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Kim Uye Aug 31. 2023

영영 시차라는 단어를 잊게 될지도 모른다

8월 월말 결산 일기

도파민과의 전쟁이었던 8월.

쾌락의 영역이라 여겼던 감정이 사실은 절대 절망으로부터 기인했다는 걸 알게 되었을 때 나는 이 축축한 불씨를 다스리고자 요가, 티타임 그리고 독서 시간을 사수했다. 그러나 내가 언제는 뭐 굉장히 매니악틱했던가. 밤엔 나 자신과의 불화를 종용하는 것들과 유대를 끊고자 하면서도, 낮엔 불구덩이 테마주에 올라타 자극의 최대치를 맛봤다(나름 중용의 자세라 말하고 싶다).  


세상은 더 난리였다. 대낮부터 흉기 난동 사고가 일어났고 심지어 허위 신고까지 더해지며 불안 심리도 계속 높아졌다. "감옥은 무슨. 다 쏴 죽여야 한다" 말하는 것도 여러 번 반복하니 지겨웠고 지겹다 못해 두려웠다. 유일하게 남산타워만이 나를 달랠 수 있었다. 오며 가며 마주치는 것만으로도 지금 이곳은 낭만의 도시 서울이라고 말해주니까.  


이따금 등허리에 큰 갈퀴를 지고 느리게 걷는 나를 상상했다. 뭐라도 긁어모으고 싶은 나의 욕심을 반영한 것이기도 했고, 탐닉하지 않아도 결국 지나오며 멀어지는 것들을 대면하는 행위기도 했다.
한 번에 하나도 제대로 못 하면서 움켜쥐는 아집을 언젠간 내려놓을 수 있을까. 사실 잃는다는 건 생각해본 적이 없지만 손해보기 싫어 집착하는 내가 너무 추해 차라리 잃는 게 익숙해졌으면 좋겠다 싶다. 다시 시작할 수 있는 힘만큼 중요한 건 없으니까.


어렵다는 말을 쉽게 내뱉지 않으려면 고민의 진짜 무게를 달아보는 시간을 사수해야한다. 나에게 어떤 결핍이 있는지를 따지기보단 결핍이 있는 사람이라는 걸 여러 번 반복해서 외워야 한다. 특히 외로움이라는 급류에 떠내려가는 것을 잡아선 안 된다.


어떤 조율이나 타협 없이 이 자체로 흡족한 순간들을 마주하는 게 참 좋다. 마치 남산타워처럼 이게 삶이라고 느끼게 하는 것들의 곁에서 따스한 눈인사를 나누는 일. 내 삶에 이 같은 게 더 많아진다면 나는 영영 시차라는 단어를 잊게 될지도 모른다.


벌써 3년째 신고 있는 낡은 샌들을 바라보다가 "더 이상 좋아하지 않아서 헤어졌다"라는 말을 이해해버렸다. 닳아 버리거나 닳아서 버리는 것. 익숙함마저도 그만두어야 할 때가 있는 법이니 절망이니 쾌락이니 하며 힘을 빼는 것도 자중할 일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새삼 대단해보이는 일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