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미르 May 04. 2023

1. 리빙랩의 재발견

리빙랩 운영자와 코디네이터를 위한 가이드라인

리빙랩은 2006년 혁신 방법론의 하나로 유럽사회에 소개된 이래, 이해관계자 모두에게 높은 효능감을 제공하며, 함께 임팩트를 만드는 가장 현실적인 도구인정받고 있다. 오늘날 리빙랩은 도시와 사회가 직면하는 문제해결부터 기업의 제품개발까지 다양한 영역에 적용하 그 실효성을 증명하고 있다.


하지만, 이십년 가까운 시간이 흐르는 사이 코로나와 같은 외부 요인에 효과적인 대응 뿐만 아니라, 디지털화 따른 내부 역량 강화 같은 현실적인 도전에 직면하면서 그동안 유지한 리빙랩의 혁신방법과 역량강화 방식에도 변화가 요구된다. 이에 ENoLL은 내부의 세대교체와 함께 새로운 운영방법을 실험하며, 좀더 체계적으로 코디네이터의 역량강화 방안을 고민하며 실험하고 있다.  


대구크리에이티브 리빙랩(D-Lab, Daegu Creative Living Lab)은 2019년에 한국에서 가장 먼저 유럽리빙랩네트워크(ENoLL)의 멤버로 승인받았으며 다른 멤버들과 혁신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2023년 4월부터는 ENoLL 동료기관과 함께 새로운 <리빙랩 코디네이터 훈련프로그램>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함께 훈련한 결과물을 바탕으로  빠르게 한국형 역량강화 방법을 모델링하여 한국의 리빙랩 운영자 돕고자한다. 

지면을 통해 코디네이터 역량강화와 관련한  다양한 어젠다운영 과정상세하게 소개하고, 리빙랩 멤버도시 문제해결 사례와 실질적인 운영 모델을 공유하고자 한다.

 D-Lab은 2016년부터 대구라는 척박한 도시환경속에서 기업의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지역밀착형 리빙랩, 도시 골목을 중심으로 한 도시재생형 리빙랩, 시민참여형 스마트시티 리빙랩, 청년의 사회적 문제해결 역랑을 높이는 소셜리빙랩과 대학리빙랩 등 다양한 리빙랩 프로젝트을 운영하며 자체적인 운영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이 과정에서 시민참여플랫폼(舊 창조도시포럼)과 도시문제은행을 중심으로 다양한  해결책을 실험하며, 흩어져 있던 대구의 리빙랩 운영기관을 묶어 대구리빙랩네트워크(DNL, Daegu Network of LivingLab)라는 느슨면서도 유연한 (loosely coupling) 연대 조직체의 사무국을 운영하고 있다.

ENoLL 멤버로 가입한 2019년 이후에는  많은 유럽 도시,기업,기관과 협력활동과 지식공유를 이어왔다.
2022년까지 창조도시 글로벌포럼, 국제리빙랩 세미나 등을 통하여 ENoLL 및 아시아의 리빙랩 관계자들과 리빙랩의 방법론과 사례연구를 공유 하였다.

 암스테르담과는상수도 원격검침 솔루션의 교차실증 하였으며, 글래스고를 포함한 영국 도시들과 스마트시티 리빙랩의 다양한 서비스를 상호 실증하는 이노베이션 트윈프로젝트(Innovation Twins Project)를 진행하고 있다.
2022년에는 도시 자산인 유휴 공간을 활용하는 시민참여형 <퍼미셔닝 시티 permissioning city>모델로
블룸버그 메이어스챌린지(Bloomberg Mayor's Challenge) 선정도시가 되기도 하였다.
현재 유럽 리빙랩 운영기관들과 함께 영국 Innovation UK펀드와, 새로운 라운드에 접어든 Horizon Europe의 펀드를 활용하여 공동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유럽리빙랩네트워크(ENoLL)는 코로나와 새로운 경제환경 변화를 겪으면서, 온라인 지식공유 플랫폼, 리빙랩 코디네이터 훈련, 다양한 지식공유 채널 확장 등을 통해 새로운 실험을 확장하 진화하고 있다.


한국에서 리빙랩이란?


한국에서 리빙랩은 2012년에 기술-사회 혁신방법론의 하나로 소개되었지만(2012, 송위진)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모호하거나 원래 의미와 다르게 사용한다. 이는 한국적 맥락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북유럽사회에서 시작된 triple helix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혁신의 한 방법으로 제시되었지만, 한국에 유입되면서 사용자가 참여하는 테스트베드나 시제품을 만드는 과정으로 이해되는 경향이 강하다. 특히, 다양한 혁신의 한계에 부딪힌 정부 부처별로 개념을 도입하며서 개념이 아전인수 격으로 해석 적용되어 왔다.


행안부는 당사자 중심의 사회문제해결플랫폼으로, 국토부는 스마트시티 실증테스팅을 위한 시민 효능감 측정도구로, 과기부나 산업부는 이미 결정된 기술개발내용안에서 사용성테스팅의 일환으로, 그리고 최근 중기부는 중소기업의 연구개발을 위한 포커스 그룹의 형태로 운영하고 있다.


실제 최종사용자가 처음부터 참여하여 문제를 정의하고, 이해관계자와 co-creation하는 과정이 부족하다. 이는 단기적으로 사업을 운영해야하는 국가사업의 한계이자, 전문 코디네이터가 부족한 리빙랩 운영기관의 역량에 기인한다.


리빙랩이란 무엇인가?


리빙랩이란 용어는 MIT 미디어랩의 미첼교수가 IoT를 기반으로하여 실제 생활공간을 실험실로 쓰면서 사용한 용어였는데, 2006년에 유럽의회(EC)에서 당시에 교착상태에 빠진 혁신방법론(triple helix)의 탈출구로 이 용어를 채택하면서 유럽사회에 빠르게 전파되었다.


특히 2009년 당시 EC의장국인 핀란드를 중심으로 유럽의 리빙랩 프로젝트에 지원(Horizon 2020)하였으며, 이렇게 펀드를 지원 받은 16개의 리빙랩이 연합하여 유럽리빙랩네트워크(ENoLL)를 결성하였다. ENoLL은 10여개의 리빙랩을 신규로 가입받고 있으며 유럽뿐만 아니라 비유럽(전체 20%)으로도 확산하고 있다. 2023년 현재 450개 멤버들이 가입하였으며, 종료되거나 중단된 리빙랩을 제외한 250여개 리빙랩이 왕성하게 활성화되어 있다


유럽리빙랩네트워크(ENoLL, European Network of Living Labs)은 리빙랩은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리빙랩은 "문제의 이해당사자가 함께 가치를 만드는 혁신모델(Quadruple Helix)"의 구체적인 방법론으로, 시민사회.산업.대학/연구소.정부의 주요 행위자들가 공동 창작하고 개방형 혁신을 촉진하는 실생활 실험 환경이다.

Living Labs are real-life test and experimentation environments that foster co-creation and open innovation among the main actors of the Quadruple Helix Model.


유럽리빙랩 네트워크에서 정의한 리빙랩 개념에는 다음의 네가지가 포함되어 있다.

1. 실제 테스트 및 실험 환경

2. 공동 창작 촉진

3. 개방형 혁신 촉진

4. Quadruple Helix 모델


리빙랩은 혁신의 주체들, 특히 사용자(시민, 커뮤니티)가 처음부터 참여하여 문제를 정의하고, 다양한 혁신주체들과 co-creation하는 과정 중심의 혁신방법론이다.


리빙랩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1.테스트베: 테스트 베드는 통제된 환경(실제 환경이 아님)에서 과학 이론, 계산 도구 및 신기술에 대한 엄격하고 투명하며 복제 가능한 테스트를 가능하게 하는 "Pre-Living Lab" 설정이며 사용자는 주로 연구원으로 대표된다. 리빙랩과 비교하면 분석의 규모와 수준이 작은 편이다(예: 리빙랩이 도시 정도라면 테스트베드는 건물 정도).

A Test Bed is a “Pre-Living Lab” setting enabling rigorous, transparent, and replicable testing of scientific theories, computational tools and new technologies in a controlled environment (not in real-life), with users often represented mainly by researchers. Compared to Living Labs, they show a smaller scale and level of analysis (e.g. one building compared to a city).


2. 팹랩: "제조 실험실"은 디지털 제작을 제공하는 소규모 작업장입니다. 팹 랩에는 일반적으로 기술 지원 제품을 대량 생산으로 개발하기 위해 여러 가지 길이 스케일과 다양한 재료를 포괄하는 유연한 컴퓨터 제어 도구 어레이가 장착되어 있다.

A Fablab: “fabrication laboratory” is a small-scale workshop offering digital fabrication. A fab lab is typically equipped with an array of flexible computer-controlled tools that cover several different length scales and various materials, for developing technology-enabled products to mass production.


3. 홈랩: MIT에서 Mitchell 교수가 처음 리빙랩이라는 이름을 명명했던 홈랩은 일상적인 가정 환경에 맞는 새로운 기술을 테스트하고 적용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미첼교수이 사용한 living은 명사적 의미로 "주거공간"을 의미. "생활실험공간", "삶의 공간"으로써 living lab은 동사적 의미에 가깝다.)

A Home Lab (originated at MIT with Prof. Mitchell) they focused on testing and adapting new technologies based on their fit with the daily home environment.


왜 리빙랩을 사용하는가?


Living Labs는 혁신을 테스트하고 검증하기 위한 실제 환경을 제공합니다. 특히 복잡하고 역동적이며 종종 여러 이해관계자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할 때 그렇다.

• Living Labs는 복잡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솔루션을 공동으로 만드는 강력한 도구다.

• Living Labs는 혁신 프로세스에 최종 사용자를 참여시켜 그들의 요구에 맞는 솔루션을 보장한다.

• Living Labs는 연구자, 업계 파트너, 커뮤니티를 비롯한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의 협업을 가능하게 한다.

• Living Labs는 솔루션의 신속한 반복 및 프로토타이핑을 촉진하여 더 빠른 혁신 주기로 이어진다.

• Living Labs는 장기적으로 혁신의 채택 및 지속 가능성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 Living Labs는 연구와 시장 활용 사이의 격차를 해소하여 보다 영향력 있는 혁신을 이끌어낸다.

Living Labs의 강점을 활용하여 최종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하는 동시에 사회적 영향을 미치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만들 수 있다.


언제 리빙랩을 사용하는가?


리빙랩은 실제 상황에서 혁신, 공동 창작 및 평가에 특히 효과적이다. 사람들이 새로운 아이디어, 제품 및 서비스와 상호 작용하는 방법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하여 추가 개발을 알린다.

리빙랩은 복잡하고 해결하기 어려운 사악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매우 적합하다.

설계 및 평가 프로세스에 이해 관계자와 사용자를 참여시켜 문제 해결에 대한 참여적이고 총체적인 접근 방식을 제공한다.

리빙랩은 기후 변화, 사회 정의, 건강과 웰빙, 교육과 학습과 같은 광범위한 문제에 적용될 수 있다.

요약하면 리빙랩은 협력적이고 참여적인 프로세스를 통해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사회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유연하고 적응 가능한 혁신 접근 방식을 제공한다.


리빙랩의 핵심 요소

리빙랩은 관련 이해관계자를 모든 관련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시켜 혁신의 전체 수명 주기 동안 피드백을 캡처하고 구현한다.

정부, 학계, 민간 부문 및 시민과 같은 4중 나선 모델의 이해 관계자를 포함하여 사회에 대한 전체론적 관점을 취한다.

리빙랩은 관련 이해 관계자와 연결하고 협력하기 위해 생태계 내에서 오케스트레이터 역할을 한다.

리빙랩의 가치는 모든 관련 이해당사자뿐만 아니라 모든 관련 이해당사자에 의해 상향식으로 공동 생성되어 결국 더 높은 효능감과 제품 서비스의 채택률을 보장한다.

리빙랩은 최종 사용자의 실제 환경에서 작동하며 사용자를 테스트 사이트로 이동하여 혁신을 탐색하는 대신 실제 생활에 혁신을 불어넣는다.

각 리빙랩 활동은 문제 중심적이다. 따라서 모든 개별 활동에 대한 방법론적 접근 방식은 활동의 예상 결과와 참여해야 하는 이해 관계자를 기반으로 선택된다.


리빙랩에서 가치 창출과 가치사슬망


다양한 유형의 신규 및/또는 관련 이해 관계자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실행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만드는 것이 리빙랩의 지속 가능성의 핵심이다.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는 예를 들어 자금 출처, 가치 제안, 린 접근 방식, 영향, 목적 및 주요 지표다.


또한 아이디어 구상에서 설계, 실험 및 검증에 이르기까지 수명 주기 접근 방식의 모든 단계를 고려해야 한다. 평가의 이 부분에서 중요한 측면은 무엇보다도 리빙랩 운영을 혁신 생태계에 통합했다는 증거, 리빙랩의 SWOT 분석, 미래를 위한 로드맵, Living Lab 운영 전반에 걸친 가치 사슬 접근 방식이다.



리빙랩 방법론을 사용하면 어디에 좋은가?

혁신 솔루션을 함께 만들수 있다.

주어진 프로젝트의 가치사슬망을 마스터링 할 수 있다.

핵심 이해관계자를 명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핵심 이해관계자의 비즈니스를 이해할 수 있다.

핵심 이해관계자를 위해 창출할 가치를 인지할 수 있다.

이해관계자의 가치사슬망에 대한 경영역량을 개발할 수 있다.

이해관계자의 가치창출을 가이드할 수 있는 전략적 역량과 지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해관계자를 위한 가치를 개선하는 지식을 전달할 수 있다.



[참고자료]


Living Lab Methodology and Online Manual(단계별  운영메뉴얼)

Rewaise(Resilient Water Innovation for Smart Economy) 프로젝트로 부터 개발된 리빙랩 방법론과 온라인 메뉴얼. Living Labs의 가치, Living Lab 설정 방법, Living Labs에서의 실제 실험 및 Living Lab 구축을 설명하는 4개의 챕터로 구성되어 있다.


Living Labs as Open-Innovation Networks (리빙랩 형태 구분)

오픈 이노베이션을 특징으로 하는 네가지 유형 리빙랩 네트워크 연구. 유형은 핀란드, 스웨덴, 스페인,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26개 리빙 랩 참가자와의 인터뷰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Coordination and Participation in Living Lab Network (다양한 리빙랩 정의들, 협력-참여 메트릭스 기준으로 리빙랩 분류)

기존의 학술 담론은 종합하고 새로운 리빙랩 구분 기준 제시하였다. 2013년에 쓰여진 논문이지만 매우 체계화된 글이다. 그동안 리빙랩 네트워크의 혁신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리빙랩 네트워크에서 조정(하향식, 상향식) 및 참여 접근 방식(내쉬기, 들어마시기)을 분석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리빙랩의 다양한 활용분야에 관한 연구

Living Lab 연구 분야의 최신 기술을 이해하고 이 분야의 주요 과제와 잠재적인 연구 기회를 제공한다.


Living labs: concepts, tools and cases (리빙랩 개념과 도구, 사례분석)

리빙랩에 관하여 개념을 명확히 하고 분석하려는 특정 문헌이 있지만 리빙랩 실습은 여전히 연구되지 않았으며, 가시성 측면에서 이론적 및 방법론적 격차가 계속 존재한다. 이러한 그 간극을 채우기 위해 쓰여진 글이다.


Living Lab Handbook (자연기반 솔루션 개발을 위한 도시 리빙랩)

자연 기반 솔루션을 개발하는 Urban Living Labs를 위한 핸드북으로,  Unalab 프로젝트에서 비롯되었으며 도시 환경 내에서 운영되는 리빙랩에 포커스를 두었다.


Stakeholders’ engagement in the co-design of energy conservation interventions: 에너지 리빙랩을 중심으로 이해관계자의 참여방법에 관한 연구

에너지 저소비 건물의 기술, 경제 및 사회적 차원을 분석하고 사회적 마케팅과 리빙랩을 결합 연구.

이해관계자의 개입을 다루다. (Joelle Mastelic 박사 학위논문)


Bridging the gap between Open and User Innovation? (리빙랩과 혁신을 연결하는 이론적 배경)

Dimitri Schuurman의 박사 학위 논문으로, 사용자 기여를 구조화하고 분산 혁신을 관리하는 수단으로서 리빙랩의 가치를 연구하였다.


Living Labs as open innovation systems for knowledge exchange: Solutions for sustainable innovation development (리빙랩, 혁신, 지식전파에 관한 이론적 연구)

리빙랩에 참여하는 행위자 간에 다양한 지식 이전을 촉진하는 개방형 혁신 시스템으로서 리빙랩의 잠재력을 조사한 보고서


The Impact of Living Lab Methodology on Open Innovation Contributions and Outcomes (다양한 리빙랩 방법론들의 장단점 및 영향력 분석)

중소기업(SME)의 개방형 혁신을 위한 리빙랩 접근 방식의 가치에 관한 연구


Co-Creative Workshop Methodology Handbook(공동작업을 위한 다양한 툴킷소개)

유럽 IoT-LSP(프로그램사물 인터넷의 대규모 파일럿 프로젝트)를 위한 Co-Creative 워크샵 방법론을 설명  (Stembert Design에서 제작)


리빙랩 특성과 결과에 관한 개념적 프레임워크

벨기에에 있는 3개의 리빙랩과 핀란드에 있는 1개의 리빙랩을 조사하여 리빙랩 환경의 다양한 빌딩 블록이 연구소 내에서 시작된 혁신 프로젝트의 결과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연구한 보고서다.

keyword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