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신선동자 Feb 15. 2020

부모의 결벽증이 아이에게 미치는 영향

아이는 인생 초보운전

결벽증이라 하면, 지나치게 청결이나 완벽을 추구하는 성격을 결벽증이라고 하는데, 이 결벽증을 잘 조절하고 결벽증이 자기한테로 향하면 자기 관리가 철저한 사람이 될 수 있다. 자기한테 향하는 결벽증은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그만큼 참 피곤하다. 자기를 끊임없이 되돌아보고 발전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이런 분야가 수백 수천 가지라면 인생이 얼마나 지치고 힘들까? 이 세상 모든 것들에 대해 결벽증이 있다면 아마도 스스로 어마어마한 스트레스에 지쳐 세상살이가 불가능할 것이다. 결국 결벽증이 있는 사람도 자신의 가치와 관련 있는 한정된 부분에서만 완벽을 추구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타인으로 향하는 결벽증은 자기에게 향하는 결벽증에 비해서 에너지 소모가 거의 없다. 왜냐면 "저 사람은 왜 저래?" 하고 남 탓만 하면 끝나니까, 내가 다른 사람을 반성하게 하고 발전시킬 의무는 없으니까. 이처럼 남을 향한 결벽증은 자기를 향한 결벽증보다 쉽고 에너지 소모가 거의 없기 때문에 결벽증을 가진 사람은 자신도 완벽하지 못하면서 타인의 완벽함에 대해 헐뜯는 사람이 되기 쉬운 약점을 가지고 있다.


난 어렸을 때 결벽증, 완벽주의가 강한 엄마한테서 자랐다. 근데 결벽증이 있는 많은 사람들이 그렇듯이, 본인이 완벽하지 못한 상태에서 타인에 대해선 완벽함을 바라는 유형이었다. 특히나 자식이니까, 더더욱 나에게 완전무결한 완벽함을 바랐던 것 같다. 어린 시절 나는 피아노 치는 것을 좋아했는데, 피아노 학원을 다녀와서 집에서 피아노를 치다가 조금이라도 실수를 하면 엄마가  "아이고... 그렇게 많이 배웠는데 왜 그거밖에 못 치니" 하고 한숨을 푹 쉬었다. 어쩌다가 노래라도 부르면 " 어렸을 땐 그렇게 노래 잘 부르더니 왜 지금은 이 모양일까", 집에서 그림을 그려도 "이것밖에 못 그려?", 무언가 재밌는 걸 보고 깔깔대며 웃으면 "넌 웃는 모습만 보면 바보 같아" 등등... 엄마의 기준에서 나는, 잘하는 건 디폴트 값이었고, 거기서 조금이라도 실수하거나 못하는 게 있다면 엄청 무능한 것이었다.


어린 나이에 완벽한 게 어딨을까? 어른이 돼도 부족한 것 투성이인데... 운전을 배우고 있는 사람한테 부족한 걸 하나도 빼먹지 않고 집요하게 따져가며 지적하면 그 사람이 운전을 배우고 싶을까? 배운다 해도 나중에 운전을 잘할 수 있을까? 아마 그렇게 운전을 배운 사람은, 아무리 운전을 잘하게 된다 하더라도 '난 운전을 엄청 못해' 하고 여길 것이고, 면허를 어렵사리 딴다 해도 자기가 운전을 못한다는 생각에 도로 위에 나가기가 무서울 것이다. 어른조차 그럴진대 이제 막 세상에 나와서 세상 사는 법을 처음 배워나가는 아이에게 완벽하지 못하다는 질책은 얼마나 아이의 인생을 외롭고 힘들게 만들까?


실제로 나는 그렇게 자라오면서 완벽하지 못한 나의 모습에 대해 자책하는 삶을 살아왔고, 이게 아직까지 내 인생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새로운 것을 접하게 될 때 완벽하게 하지 못할까 봐 쉽사리 시도하지 못하고, 남들 앞에서 실수할까 봐 전전긍긍하는 모습이 남들 눈에도 확 티가 나고, 다른 사람이 나의 모습이나 나의 말과 행동을 어떻게 생각할까를 1분 1초 간격으로 생각하고, 몇 년 전부터 유튜브를 하려고 내 모습을 영상으로 찍다 보면 화면에 나오는 나의 모습이 참 바보 같아 보여서 여태 첫 영상조차 올리지 못하고... 물론 지금은 어른이 되어 나의 이런 습관과 행동들을 의식적으로 개선해보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여서 어느 정도 극복하고 잘 살아가는 부분이 있지만, 아직까지도 극복하지 못한 나를 향한 결벽증이 아직도 인생을 살아가는 데 있어서 장애물이 된다.


아이는 자기 몸과 감정을 다루는 법, 세상을 살아가는 법을 이제 막 배워 가는 인생 초보운전인 존재다. 당연히 실수할 수 있고, 넘어질 수 있고, 아직 몸과 마음이 원하는 대로 움직여지지 않아 답답하고, 아마 아이 스스로가 제일 힘들고 답답할 것이다. 이런 아이에게 완벽을 바라고 조그마한 실수에도 평가와 지적을 하게 된다면, 아이는 자기가 못난 존재라고 여기며 인생을 쉽게 포기하려 할 수 있다. 아이를 키운다면 아이가 모자라고 배워 나가는 존재라는 걸 인정하고, 아이가 넘어졌을 때 "괜찮아. 넘어지면서 배우는 거야" 하고 안아주고 용기를 주는 부모가 되어야, 아이가 부모를 믿고 힘든 세상을 헤쳐나갈 힘을 얻을 것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