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정관 Jun 28. 2023

우리집은 마땅히 이런 곳이어라

House에 살면서 Home을 그리워 한다

투명인간의 작가 허버트 조지 웰스는 집이야말로 힘든 인생의 안식처요, 모든 싸움이 자취를 감추고 사랑이 싹트는 곳이며, 큰 사람이 작아지고 작은 사람이 커지는 곳이라고 했다. 그래서 타향에 살면서 힘들 때 집을 떠올리면 눈물과 함께 마음이 편안해진다. 나이가 들어 지난 시간을 돌아보면 절로 미소가 지어지는데 그건 어린 시절의 ‘우리집’에 대한 그리움이 주는 안식 효과일 터이다.     


이렇게 누구에게나 집은 말 자체로도 마음이 편안해지고 미소가 지어지게 한다. 집을 영어로 번역하려면 Home과 House로 구분해야 한다. Home은 가정, House는 가옥으로 나누어지지만 우리말은 그냥 집으로 통칭해서 쓴다. 집이라는 말이 우리의 삶에 영향을 주는 건 분명 House가 아니라 Home일 것이다. ‘어떤 집’에 살았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살았던 집’이었느냐가 중요하다는 의미이다.     

집은 힘든 인생의 안식처요,
모든 싸움이 자취를 감추고 사랑이 싹트는 곳이며,
큰 사람이 작아지고 작은 사람이 커지는 곳


누구나 지난 시간을 어떻게 살았는지 돌아보면 기억하고 싶지 않은 일이 더 많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 힘든 시간을 이겨낼 수 있게 했던 일과 사람이 있다. 인자한 엄마일 수도 있고 과묵했지만 우리집의 버팀목이 되어 주셨던 아버지가 그 사람인 집도 있다. 어느 집 할 것 없이 어려웠던 지난 시절은 한 집에서 적지 않은 식구들이 서로 배려하고 희생하면서 버텨내다시피 살았다.


우리가 집에 대한 추억을 떠올리며 미소와 눈물을 짓게 되는 건 어떻게 살았는지 돌아볼 거리가 있기 때문일 것이다.    

 

집은 힘든 인생의 안식처     


‘집이라면 모름지기 어떠해야 하는가?’라는 명제가 주어진다면 ‘안식처’라고 답하는 사람이 많지 않을까 싶다. ‘즐거운 곳에서는 날 오라 하여도 내 쉴 곳은 작은 집 내 집 뿐이리’라는 노랫말처럼 우리집이 아니면 그 어디에서 편히 쉴 수 있겠는가? 집이라는 말은 그 자체로 그 누구에게든 안식처가 되어여 하며 또 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요즘 우리네 삶을 돌아보면 집이 과연 안식처인지 물어보지 않을 수 없다. 밤이 이슥한 시간인데도 불이 꺼져 있는 집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일이 마쳐지면 누구나 집으로 돌아가야 할 텐데 불이 켜지지 않고 있다는 건 아무도 돌아오지 않았다는 게 아닌가?     

일이 마쳐지면 서둘러 돌아가야 할 곳은 당연히 집이 아닌가?


밤늦도록 불이 켜지지 않는 집들을 지켜보면 어쩌다 그러는 게 아니다. 그 집들에 초저녁에 불이 켜지는 건 드문 일이다. 이런 집이 날이 갈수록 느는 게 요즘 우리의 현실인 것이 참 서글프다. 이런 집에 사는 사람들은 집이 더 이상 안식처가 아닐지도 모른다.     


집이 안식처가 되려면 기다리는 사람이 있어야 할 것이다. 일이 마쳐지면 서둘러 돌아가야 할 곳은 당연히 집이고 저녁밥을 같이 먹을 식구가 기다리고 있다. 아침 일찍 집을 나가 하루종일 열심히 일하는 건 저녁에 집에서 식구들과 즐거운 시간을 보내기 위함이지 않은가?      


집은 사랑을 나누는 곳     


웃음소리가 담을 넘는 집을 바라지 않는 사람이 있을까? 이제 다들 아파트에 사니 담을 창으로 고쳐 써야겠지만 층간 소음으로 이웃에 방해가 되지 않을 정도의 웃음소리면 좋겠다. 아무리 식구라도 늘 웃으며 지낼 수 없으니 가끔은 다투기도 하겠지만 그날을 넘기지 않으면 될 터이다.      


집 밖을 나서면 전쟁터로 나가듯 치열하게 살아야 한다. 그렇게 낮 시간을 보내고 돌아온 집에서는 먹는 저녁 밥상은 된장찌개면 어떻고 김치찌개면 어떠랴. 식구들이 마주 앉아 밥을 먹으면서 도란도란 얘길 나누면 그게 사랑이며 행복이라는 걸 알면 좋겠다.     

가족과 달리 밥을 같이 먹어야 식구라 부를 수 있다



먼 미래의 행복을 위해 지금은 밥 먹을 시간도, 얘길 나눌 틈도 없다며 저녁 시간을 가지지 못하는 집이 많다. 부모와 시간을 갖지 못하는 성장기의 아이들은 사랑에 목이 마르다. 부모의 사랑을 받지 못하고 자란 아이들은 자라서 부모에게 돌려줄 게 없다.      


우리집에서 먹는 밥은 바로 부모와 자식이, 부부가 서로 나누는 사랑이다. 저녁은 꼭 챙겨 먹어야 하지만 아침까지 식구들이 같이 먹는 집은 그야말로 사랑이 넘치는 집- Home, Sweet Home이라 해도 되지 않을까 싶다. 가족과 달리 밥을 같이 먹어야 식구라 부를 수 있다. 식구라는 단어에 가족이라는 말과 다르게 사랑이 묻어나지 않는가?     


집은 큰 사람이 작아지고 작은 사람이 커지는 곳     


대통령도, 장군도 집에서는 구성원의 하나일 뿐이어야 한다. 오죽하면 미국 대통령이 온 세계를 움직이지만 그 대통령을 꼼짝 못 하게 하는 건 그의 부인이라고 했을까? 자식 이기는 부모가 없다고 했으니 대통령과 그의 부인도 자식 앞에선 그냥 부모일 따름일 것이다.     


아무리 큰 권력과 명예를 가진 사람이라 할지라도 그의 집에선 식구 중에 한 명일 뿐이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아무리 위대한 사람이라 할지라도 집에서는 보통 사람들과 다름없이 지냈다는 걸 알 수 있다.  집은 그렇게 큰 사람이 작아지는 곳이다.     

왜 일인가구로 홀로 사는 사람이 늘고 있는 것일까?


그럼 작은 사람이 커지는 곳이 집이라니 왜 그럴까? 집에는 식구들이 사는데 서로 공경하듯 지내면 누구든 큰 사람으로 살게 된다. 예전에는 집은 가장이 지배하는 독재적인 분위기였지만 이제는 민주적인 관계로 사는 분위기가 되었다.      


가사를 전담한다며 주부라는 역할로 살았던 며느리, 아내, 엄마는 누구라도 원치 않는다. 가사는 평등하게 온 식구가 함께 해야 하는데 지금은 바깥일도 함께 하며 살기 때문이다. 어쩌면 지금은 집에서 큰 사람과 작은 사람이 없는 시대라고 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왜 일인가구로 홀로 사는 사람이 늘고 있는 것일까?




필자 설계 경남 양산시 소재 단독주택 석경수헌-크지 않은 집이지만 손님방까지 갖춰 '우리집'으로 찾아올 사람의 범위를 넓혔다


가을이면 은행나무 은행잎이 노랗게 물드는 집

해가 저무는 날 먼데서도 내 눈에 가장 먼저 뜨이는 집

생각하면 그리웁고

바라보면 정다웠던 집

어디 갔다 늦게 집에 가는 밤이면

불빛이, 따뜻한 불빛이 검은 산 속에 깜박깜박

살아 있는 집

그 불빛 아래 앉아 수를 놓으며 앉아 있을

그 여자의 까만 머릿결과 어깨를 생각만 해도

손길이 따뜻해져오는 집   

  

-박완서의 시 그 여자네 집 중에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