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병호 Nov 06. 2019

85. WBS 정의

성공적인 소프트웨어 신상품 개발가이드

WBS는 Work Breakdown Structure의 약어로 ‘작업분류체계’라고도 하며 프로젝트에서 수행할 작업을 계층적으로 정의한 문서이다. 이번 섹션에서는 WBS의 분할 방법과 WBS가 일정관리에서 필요한 이유를 설명한다. 

 

1) WBS를 작성하는 방법 

소프트웨어 상품개발WBS는 상품개발을 위해 수행하는 작업을 계층적으로 정리한 산출물로 what에 해당하는 상품기능과 how에 해당하는 소프트웨어 라이프사이클의 관점에서 분할하고 정의한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 관리시스템(PMS, Project Management System)을 개발하는 프로젝트의 WBS 예는 아래 그림과 같다. 그림의 예는 1 레벨은 최상위 수준의 상품기능을 분류하고 2,3 레벨은 라이프사이클 관점에서, 4 레벨은 다시 상품기능 관점에서 분류한 것이다.


애자일 개발계획에서는 아래 그림과 같이 상품기능(요구사항) 중심의 계획을 수립한다.

하드웨어 상품을 개발하는 WBS의 예는 아래와 같다.

WBS가 적절하게 분할되었는지 판단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워크 패키지(Work package)는 WBS 최하위 레벨의 작업을 의미한다.


각 워크패키지의 완료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최하위 레벨이 ‘화면 설계’라고 할 때 해당 작업의 완료 여부를 비교적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최하위 레벨을 기초설계라고 하면 완료의 기준이 불명확해진다.


각 워크패키지마다 산출물을 정의할 수 있어야 한다

산출물의 이미지가 분명하지 않거나 관점에 따라 다른 해석이 나올 수 있으면 분할이 적절하게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각 워크패키지마다 원가, 일정, 자원을 신뢰성 있게 추정할 수 있어야 한다.

워크패키지 레벨에서 원가, 일정, 자원을 추정하기 힘들면 워크패키지 분할이 덜 된 상태이거나 추정을 위한 정보가 부족한 상태이다. 


워크패키지의 기간이 조직에서 정의한 상한선을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워크패키지 작업기간이 2주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지만 프로젝트의 규모 혹은 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워크패키지 수행기간은 작업 모니터링의 주기와 관련이 있다. 그 이유는 워크패키지를 모니터링 하는 관점이 계획된 일정에 착수하여 계획된 일정에 종료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워크패키지 작업이 진행중에는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힘들다. 워크패키지의 수행기간이 길어지면 모니터링의 기간도 길어져 작업수행과 관련된 위험을 파악하기 힘들어지는 단점이 있다.


2) 일정관리에서 WBS가 필요한 이유


척추가 몸의 중심과 골격을 잡아주듯이WBS는 다음과 같이 프로젝트 계획 및 통제의 핵심이 된다. WBS가 변경되는 경우엔 산출물이나 작업방법이 변경되기 때문에 프로젝트 계획을 업데이트해야 한다.


추정의 정확성을 높인다

WBS는 신상품 개발 업무를 작은 덩어리로 분할하여 각종 추정(원가, 일정, 자원)의 정확성을 높여준다. 문제는 ‘어느 수준까지 분할할 것인가’이다. 분할을 상세하게 하면 할수록 원가나 일정을 더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지만, 분할을 위한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에 추정의 정확성과 비용의 상충관계를 고려하여 분할해야 한다. 통상 원가와 일정을 신뢰성 있게 추정할 수 있는 수준까지 분할하는 것이 적절하다. 프로젝트 착수시점에서 정보가 부족해 더 이상 분할이 힘든 경우에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상세한 분할을 한 뒤 추정치도 보완한다.


책임과 역할을 명확히 한다

수행할 작업(WBS)가 불명확하면 책임과 역할도 모호할 수밖에 없다. WBS의 계층적 구분은 책임과 역할도 계층적으로 정의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일정계획 수립’을 코딩할 담당자도 정의하지만, 일정관리 전체업무를 책임지는 관리자도 정할 수 있다.


모니터링 및 통제를 용이하게 한다

워크 패키지에 일정과 원가를 부여하기 때문에 작은 프로젝트처럼 관리할 수 있다. 프로젝트 전체 레벨(1 레벨)에서는 업무규모가 커서 일정과 원가의 계획 대비 실적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힘들기 때문에, 분할한 업무단위로 일정과 원가 성과를 모니터링해야 부진업무에 대한 시정조치가 가능하다.


https://brunch.co.kr/@kbhpmp/160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