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까만햄찌 Jul 25. 2018

사회적경제 기회의 섬 '제주'

“제주는 모든 SGD를 적용할 수 있는 지역”

사진 : flickr(SS Tan) 

제주도      

한반도 남단 남해상에 있는 특별자치도.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섬이다. 제주도를 비롯하여 비양도, 우도, 상추자도, 하추자도, 마라도 등 8개의 유인도와 54개의 무인도로 이루어져 있다. 옛날에는 육지와 고립된 섬이었으나 국민소득의 증대와 더불어 육지와의 교통이 편리해짐에 따라 오늘날에는 전국 제일의 관광지역으로 발전했다.     

제주해협을 사이에 두고 목포와 약 140km 떨어져 있는 제주도는 윤곽이 대략 동서방향으로 가로놓인 고구마처럼 생겼는데, 남북간의 거리가 약 31km, 동서간의 거리가 약 73km이다. 면적은 남한 면적의 1.8%를 차지하고 인구는 남한 인구의 1.2% 정도를 차지한다.[“제주도” 다음백과]               

사회적경제 분야로 이직 후, 지방 출장이 늘었다. 문재인 정부가 ‘사회적경제’ ‘일자리 창출’을 언급할 때마다 출장 일정이 생긴다. 각 지자체와 공기업이 그만큼 사회적경제 사업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뜻이다. 특히 제주가 그렇다.      



제주 출장 이야기에 “부럽다” 반응을 보이는 사람이 있다. 그럴 때마다 서운함을 넘어 서러움이 솓구친다. 사회적경제와 제주도를 제대로 경험했다면 이런 반응은 나올수 없을 텐데. 중간지원조직에게 제주는 극한의 출장지로 악명 높다. 방문지는 한라산을 중심으로 뿔뿔히 흩어져 있다. 이동시간이 만만치 않다. 비(눈)바람이 불어도 옆동네로 넘어가면 해가 뜬다. 변덕스런 날씨가 출장 난이도를 한층 높인다. 비행기마저 연착되거나 결항되면, 피로와 짜증은 극에 달한다.       


그럼에도 제주에 출장을 가야한다. 그것도 자주 가야한다. 사회적경제 움직임이 심상치 않기 때문이다.  

    

지난 2008년 4월 사회복지법인 평화의마을이 처음 사회적기업을 인증 받은 후 도내 사회적 경제는 꾸준히 성장해왔다. 제주는 ▲사회적기업 육성 및 지원 조례(2011년) ▲협동조합 활성화 지원 조례(2013년) ▲사회적경제 기본조례(2014년) 등 사회적경제에 대한 제도적 근거를 갖춰나가고 있다. 올해 4월 현재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소셜벤처 등 도내 사회적경제조직은 약 370개로 추산된다.   

   

제주가 사회적경제에 드라이브를 거는 이유는 뭘까. 소득 불균형, 난민 등 제주는 다른 지자체보다 다양한 사회문제를 겪고 있다. 고용노동부 자료를 보면 지난해 4월 기준 도내 5인 이상 사업체의 상용근로자 임금은 월 264만9000원. 이는 전국 16개 시·도 중 가장 낮은 금액이다. 부동산 가격은 급등해 주거비 부담감을 가중 시키고 있다. 예멘 난민 527명이 최근 제주에 체류하면서 난민 문제도 빨간불이다. 이 같은 사회문제에 대한 솔루션을 사회적경제에서 찾겠다는 게 제주의 복안이다.       

사진: KBS 뉴스 화면 캡처


제주의 노력에도 상황은 녹록치 않다. 제주자치도 사회적경제종합발전계획(2015년)에 따르면 2014년 기준 도내 사회적경제기업의 고용비중은 0.37% 불과하다. 2015년 기준 국내 사회적경제기업의 고용비중이 1.4%, 유럽연합(EU) 6.5% 등에 비해 미흡한 수치다.      


사회적경제 전문가들은 잠재력 측면에서 제주를 높게 평가하고 있다. 김정태 MYSC 대표는 지난 5월 한 세미나에서  제주를 “지속가능발전목표(SDG)가 모두 적용 가능한 기회의 섬”이라고 표현했다. 그는 ‘집합적 임팩트’(Collective Impact)라는 개념을 주장했다. 단일 기관들이 유사한 문제에 접근하면서 경쟁해온 기존 방식과 달리, 하나의 팀을 이뤄 동일한 가치를 이뤄내야 한다는 것. 이런 집합적 임팩트가 제주형 사회적경제 생태계 모델로 적합하다는 부연이다. 다시말해 투자기관, 중간지원기관, 공공기관 등이 하나로 뭉치면 도내 여러 사회문제를 동시다발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제주가 집합적 임팩트를 구현할 수 있을지. 제주형 사회적경제 생태계는 실현될지. 늘어나는 관전 포인트가 흥미를 자극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모금은 명확한 감사 인사로 마무리 된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