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네모 Mar 09. 2021

돈으로 사는 정의

맞는 것보다 무서운 것

돈으로 정의를 산다라.. 정치계뿐만 아니라 돈이 어느 정도 있는, 경제적으로 여유로운 사람들이 위법 행위를 저질러 기소됐을 때 합의를 통해, 즉 돈으로 자신의 죄에 대한 면죄부를 받는 경우가 있다. 또 그에 대항할 수 없는 사람들도 있다. 그들을 위해, 인권을 위해 부르짖는 사람들 또한 있다. 우리는 서로를 구할 수 있을까?


합의라는 방안도 결국 사회적으로 최대한의 효율성을 보장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겠지만, 많은 사람들은 이에 대해 불만을 가지고 있다. 비슷한 맥락으로는 사과. 피해자에 대한 잘못을 공개적으로 시인하거나 반박하는 증거들을 들춰낸다. 우리, 대중은 스타들의 행보에 분노하기도 하고 때로는 그들이 호소하는 억울함에 휘둘리기도 할 것이다.


나는 그 안에 나 자신을 대입하는 버릇을 가지게 됐다. 피해자들이 당한 끔찍한 것들에 아직까지 저런 악습이 남아있다는 것에 씁쓸해진다. 어렸을 때, 체벌이 없어진 뒤로, 학교의 분위기도 많이 달라졌다. 밖에서는 여전히 패싸움이 일어났지만 내부에서는 치고받고 싸우는 정도였지 한 사람을 죽도록 때리지는 않았다. 아니 겉으로만 그렇게 보였을지 모른다.


물리적인 폭력의 무서움은 몸으로 직접 느끼지만 더 영악해진 아이들은 심리적인 압박을 이용하기 시작했다. 주변 반 친구들을 협박해 한 친구에게 말을 걸지 못하게 만들었고 그 친구는 1년 내내 길을 막았다는 이유 하나로 교실에서도 급식실에서도 혼자여야 했다. 지나가다 앞문 너머로 본 그 친구는 아무것도 느낄 수 없는 무표정이었다. 뿐만 아니라 아침에 등교해서 학교 끝나고 기다리라는 말을 남겨놓은 소위 일진 무리들을 무시하고 집에 갔다가 그 집 현관 앞에서 20명 정도가 모여 소리 지르며 그 친구를 불러댔다는 것도 들었다.


우리 반에 내가 없었던 적이 있었는데, 그때의 난 내가 투명인간처럼 느껴졌었다. 철저한 무시였다. 친구들이라 생각했던 아이들이 대답을 해 주지 않았고 이동수업 시간에 아무도 엎드린 나를 깨우지 않았다. 내 잘못을 묻자 마지못해 차가운 눈을 하며 '그냥 같이 다니기 싫어.'라는 한 마디를 내뱉은 그날은 아직도 생생히 남아있다. 울 것 같은 얼굴을 하고 있으면 더 재밌다는 표정으로 킥킥대는 걸 본 뒤로 나는 아무 반응도 하지 않고 혼자 지내기로 마음먹었다. 몇 년 뒤에 본 그 친구 얼굴에서 나는 내 얼굴을 마주 볼 수 있었다.


그래서. 항상 기억한다. 뉴스를 볼 때도, 학교폭력으로 마지막 선택은 자신의 몫으로 돌리려고 한 사람들을 보면서 기억하고 기억하니 쉽게 잊혀질 리가 있는가. 그 감각에 무던해진 다른 사람들에 또 상처 받는 나는 너무 예민한 사람일까.

매거진의 이전글 대학생 자취생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