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Clarice Mar 28. 2022

중독

인문잡지 한편 7, 민음사

인생 샷을 찾는 사람들 - 김지효 여성학자

22p 셀카 증후군은 하루에 몇 번 이상 타자의 관심을 끌지 못하면 얼굴이나 몸매 등 자신의 신체에 수치심을 느끼거나 자존감에 상처를 받아 우울증에 빠지는 자아 중독 상태를 뜻한다. 철학자 한병철은 "셀카 중독은 고립된 나르시시즘적 자아의 공회전"같다고 설명한 바 있다. 그는 셀카 촬영이 자기 상해를 통해 공허한 자아를 처리하려 한다는 점에서 자살 테러와 결줄 수 있다고 분석한다.

24p "셀카에 빠진 자아 중독자"이자 "어린 나르시시스트"들이 "자기에 대한 관심만큼이나 타인에 대한 공감"을 늘려야 한다고 말한다.

25p 인생 샷이 처음부터 끝까지 집단지성을 활용한 협업 체제를 통해 만들어진다

29p 셀카는 사회와 격리된 진공의 공간에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보는 사람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들과의 관계성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서 제작된다. 다시 말해 셀카는 여성 개인이 아닌 이성애 중심적 사회관계와 연관되어 있다.


미디어 중독자의 행복한 삶 - 김민주 대중음악 비평가

51p 건강과 거리가 멀어 보이는 미디어 중독 덕분에 상상 이상의 행복을 얻었다는 사실이 신기하다. 미디어 중독자 덕후는 넓고 원만한 인간과계를 가지고 있는 인싸의 반대항에 있다. 오프라인에서 겪는 여러 불화와 폭력, 고통은 미디어 중독을 이끄는 강한 동인이고 나 역시 그렇게 중독자가 되었다. 그러나 중독자로 살며 상상 밖의 방식으로 행복해져 보니 인생은 그렇게 함부로 속단할 수 있는 게 아닌 것 같다.

52p 사회 일반은 물론 중독자 자신도 미디어 중독은 행복과 먼 일이라고 생각하지만 우리는 우리가 모르는 방식의 행복을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취급해 온 것 같다. 어떻게든 살아간다면 행복은 있다.

 

"담배, 참 맛있죠" - 김관욱 가정의학과 전문의

65p 심리학자 와버튼 박사는 일찍이 1970년대 말 영국 사회를 관찰하며 드러그 푸드가 현대사회에서 "성공으로 향하는 화학 도로"가 되어 버렸다고 지적했다. 이 화학 도로를 구성하는 상품에는 술, 담배, 커피, 차, 설탕 등 합법적 드러그 푸드뿐 아니라 항우울증 약, 카페인 약, 기면증 약, ADHD 약 등 의약품까지 포함되어 있다. 한국에서도 관련된 대표적 약물이 있지 않았던가. 소위 '잠 깨는 약'으로 알려진 고 카페인 약물 타이밍 말이다. 어찌 보면 불코의 지적처럼 사람들이 중독에 빠져 브레이크 없는 차를 몰도록 이 사회가 조장한다면, 현대인은 생존하기 위해 스스로 브레이크를 빼 버리고 더 세게 가속 페달을 밟고 있는지 모른다. 이 사회는 멈추지 못해 죽는 것이 아니라 속도가 느려 죽임을 당하는 사회에 가깝지 않을까.


섹스 중계자들의 우화 - 허성원 여성학 학자

84p 나를 유지하는 일을 계속하기 위해 우리는 종종 반복의 안락함에 기댄다.

이 세상에서 자기 자신을 유지하는 한 삶은 하나의 중독에서 다른 중독으로 계속 이행해 가는 과정이고 중독이란 그저 삶의 또 다른 양상을 나타내는 이름일 뿐이다. 중독의 개념적 확장이 중독과 일상을 무분별하게 뒤섞어 버린다? 중독과 일상을 유지하는 서사 사이의 공통점을 강조하는 것은 삶을 다른 방향에서 생각해볼 만한 기회를 제공한다. 중독이 없는 세계를 그릴 수 없을지라도 중독 너머를 상상할 수는 있다.

87p 중독 너머의 삶에 대한 용기, 희망은 때때로 절박한 형태로 구체화된다.

반복이 주는 안온함, 지루함 vs 충동, 해방감=구속감

88p 새로움을 감각하는 힘의 차원에서 우리의 삶을 다시 보는 것은 삶을 중독의 연속일 뿐 아니라 이행의 연속으로도 볼 수 있게 만든다.


중독자의 곁에 있기 - 임민경 임상심리 전문가

99p [공동 의존] 중독이 미치는 영향을 개인 내에서만 고려할 것이 아니라 가족 전체가 중독자와 맺고 있는 관계를 살펴보아야 하며 가족 당사자는 중독자의 유독한 영향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중요하다는 관념

105p 중독 물질에 대한 강렬한 유혹은 스스로 조절할 수 없지만 중독 치료의 근본은 그런 욕망 자체가 아니라 행동을 조절하는 데 있다.

106p 우리는 중간지대를 찾을 수 있다. 중독자가 벌이는 모든 사고와 문제를 대신 처리해 주거나 그의 인생을 떠안는 대신 중독의 유혹이 찾아왔을 때 저항하는 방법을 함께 찾아보는 방식으로 지지와 사랑을 표현할 수 있다.


강제 치료를 둘러싼 문제 - 유기훈 정신과 전문의

120p 치료와 자율성의 딜레마 속에서 중독 당사자의 자율성을 보장하는 동시에 회복을 모색하는 일은 가능할 것인가?

121p 발달장애인이 신경 다양성을 지니고 사회에서 살아가면서 다양한 장애를 겪는 것은 문제적인 뇌를 지니고 있어서가 아니라 사회가 이러한 신경학적 소수자에 대해 충분히 준비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즉 장애의 원인은 장애 당사자의 뇌 내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소수자를 장애 화하는 사회에 놓이게 된다.

122p 사회가 어떠한 삶의 선택지와 역량을 보장하는지에 따라 신경 다양성을 지닌 개인의 삶의 모습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124p 중독은 뇌의 신경 다양성으로부터 출발해 수많은 경로를 선택하며 삶의 구체적 양상으로 나아가는 일련의 과정이다. 그 과정에서 중독자는 만성 뇌질환을 가진 수동적 치료 대상이 아니며 신경학적 소수성으로 인한 자신의 어려움에 대해 사회에 선택지를 요구하고 확정하며 자율적인 삶을 사는 주체가 된다. 신경학적 소수자의 삶의 가능성을 확보하려는 모두의 노력 속에서 중독 당사자의 새로운 삶 또한 가능해질 것이다.


불멸에 이르는 중독 - 노경희 국어국문학 교수

131p 중독: 독에 적중하다, 독성 물질로 생명이 위험한 poisoning, 알코올이나 약물과용 intoxication, 정신적 차원의 습관적으로 물질 또는 행위를 찾는 addiction (스스로를 노예로 만드는 사람, 자발적으로 노예가 된 사람)

132p 한용운 [복종] 중독의 시적 묘사. 자유를 사랑하지만 당신에게만은 기꺼이 나를 바치고 싶은 스스로의 의지로 결정한 복종은 아름다운 자유보다 달콤하다. 거기서 나는 행복을 느낀다.

139p 사상적인 독을 규정하는 것은 결국 가치의 문제다. 내 편이 아닌 것은 모두 독이며 해악이다. 그러나 이 독은 누군가에게는 목숨을 걸고 지켜야 하는 신념이다.  예) 조선 후기 천주교, 순교자=불멸, 불사의 약, 중국 황제들의 수은을 마시는 불멸

145p 엄격한 신분과 규범에 눌려 꽉 막힌 조선 후기 사회에 역동적인 변화와 창조를 가져온 것은 바로 이들의 무언가에 빠진 삶이었다. 중독은 유한한 인간이 불멸을 얻어 내는 유일한 길이다. 그 빠지는 대상이 나보다 더 크기에 기꺼이 나를 바치는 것이라면 천국에 오르는 계단이 될 수도 있고 그것이 나 자신을 잃고 노예가 되는 것이라면 지옥의 문 앞에 서는 행위일 수도 있지만 또한 누가 알까. 내가 천국이라 믿은 곳이 사실상 누군가의 지옥이고 누구나 지옥이라 말하는 곳이 나의 천국이라는 사실을.


CEO의 '착한' 경쟁 이야기 - 조성도 슬로워크 CEO

153p retention(특정 제품이나 서비스의 지속적 소비, 재방문)

155p 환성 사용자는 특정 제품을 습관적으로 이용하는 사용자. 우리는 하나이상의 디지털 제품에 습관이 들거나 중독된 사회에 살고 있다. 그로스 해킹, 직관적 디자인

156p  정기적 일정에 맞춘 뉴스레터 발송 '스티비': 알고리즘 피로도 해소, 구독 정보 프라이버시 보호

주 1회 소셜 섹터 이슈 발행본 '오렌지 레터'


집으로 돈 버는 세계에서 - 정진영 지리학 전공자

182p 누구나 집주인이 되어 돈을 벌고 싶어 한다. 그런데 집을 통해 돈을 벌고자 하는 평범한 욕망은 역설적으로 비적정 주거가 생산되고 유지되는 동력으로 작용한다. 어떤 공급자는 투자에 실패하고 위험을 떠안으며 누군가는 인간의 존엄을 헤치는 집에서 살아간다. 무언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어렴풋이 느끼지만 동참하지 않으면 도태될 것만 같다. 이처럼 총체적으로 모순된 상황을 '부동산 중독'이라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인문서에 집착하는 이유 - 지비원 편집자, 일본어 번역가

195p 오류를 교정하는 것은 물론 본의를 해치지 않으면서도 더 좋은 표현을 찾아야 한다. 이는 흔히 교정교열이라고 불리지만 글을 고친다는 일반적 인식을 넘어서는 가능성을 생각하게 돕는 개념이 있다. 언어 기호를 다른 언어 기호로 해석, 언어 간 번역, 기호 간 번역



중독에 대한 여러 정의 중 어떤 관점으로 바라보느냐가 중요하다. 그리고 중독은 개인이 원인이고 문제가 아니라 그렇게 만들어가는 사회가 문제인 것이다. 중독을 양산해내는 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한 목소리로 이야기하는 책이라 정의 내리고 싶다.

매거진의 이전글 지금을 즐길 줄 아는 담력 그리고 40대의 템포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