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미르 May 04. 2023

2. 리빙랩에 한발 더

운영원리와 혁신의 관계,  리빙랩 목적, 리빙랩 사람들과 직면한 문제들

1. 리빙랩 원리


리빙랩은 도시의 문제해결을 위해 연구자가 실험실에서 실험을 하는 것처럼 실제 현장의 다양한 이해 관계자와 함께 문제를 발견하고, 가능한 아이디어를 찾고, 공동디자인과 공동개발(co-design and co-creating)을 추진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도시가 특정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여러 번의 반복적 실험을 허용하며, 기업에게는 신제품 및 새로운 서비스 개발을 지원하고 시민과 지역사회에게는 특정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리빙랩은 다수의 이해관계자 참여, 공동 창작 및 공동 디자인, 다수의 프로토타입 제작을 통한 여러번 반복, 실제 환경 설정(multiple stakeholder participation, co-creation & co-design, agile with multiple prototyping, and real-life setting) 등 다섯가지 운영원칙을 가지고 있다.


(1) 쿼드러플 헬릭스사용자가 혁신생태계에서 가장 중심에 두고 있는QHM(Quadruple Helix Model) 업계, 학계, 공공 기관, 시민으로 구성한다. 이는 시민/사용자가 혁신을 만드는 과정에서 일부의 외적 요인(외생변수)가 아니라 실질적으로 혁신을 함께 만들어 가는 행위자(내생상수)로 간주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Industry, Academia, Public Authorities and Citizens are part of the so-called Quadruple Helix model (QHM), where users are placed at the heart of the innovation ecosystem. This means that citizens/users must be considered as actors, not factors, of the innovation process.)


(2) 필수 운영요소




2. 리빙랩과 혁신의 관계


(1) 혁신생태계의 가치창출과 가치사슬망은 리빙랩 수명주기와 닮았다  


리빙랩의 지속가능성은 다양한 다수의 이해관계자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실행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달려 있다. 이를 위해 예산 출처, 가치 제안, 빠른 실행/피드백(lean) 접근 방식, 영향, 목적, 주요 지표 같은 주요 고려 사항을 비즈니스모델에 반영해야 한다. 또한, 아이디어 구상부터 설계, 실험, 검증에 이르는 리빙랩 수명주기(life cycle)의 모든 단계를 고려해야 한다. 리빙랩 평가의 요소로, 리빙랩 운영이 혁신생태계로 통합되었다는 근거, SWOT 분석, 미래 지향적 로드맵, 가치 사슬망 방식의 전체 운영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2) 오픈 이노베이션은 공동창작과정이다


오픈 이노베이션의 기본 전제는 혁신 과정을 모든 활동적 참여자에게 개방하여 지식이 더 자유롭게 순환되고 모든 이를 위한 지속 가능한 제품과 서비스로 변환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혁신은 미리 정의된 독립된 활동의 결과가 아니라, 경제적 및 사회적 환경에 노출된 모든 참여자의 지식 흐름과 흡수 능력을 포함하는 복잡한 공동 창조 과정의 산물이다(유럽연합 집행위원회, 2016).

(The basic premise of Open Innovation, is to open up the innovation process to all active players so that knowledge can circulate more freely and be transformed into sustainable products and services for all. Innovation can no longer be the result of predefined and isolated activities but the outcome of a complex co-creation process involving knowledge flows and absorptive capacities from all actors involved across the entire economic and social environment (European Commission, 2016)).


"리빙랩은 혁신을 자극하는 새로운 방법을 점점 더 촉진하고 있습니다. 리빙랩은 정보 기술에  지원하는 사용자 커뮤니티에 중점을 두고 혁신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촉매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합니다"(Living Labs are increasingly facilitating new ways ways to stimulate innovation. They offer the possibility to catalyse how innovation can be carried out, focusing on user communities supported by information technology. Maurice D. Mulvenna, 2011)


"Living Lab 서비스는 가시성 증가, 개발 프로세스 단축, 제품 개선, 혁신 프로세스 및 사용자 참여에 대한 학습 및 이해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산다는 것은 사랑하는 것이다] [오전 10:57] Living Lab services can lead to an increased visibility, a shortened development process, improved products, and an enhanced learning and understanding about innovation processes and user involvement. Anna Ståhlbrøst, 2013)


(3) 리빙랩 방식의 접근은 이해관계자들과 장기적 파트너십은 맺는다.

문제에 대한 리빙랩 방식의 접근과 리빙랩환경 구축은 이해관계자들과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맺음으로 혁신의 궁극적인 목표인 가치의 지속가능성을 만들어 낸다.

* Veeckman, C., Schuurman, D., Leminen, S., & Westerlund, M., Linking Living Lab Characteristics and Their Outcomes: Towards a Conceptual Framework, Technology Innovation Management Review, 3(12): 6-15 , 2013.


3. 리빙랩의 목적


리빙랩의 궁극적인 목적은 혁신이 쉬운 도시를 만드는 것이다. 혁신이 쉬운 도시란, “시민이 변화하고자 하는 것이 있으면 즉각적이고 자발적으로 의제(agenda)를 만들고, 이해관계자 커뮤니티를 형성되고, 문제정의와 해결책을 찾아가면서, 생활속 실험실 모형(Living Lab prototype)으로 적용하며, 지속적으로 되먹임(feedback)이 가능한 (도시)환경”을 의미한다.

리빙랩은 혁신과 동일한 의미다. P.Drucker나 J.Schumpeter에 따르자면 “혁신은 무언가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것”이다. 혁신은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그 지식을 축적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여러 번의 실험과 그 실험의 결과를 피드백하고, 피드백 결과를 반영하여 완성품을 만들어 가는 과정이라는 측면에서, 혁신은 리빙랩과 동일시 된다.   


4. 리빙랩 사람들


(1) 리빙랩내 활동가들 (Actors in a Living Lab)

리빙랩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동안 활동하는 사람들을 5가지 형태로 구분한다.

1. 이용자(Utilizer): 문제를 해결하고 혁신을 만드는 공동작업의 결과물인 리빙랩을 이용하는 리빙랩 고객(customer). 리빙랩서비스에 대가를 지불하거나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람. 시민

2. 어네이블러(Enabler): 리빙랩 플랫폼을 지속가능하게 하는 재정지원자, 자원공급자, 퍼실리테이터, 코디네이터, 리빙랩 기획자. 정부나 기관(Agency)

3. 공급자(Provider): 리빙랩 프로젝트를 개발하여 사용가능하게 하는 인프라 공급자나 서비스 공급자. 민간기업이나 대학(연구기관)

4. 사용자(User): 문제해결을 위해 해결 방법을 함께 만드는 리빙랩 작업에 (패널, 사용자 커뮤니티 등으로) 참여하는 사람. 시민(커뮤니티)나 전문가

5. 연구자(Researcher): 리빙랩의 지식을 만드는 사람들. 대학이나 연구기관

시민은 리빙랩의 성격에 따라 다층적으로 역할을 수행한다. 마치 어떤 사람이 회사에서는 부장, 집에서는 가장, 모임에서는 총무역할을 수행하는 것처럼, 시민도 리빙랩안에서 다양한 역할과 권한을 위임받는다. 시민은 때로는 이용자(고객)으로(기술TB 리빙랩), 문제해결 리빙랩에 직접 참여하는 사용자로(도시 문제 해결 리빙랩의 co-creator), 지식을 함께 만드는 연구자 혹은 시민과학자(도시 데이터생성 및 공익데이터 실험실)로 역할을 수행한다.

사회혁신 영역에서는 이용자와 사용자를 결합한 복합적인 의미로 시민을 ‘당사자’로 표현한다.


(2) 리빙랩 운영자(Enabler)의 역할과 책임 

리빙랩 플랫폼의 지속가능성에 관여하는 리빙랩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사람(리빙랩 어네이블러) 다음과 같이 5개의 역할을 구분할 수 있다.

리빙랩 메니저: 리빙랩 프로젝트에서 가장 큰 내부 역할자. 리빙랩전략의 개발 수립하고 관리. 매일의 리빙랩 활동을 관리하고 리빙랩의 효과와 지속가능성을 지켜나가는 사람

패널 관리자: 리빙랩 테스팅과 평가 활동에서 스테이크홀더의 패널을 모집하고 그들과 상호교감하며 활동하는 사람.

상호소통 전문가: 사용자(시민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상호작용을 수행하는 사람. 다양한 사람과 상호소통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는 사람. 실제 환경에 적용하기 전에 리빙랩 솔루션의 테스팅을 책임 지는 사람.

파이럿 관리자: 파일럿 수행기간동안 기술 세팅, 실행, 스케일업을 책임지는 사람. 혁신을 위한 적용과 테스트를 촉진하는 사람.

프로젝트 메니져: 특정 리빙랩 프로젝트를 관리하고 책임지는 사람. 전체 리빙랩 기획자이자 연출자

5. 리빙랩 활동의 특징과 적용분야

리빙랩은 다음의 특징을 반드시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점증하는 실증(Growing Prototyping)

다중 이해관계자 참여 (co-creation, 갈등 최소화)

나선형 접근 (혁신 커브 만들기, J커브)

참여적 커뮤니케이션 방법론 도입

오픈 혁신을 위한 다양한 방법론에 개방

명확한 발견과 솔루션화 과정

발견적/발산적 학습과 목적 중심의 도전적인 실험

리얼 라이프 세팅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리빙랩은 다음과 같은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당초 혁신 방법론으로 제시된 리빙랩 사상은, 한국에 유입되면서 사용자가 단순하게 참여하는 제품테스팅이나 시제품 제작 과정으로 이해되거나, 비즈니스혁신을 제외하고 지나치게 사회혁신 관점으로만 채택되는 경향을 보여왔다. 특히, 한국은 리빙랩을 공공영역이 주도하며 정부 부처별로 리빙랩을 사업화하면서 리빙랩이 아전인수식으로 적용되어왔다.


6. 리빙랩의 함정과 도전과제

(1) 거버넌스와 운영과정에서 직면하게 될 도전들

- 다양한 비즈니스 협력과 개방성 문제

- 리빙랩활동의 가시성과 씨뿌리기(dissemination)

- 유연성과 빠르게 변화하는 요구조건

- 재무적 문제

- 기술과 인프라 문제

- 리빙랩활동의 사회적 측면과 기술적인 측면의 통합

- 리빙랩 프로젝트에서 활동하는사람을(user) 동기부여된 상태로 유지하기

- 연구활동과 개발활동 사이의 균형감 유지

- 상호 학습과정 (mutual learning)


(2) 이론적 방법론


(3) 다양한 활동가를 위한 동기부여, 요구와 기대


(4) 윤리적 도전 


* 참고: 리빙랩의 함정과 직면하게 될 도전

Abdolrasoul Habibipour, Living Lab Research: A State-of-the-Art Review and Steps towards a Research Agenda,   Luleå University of Technology, Sweden, 2018.

매거진의 이전글 1. 리빙랩의 재발견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