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현석 Nov 21. 2018

*8. 집 짓는 이야기-인테리어2(욕실공사)

욕실 공사가 중요한 이유?

^^욕실 공사

이 집은 한 가구에 욕실이 3개로 계획되었다.

1층에 욕실 1개, 2층에 욕실 2개로 레이아웃과 마감재도 모두 다르게 디자인하였다.

주택에서 욕실 공간은 다른 공간 못지않게 중요한 공간이다.

공사를 진행하며 가장 신경을 많이 썼던 부분이 욕실이었다.

 

1층-욕실1개,   2층-욕실2개

1층 욕실은 가족들의 공용욕실이다.

1층은 가족이 함께하는 공간이기도 하면서 손님이나 지인들이 찾아 왔을때도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였다.

현관 입구 쪽으로 건식 세면대를 하나 더 설치하여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집에 들어왔을 때 바로 손 세척이 가능하다.

욕실 내부는 세면대와 좌변기를 일자형 배치로 하고 욕조를 안쪽에 배치하였다.

1층 욕실 평면도와 건식 세면대

욕조는 보통 침실 공간이 있는 2층에 많이 설치하는 편이다.

1층에 욕조를 설치한 이유가 있다면 단독주택을 찾아오는 손님들이 좀 더 편하게 사용하기를 바라는 바람과 중대형 애완견들의 목욕이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 컸다.

마당 있는 단독주택에서 애완견을 키우고 싶은 맘은 누구나 가질만한 꿈일 것이다.

겨울에 애완견을 목욕시키려면 아무래도 내부로 들여야 할 것 같아서 고민 끝에 1층에 욕조를 두었다.

1층 욕실: 좌변기, 세면대, 욕조

욕조는 어린이나 어르신들이 사용할 때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계단을 만들어 연결시켰고 벽면에 안전 손잡이를 설치하여 이동시에도 사용이 용이하게 하였다.

벽체 타일은 대리석 느낌의 백색 도기질 타일로, 바닥은 빈티지하면서 푸른빛이 감도는 자기질 타일을 사용하였다.

수전류, 액세서리, 콘센트, 샤워부스의 칼라는 블랙 무광으로 칼라를 맞춰 시공하였다.

마감재를 고를 때 칼라를 다양하게 쓰는 것보다 포인트가 될 만한 요소에 느낌을 분배하는 것이 좋다.


욕실은 항상 습도가 높은 곳이기 때문에 환기와 건조가 잘 되는 환경을 갖추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

바닥에 난방 배관을 연결시켜 습기를 없애고  채광과 환기를 위한 창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욕실이 남향에 위치하고 있어 가로로 긴 프로젝트 창을 설치하였다.

창이 크다 보니 내부가 항상 밝고 따뜻하다.

욕실 천정고는 2.4m로 하여 약간 높게 하였다.


 2층 욕실은 부부욕실과 공용욕실 2개로 나뉘어 있다.

부부욕실에 세면대는 건식으로 설치하고 좌변기와 샤워공간은 내부로 들였다.

부부욕실 평면도와 건식 세면대

건식 세면대는 디자인에 신경을 많이 쓴 편이다. 일반적이지 않으면서 세련되게 하고 싶었다.

세면볼도 높이가 낮으면서 넓은 것을 찾아다녔고 거울도 맘에 드는 것이 있을 때까지 고르고 골랐다.

마감 치수들이 워낙에 여유가 없던 터라 조금이라도 잘못되면 어색하거나 시공이 안 되는 부분이 생길 수 있었다. 여기는 시공할 때마다 지키고 서있으며 감독을 해야 했다.

세면대는 타일 공사 전에 각 파이프로 구조틀을 짜고 인조대리석으로 마감하였다.

하부 수납장은 기능에 맞게 서랍과 오픈 장으로 설치되었고 수도 배관과 배수관은 벽에 매립시켜 연결시켰다.

욕실 내부는 바닥(육각형태), 벽(600*600) 모두 WHITE 대리석 느낌의 석재 타일로 시공하였다.

욕실장, 액세서리, 샤워부스가 블랙의 포인트 칼라로 통일되어 적용되었다.

바닥에 육각 형태의 타일은 생각보다 시공이 어렵긴 했지만 마무리하고 보니 고급스러워 보인다.

왼쪽 욕실 환풍기(Himpel),  오른쪽 바닥 트랜치

욕실 환풍기는 소음이 적고 역류방지 기능과 이중 밀폐형 구조의 HIMPEL 제품을 사용하였다.

바닥 트렌치는 봉수 방식 트랩이 있어 냄새 역류를 차단하고 타일을 매입시켜 마감이 깔끔하게 되는 것을 사용했다.

디자인도 이쁘고 뒤집으면 스텐판으로 보이기도 하기 때문에 2가지 느낌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2층 공용욕실은 세면대와 샤워공간이 대면형으로 구성되었다.

다른 2개의 욕실이 White 한 느낌인데 반해 Gray 칼라로 마감재를 적용하였다.

벽은 연한 회색, 바닥은 짙은 회색으로 하고 가구와 나머지 블랙이 포인트가 되었다.

2층의 좌변기는 모두 비데 일체형이며 리모컨으로 조작이 가능하다.


각 욕실마다 레이아웃과 디자인을 다르게 하고 싶었다.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액세서리, 트렌치, 환풍기 등은 동일한 제품으로 고 디자인과 마감은 차별화되게 하였다.

신경 쓴 만큼 결과는 만족스럽다.


연관 검색어

-김포  운양동, 운양동 단독주택, 운양동 타운하우스, 단독주택, 집짓기, 단독주택단지(라피아노 2차, 목조주택), 김포 전원주택, 김포  아트빌리지, 한옥마을, 예술인 거리, 단독주택 전세, 땅콩주택, 김포한강신도시, 김포 자이 더 빌리지, 단독주택분양, 단독주택  인테리어, 고급 주택, 욕실공사, 타일


김포시 운양동 1319-2번지

khs8842@naver.com


매거진의 이전글 *7. 집 짓는 이야기-인테리어 1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