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정관 May 31. 2023

자사호에 새겨진 '舍得'-버림의 미학

내려놓고 버려야만 얻을 수 있다

저는 자사호를 주로 석표를 씁니다. 모양이 안정적이고 내구성도 좋아서 관리하기 좋습니다. 숙차 전용으로 쓰는 이 석표는 용량도 150cc로 넉넉합니다.


자사호에 새겨진 글귀는 차를 마실 때마다 마음을 어디에 두어야 하는지 잊지 않도록 해준다


이 석표에는 '舍得'이라 각이 되어 있습니다. 이 말을 중국 사람들이 얼마나 좋아하는지 빠이주도 있는데 명주라고 합니다. 술을 즐기지 않지만 빠이주는 좋아하니 구해서 마셔보고 싶네요. ㅎㅎ

舍得은 버려서 얻는다는 뜻입니다. 기꺼이 버릴 수 있을 때 바라는 것을 얻게 된다고 합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얻으려고 애를 쓰지만 나누고 버리는 데에는 익숙해지기 어렵습니다.


운동선수들이 마음 수양도 같이 하는데 그 이유는 욕심을 내려놓기 위함이라 하더군요. 더 좋은 성적을 내려고 용을 쓰면 쓸수록 바라는 결과가 나오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래서 운동선수들이 가장 많이 듣는 말이며 자신도 그렇게 하려는 게 '힘을 빼라'일 것입니다.


최고의 성적을 얻으려는 마음은 욕심이며 최선을 다하는 마음은 내려놓음이라 그 의미가 '舍得'이 아닌가 싶습니다. 인간 관계도 그와 같아서 바라는 바가 없으면 어떤 사람과도 가까이하며 지낼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해관계에 얽히면 가까이할 사람을 찾는 게 얼마나 어려운지 모릅니다. 아마도 진정 바라는 건 버린다는 생각 없이 내려놓을 때 얻어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버림은 씨앗이 되고 얻음은 그 열매다'
'어떤 씨앗은 빨리 싹을 틔우지만 또 어떤 것은 더디게 나오기도 한다,

불교에 '布施'가 이런 의미인데 아예 바라지 않고 나눈다는 말이지요. 성공을 일구어 낸 많은 사람들은 '기꺼이 버린다'는 말의 뜻을 제대로 이해했기에 가능하지 않았을까요?  


차보관 상자에 좋은 글귀를 써두고 차를 꺼내면서 보고 새깁니다


보이차로 차 생활을 하는 제게도 이 '舍得'이라는 말을 잘 새겨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수백 종류의 차를 가지고 있지만 정작 자주 마시게 되는 차는 십여 편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근래에 와서 첫물차를 마시게 되면서 거의 그 차에만 손이 가는 걸 보면서 취하는 만큼 버려야 한다는 걸 깨닫게 되었습니다.


첫물차는 한자로는 우리나라는 雨前이라 하고 중국에서는 明前, 早春, 頭春이라고 쓰는데 귀한 차입니다. 우리 입은 간사해서 더 맛있고 달콤한 음식에 끌리게 되지요. 걸림 없는 차 생활을 하려 한다면 첫물차에는 발을 들여놓으면 안 되겠더라고요.


환갑이 넘어서면서 차 생활도 후일을 기하는 쪽보다는 지금 맛있는 차를 마시려고 합니다. 딸, 사위, 손주도 차를 좋아하니 내가 지금 마시지 않는 차는 대를 물리면 되지요. 내 입에 맞는 차를 찾게 되니 차를 구하는 욕심이 사라지는 걸 느끼게 됩니다.




'舍得',

욕심을 내려놓으니 차를 마시는데 집중할 수 있네요.

내 입에 맞는 차를 찾았다면 더 좋은 차에 욕심을 가지지 않아야 온전한 차의 향미를 맛볼 수 있습니다.  



무 설 자

매거진의 이전글 보이차 가격이 3만 원과 3백만 원은 어떻게 달라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