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는 있었나? 중소기업들에게 4차 산업 혁명이란...
4차 산업 혁명에 대한 읽을 거리와 기사로 넘쳐난다.
중소기업들에게 비추어진 "4차 산업 혁명"은 어떤 모습일까 ?
사전적인 정의를 우선 찾아 보자.
"제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으로 자동화와 연결성이 극대화되는 산업환경의 변화를 의미한다. 2015년부터 여러 도서를 통해 알려지기 시작한 후, 2016년 1월 20일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에서도 언급되기 시작했으며, 학자에 따라 제시하는 키워드는 조금씩 다르지만, 대체로 기계학습과 인공지능의 발달이 주요 수단으로 꼽힌다. 이번 경우에는 산업혁명이라는 표현이 정말 잘 어울린다고 할 수 있는데, 18세기 산업 혁명 수준이나 그 이상의 생산 효율 증가가 예견되어 있기 때문이다. 과거 한 대의 기계가 수백 명의 노동자들을 대체했듯이 이번에는 프로그램 하나, 컴퓨터 한 대가 수백, 혹은 수십만 명의 전문 인력을 대체할 수 있게 된다.
국내에서는 관련 번역 도서가 간간히 들어오는 정도였으나 2017년부터 19대 대선을 앞두고 문재인, 안철수, 유승민을 중심으로 여러 대선 주자들이 4차 산업혁명을 강조하면서 인지도가 크게 올랐다. 그런데 그 대책이랍시고 내놓는 정책이 중소기업 육성, 아니면 여성의 사회 참여 증대 같은 것임을 보면 이 현상을 완벽히 이해하고 있는 것 같지는 않다는 의견도 있다.
2010년대 중반부터 드러나기 시작한 제4차 산업혁명은 현재진행형이며, 이미 사회 곳곳에 그 여파가 드러나고 있다. 현재 전 세계의 실업자 수는 약 10억 명 이상으로 추산된다. 앞으로 더 많은 일자리가 사라질 것이다. 학자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전체 일자리의 80~99%가 소멸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러한 결론은 너무나 파괴적이어서, 가장 뛰어난 지성들조차도 미래를 예측하기 주저하게 만든다. 만약 우리가 현재의 경제 구조를 그대로 간직한 채로 이런 극단적인 노동 수요 감소를 맞이한다면, 그 결과는 전례 없이 끔찍한 대공황이 될 것이다.
아주 긍정적으로 생각한다면, 일자리의 90%가 없어졌을 때 10명 중 한두 명만 짧은 노동을 하고, 나머지 대부분의 시민들은 노동에서 완전히 해방되어 인공지능이 제공해 주는 무제한적인 자원을 마음껏 향유하는 유토피아를 꿈꿀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런 이상적인 미래는 현재의 경제 구조로는 절대 달성할 수 없음이 분명하다. 지옥과 천국을 오가는 미래 중에서 조금이라도유토피아에 가까운 미래를 달성하기 위한 전세계 지식인들의 고민이 이어지고 있다."
[출처] 나무위키
초연결, 그리고 초지능... 어떻게?
전쟁의 상처를 딛고 미국과 일본의 차관으로 우리는 일어섰다. 기름 한방을 나지 않는 자원 빈국에서 가발을 만들어 수출했고, 정부에서는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른바 재벌키우기에 나섰고 결국 한강의 기적을 만들어 냈다. 여기까지 아닌가 ?
재벌 중심의 제조업은 주변 후진국에게 자리를 내주고 있고 중소기업들의 희생으로 성장해 온 재벌들은 천문학적인 현금을 쌓아놓은 채 새 정부의 눈치를 보고 있다.
분명 제4차 산업 혁명의 출발은 대기업이 중심이 될 수 밖에 없다.
생존이 목표인 중소 기업들에게는 먼 발치 이야기 일 뿐이다.
하지만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글로벌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고, Personalized Product가 곧 중심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나이키는 개인 맞춤형 상품을 곧 출시한다.
전세계 어디서나 원하는 맞춤형 상품을 만들어 낸다고 한다.
플랫폼만이 살길.
단순 제조업으로 이제 더이상 성장은 어렵다. O2O 서비스가 넘쳐나지만 실제 돈버는 회사들은 그리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고, 기술력은 충분하나 자금력이 뒷받침되지 않는다.
몸 담고 있는 회사의 경우 과감한 사업 방향 재편과 투자로 플랫폼 기업으로 변모하고 있고, 적정 기술과 적정 상품으로 동남아 시장에서 성과를 만들어 내고 있다. 경력자 중심의 인력들이 대거 충원되고, 마케팅 역시 관련 선수들로 채워졌다.
플랫폼 비지니스에 대한 이해도와 높은 열정, 그리고 회사의 아낌없는 투자는 실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
2편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