are located. Ialso recall the stretch of quayside pavement covered in stuffy gray cement and the hamlet in doldrums. The outskirt highway lined up with granite pieces inparticular – whose disproportionality teetered between the comical and absurd -is quite deeply etched in my memory. I compulsively seek out the sceneries and texture of rocks in the image piles Kang routinely assembled in his daily life. Then I let my imagination take flight, jumping from a small island hamlet to amegalpolis, then further leap on to span the globe, weaving an intricate web oflandscapes.


*

Written by Juri Cho, Translated by Jiyoung Kim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