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아코더 May 27. 2021

요즘 대세 할매니얼이 찾는 고소함과 구수함

고소함과 구수함이 주는 위로

*메인 사진 : 전주 지숨갤러리



할매니얼이라는 신조어를 아시나요?



요즘 할매니얼, 할밍아웃 이라는 단어가 떠오르며 MZ세대에 '할매 열풍'이 불었습니다.

할매니얼 이란, 흑임자, 인절미, 단호박 같은 K-어르신의 맛! 바로 할미 & 할비 입맛을 찾는 밀레니얼 세대를 일컫는 말인데요. 이 글을 통해 저도 '할밍아웃' 합니다.


"흑임자가 이렇게 맛있었나?"

 

흑임자 아이스크림을 처음 먹었을 때 그 맛은 취향저격이었다구요.  자극적인 매콤함의 끝판왕 불취킨볶음면, 환상의 단짠 조합 꿀버터칩을 찾던 젊은이들이 '고소'한 들기름 메밀막국수를 찾고, '구수'한 보리맛 음료를 찾는데요.  MZ세대들이 선호하게 되었을까요? 


자음 'ㄱㅅ'에 모음 'ㅗ' 아니면 'ㅜ'를 넣느냐에 따라 맛이 달라지는 고소함과 구수함. 그 사이의 미묘한 차이를 지금부터 들여다봅니다. 




'고소'한 맛

참기름이나 볶은 깨는 죽은 음식도 살리는 마법의 향신료입니다. 계란볶음밥에 간장으로 간을 하고 참기름을 한 술 넣으면 볶음밥에 고소함이 얹어지면서 입맛을 돋우죠. 그 때 마침, 참기름이 없다면요?


엄지와 검지로 부수며 넣는 볶은 깨는 또 어떨까요. 요리의 화룡정점인 볶은 깨는 쉐프의 자신감을 높여 줍니다. 깨를 뿌린 멸치 볶음, 감자볶음, 진미채 볶음이 더 맛있는 이유는 볶아진 재료 사이로 침투한 깨들의 고소한 활약 덕분이죠. 때 마침, 깨가 없다면요?


한국인의 밥상에 없으면 섭섭한 그 맛, 바로 '고소함'입니다.



커피로 가글 해보셨나요? 입안 가득 퍼지는 고소한 커피 향. 고소한 커피는 있어도 구수한 커피는 없습니다. 왜 그럴까요? '고소함'에다가 솥단지에 눌어붙게 하는, 은근하게 우려내는 시간을 한 꼬집 넣었을 때 '구수함'이 되기 때문이죠.




'구수'한 맛

할머니 댁을 떠올리면 '구수한 맛'이 좀 더 선명해집니다. 마당에는 TV 예능 프로 '삼시 세 끼'에 나오는 큰 솥단지와 화로가 있고, 뒤편에 줄 세워진 항아리에는 된장이 한가득 담겨 있었죠.

 솥단지에 한 밥을 먹은 후 솥단지에 남아있는 눌어붙은 누룽지는 영양만점 간식이 됩니다. 누룽지를 한 입 베어 물고 오래 씹으면 진해지는 밥알의 단맛과 살짝 탄 부분의 구수한맛과 향이 입안에서 즐거운 파티를 열어줍니다. 이것이 바로 세계 어디에서도 흉내 낼 수 없는 K-간식 아니겠습니까?


솥단지와 불이 만나 쌀이 밥으로 익어가다 탄맛에 가려는 바로 그 직전! 그때 바로 구수함이 만들집니다. 항아리에 들어있던 된장도요. 고소한 콩이 메주가 되었다가 항아리에서 익어가는 계절을 지나 탄생합니다.


쌀, 콩, 보리 등 곡물에 땀과 시간을 더하면 '고소'함은 모음을 뒤집어 '구수'함이 됩니다.


아하! 초반에 던진 MZ 세대 가 할매니얼이 된 이유의 물음은, 국산 곡물에 시간이 담긴 할매음식이 주는 위로가 답이었네요.



내일, 위즈덤 작가님은 '긴장'과 '떨림' 사이에 선을 긋습니다. 모호한 경계에 선을 긋고 틈을 만드는 사람들! 작가 6인이 쓰는 <선 긋는 이야기>에 관심이 간다면 지금 바로 매거진을 구독해 주세요.

매거진의 이전글 일기와 에세이 사이(2)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