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송면규 칼럼니스트 Apr 15. 2024

밀려오는 중국발 삼각파도

살며 생각하며

요즘 중국이 내부적으로 부동산 위기, 실업난. 디플레이션 등 삼각파도에 휩싸여 있는 것 같다. 외부적으로는 미국이 디리스킹 칼날을 벼르고 있어 진퇴양난의 상황이다.


그렇다고 해법을 찾는 것도 쉽지 않은 것 같다. 금리를 대폭 내리자니 부동산 거품이 두렵고, 자칫하면 금리가 역전돼 외국 자본의 대탈출 우려마저 다.


그래서일까? "수출만이 살 길이다" 외치고 있지만 그것마저 반도체 등 첨단제품은 서방 규제에 꽁꽁 묶여 있고, 설상으로 트럼프가 등장하게 면 중국산 제품에 관세 60%를 공언하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이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공간이 "중저가 생활필수품 수출" 아닌가 싶다. 그래서 중저가 3대 혈관이라 할 수 있는 '알리, 테무, 쉬인"시진핑까지 잔뜩 공을 들이고 있는 것 같다.


중국의 중저가 수출에 유탄을 맞은 전 세계 이커머스 업계는 지금 쑥대밭이 되어 가고 있다. 미국의 천 원 숍인 '달러 트리'중국발 삼각파도에 점포 천 여개를 폐쇄할 정도로 파괴력이 막강하다.


국내 인터넷 쇼핑 업체도 이미 2만 4천 여곳이 폐업했으며, 이마트 등 대형마트들도 매출이 급감해서 "사상 처음으로 희망퇴직을 실시했다" 보도되고 있다.


그런데 더 심각한 것은 중국발 거센 파도가 온라인을 넘어 실물 경제로까지 번져 우리나라 중저가 제조업의 생태계마저 빠르게 붕괴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국내 중소 제조업체들의 약 33%가 알리, 테무, 쉬인의 공격적인 마케팅과 저가 공세에 밀려 매출이 급감했다고 중소기업중앙회는 밝히고 있다.


쿠팡이 자리를 잡기 무섭게 중국의 물류기업인 알리, 테무 등이 한국에 본격 상륙하고 있다. 일환으로 알리익스프레스가 한국에 1조 원을 투자하는 등 대대적인 공세에 나서고 있어 우리가 더 이상 느긋할 형편이 못된다고 본다.


따라서 국내 중소기업 생태계가 불가역적으로 망가지기 전에 시진핑 주석의 장풍을 피하려 하지 말고, 신속한 정면 대응 전략을 세워야 하지 않을까 싶다.

작가의 이전글 성숙한 사람 vs 미성숙한 사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