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미르 Jun 16. 2023

10. 성공적인 리빙랩 커뮤니케이션

리빙랩의 가치와 활동을 성공적으로 홍보하고 소통하는 방법

■ 성공적인 리빙랩 커뮤니캐이션 학습에 포함된 내용

-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유형과 그 중요성에 대한 이해

- 리빙랩 내에서 신뢰와 상호 소통을 구축하기 위한 원칙

- 각각의 목적과 이해관계자에 적절한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채널을 구축하는 방법

- 강력하고 인지도가 높은 브랜드를 구축하는 방법

- 커뮤니케이션의 팁과 요령, 피해야 할 실수 익히기


■ 커뮤니케이션의 3가지 레벨


■ 내부 커뮤니케이션

* 조직내에서 미션과 비전에 대한 명확한 감각을 개발하는 것


[학제간 커뮤니케이션 interdisplinary communication]


■ 외부 알림 (Dissemination & Communication)

전파(dissemination)는 "메시지의 전달과 수신", "메시지 전달과 수신", "개인이 프로세스에 참여하는 것", "프로세스 또는 제품의 이전"으로 설명할 수 있다.

- 인지도를 위한 전파는 자세한 지식 없이 사람들에게 우리가 하는 일을  알릴 수 있습니다.

- 이해를 위한 전파 우리가 제공해야 하는 것으로부터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대상 그룹을 명확하게 한다.

- 제공해야 할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대상 그룹을 대상으로 합니다.

- 행동을 위한 전파는 우리가 제공하는 제품, 자료 또는 접근 방식을 채택하도록 유도한다. 

[흔히 하는 실수 및 요령]

 (X) 청중을 간과하는 문제

 (X) 가능성이 더 큰 impact에 대하여 논의하는데 실패

 (X) 준비되기 전에 결과물과 솔루션을 소개하는 것

 (X) 커뮤니케이션을 사이드 프로젝트로 생각하는 것

 (O) 청중을 식별하고, 메시지를 명확하게 하라.

 (O) 우선순위를 계획하라

 (O) 전파 및 의사 소통을 일상 업무로 생각하라

 (O) 친근하고 접근하기 쉬운 사람이 되라.


[어떻게 커뮤니케이션 할 것인가?]

• Use plain language 

• Refrain from using acronyms or terms

• Be consistent in how you refer to your project/measure name.

• Lay out specific questions or materials and highlight key areas for Stakeholders to focus their attention.

• Communicate in SHs’ preferred mode of communication; be sure to ask them of this early on.


[언제 무엇을 커뮤니케이션 할 것인가?]

1. 프로젝트 시작 시점에 해야 할 것

• Help prepare SH to engage in technical content.

• Begin to build your relationship with SH.

2. 회의와 이벤트에 우선하여 준비할 것 

• Send meeting invitation several weeks in advance.

• Put reminder on materials and dial-in information.

• Offer to answer questions.

3. 회의와 이벤트 후에 해야 할 것

• Explain next steps for the project.

• Distribute surveys asking SH about their experience.

4. 회의 중간에 해야 할 것

• Alert SH if they should expect a long gap before the next meeting/event is scheduled.

• Keep SH updated on the progress of your project.


■ 정책결정자와 협력하기 (어떻게 임팩트를 극대화할 것인가?)

 [증거기반 정책 입안을 위한 기술]

• Put Evidence-Informed Policy Making to Work by Strengthening Institutional

Enablers

• Overcoming Barriers, as well as the conditions for transparency of policy making

processes

• Create Initiatives to Build Capacity for Evidence Informed Policy Making, including

training for civil servants and other examples of good practice


The following points highlight the key institutional features that can foster evidence informed policy making:

• A strategic, long - term approach

• Clear assignment of responsibilities and mandates to apply EIPM

• A strategy for systematic capacity building

• Organizational incentives for engagement with evidence – informed processes

• Mechanisms for institutional memory and knowledge transfer

• Strong cooperation between researchers and policy makers

• Translation governmental priorities into research agendas

• Structured dialogue between all stakeholders

• The availability and accessibility of the evidence itself and the skills and capacities to

understand and use it.


The following points highlight how transparency and open government approaches can support evidence informed policy making:

• Credible administration where discourse around evidence informed decisions matches the actions;

• Maintaining a shared identity among civil servants;

• The need to incentivise critical thinking skills among policy – makers;

• The need to equip organisations with sufficient capacity to ensure transparency;

• The value of digital tools to communicate with citizens;

• The importance of using shared collaborative agendas and working places between

departments.


■ 제3세계들과 연결 (전세계에 메세지를 전파하라!)

The ecosystem (incl. external collaborations) cannot be conceptualized in a straight linear logic but must be captured in its multi-dynamic process-character and context-dependency

• Raise awareness (LL / project’s aims & scope)

• Catalyse enhanced collaboration between the LL & other institutions

• Lay the ground, through collaboration and knowledge/experience sharing


[전파할 핵심 메세지 Core messages]

• What is the LL’s mission & initiatives? Where is it going? What is in it for me?

• What have we done and how can it be of help to other Living Labs, the society and other initiatives?

• How can we capitalise on the Living Lab / project's results to foster change?


■ 브랜드 개발

[브랜드 개발 과정 접근]

[브랜드]

 브랜드 사명 선언서 (mission statement)  

브랜드 이름 (name)

• 브랜드 정채성 (indentity)


[예시]

 LiCalab: To provide services for companies or (health) organisations with a strong innovative idea for the health or care sector

 the ssalaniki smat mobility living lab: lTo transform the entire city of Thessaloniki in a platform for testing technological and innovative solutions for mobility, cooperative and autonomous vehicles

 enegy living lab: To empower energy users and integrate them into the innovation process, motivating them to participate, encouraging bottom-up dialogue and turning ideas into sustainable business products or services

 Mind Lab :  To co-design, co-develop, assess & validate technological products and services, mainly for people suffering from mental health disorders, older adults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 추가 읽어볼 자료

▸ A framework for structuring interdisciplinary research management

프로젝트 기반 연구가 연구 조직의 주요 형태로 자리 잡으면서 학제 간 연구 협력에서 조정과 관리는 중요한 과제이자 성공의 핵심 결정 요인이 되었다. 이러한 학제간 연구 협력을 위해 기존 경쟁적 가치 프레임워크( the Competing Values Framework, Quinn, 1988, Quinn and Rohrbaugh, 1983)를 수정하여 학제 간 연구 프로젝트 관리하는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이 프레임워크는 프로젝트 리더와 과학 관리자에게 실용적인 도구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제 간 연구 관리에 대한 학문적 논의를 촉진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 Tools for enhancing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

컬럼비아대학교의 학제 간 지구연구소에서 함께 일했던 10명의 박사후 연구원들이 공동 집필한 커뮤니티 에세이다. '복잡한 환경에서 지속 가능성 문제를 해결한다'는 공통의 주제로 모인 이들은 물리학과 사회과학 등 다양한 학문적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에서 라틴 아메리카에 이르기까지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연구를 수행했던 연구자들이다. 어떤 사람은 토양 샘플을 채취하고 분석하기 위해 현장에서 하루 종일 일하기도 하고, 어떤 사람은 시골 마을에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기도 하며, 실험실에서 공식을 정교하게 만들고 숫자를 계산하는 연구자도 있다.  

이들이 가진 다양성과 다양한 강점을 활용하여 지속 가능한 개발의 도전과 기회에 대한 과학적, 정치적, 경제적, 인구학적, 지리적, 생태학적, 윤리적 관점을 하나로 모으기 위해, 첫 번째 필요한 것이 '어떻게 서로 이질적인 분야의 연구결과물을 효과적으로 소통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이 커뮤니티 에세이는 그러한 커뮤이케이션 과정에 관한 일부 기록물이다. 


Ten principles of good interdisciplinary team work

문헌조사와 11개의 영국 지역사회 재활팀과 중간치료팀에 종사하는 253명 이상 직원의 인식조사를 통해 효과적인 학제 간 팀워크를 지원하는 10가지 역량을 제시한다. 효과적인 다학제간 팀워크를 뒷받침하는 10가지 특성은 긍정적인 리더십 및 관리 특성, 커뮤니케이션 전략 및 구조, 개인적 보상과 훈련 개발, 적절한 자원 및 절차, 적절한 기술 조합, 지지적인 팀 분위기, 다학제간 팀워크를 지원하는 개인 특성, 비전의 명확성, 치료의 질과 결과, 역할 존중 및 이해 등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9.실험공간 설계 및 코크리에이션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