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
송면규 칼럼니스트
Dec 30. 2024
'확증 편향'(Confirmation Bias)은 사람들이 자신이 이미 가지고 있는 신념이나 가설을 뒷받침하는 정보에 주목하고 이를 강화하려는 경향을 말한다.
이와 동시에, 기존 신념과 반대되거나 모순되는 정보는 무시하거나 과소평가하는 경향도 포함된다. 이는 인간의 인지적 오류 중 하나로, 우리의 판단과 의사결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
첫째, 확증 편향의 작동원리
확증 편향은 대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한다.
1. 정보 선택
자신의 신념과 일치하는 정보만을 찾고, 그렇지 않은 정보는 무시하거나 회피한다.
2. 정보 해석
같은 정보라도 자신의 관점에 유리한 방식으로 해석한다.
3. 정보 기억
기존 신념을 강화하는 정보는 더 잘 기억하고, 모순되는 정보는 쉽게 잊는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운이 좋은 날은 빨간색 옷을 입는다"라고 믿고 있다면, 빨간 옷을 입었을 때 좋은 일이 일어나는 사례만 떠올리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무시하거나 기억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둘째, 확증 편향의 원인
확증 편향은 인간의 인지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려는 경향, 즉 "인지적 절약"과 관련이 있다.
1. 인지 부조화 회피
기존 신념과 상충되는 정보를 받아들이면 심리적 불편함이 생기므로, 이를 피하려는 심리가 작용한다.
2. 자존감 유지
자신의 신념이 틀렸다는 것을 인정하기보다는, 이를 지지하는 정보를 통해 스스로의 판단이 옳다고 느끼려 한다.
3. 정보 과부하
너무 많은 정보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전부 고려하기보다 신념과 맞는 정보만 취사선택한다.
셋째, 확증 편향의 사례
1. 정치
특정 정당을 지지하는 사람은 그 정당에 유리한 뉴스나 자료만 보고, 반대 정당에 관한 정보는 무시하거나 불신한다.
2. 의료
건강에 관한 미신(예: 특정 음식이 모든 질병에 좋다는 믿음)을 가진 사람은 관련된 긍정적 사례만을 찾고, 과학적 반박은 간과한다.
3. 소셜 미디어
알고리즘이 사용자의 관심사에 맞는 콘텐츠만 추천하면서 확증 편향이 강화된다.
넷째, 확증 편향의 영향
확증 편향은 개인의 의사결정뿐 아니라 사회적 논의와 협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1. 잘못된 판단
편향된 정보에 의존하면 정확한 판단을 내리기 어렵게 된다.
2. 집단 극화
같은 신념을 가진 사람들이 모이면 확증 편향이 강화되어 극단적인 생각으로 흐를 가능성 증가한다.
3. 과학적 연구의 왜곡
연구자가 자신이 예상한 결과를 지지하는 데이터만 선택적으로 분석하거나 보고한다.
다섯째, 확증 편향 극복 방법
확증 편향을 완전히 제거하기는 어렵지만,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줄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1. 반대 관점 탐구
자신의 신념과 다른 관점을 적극적으로 찾고 검토하기
2. 비판적 사고 훈련
모든 정보에 대해 신뢰성과 정확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3.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감정보다는 객관적 자료와 증거에 기반해 판단하기
4. 피드백 요청
자신의 신념에 대해 타인의 의견을 구하고 열린 자세로 받아들이기
결론적으로, 확증 편향은 인간이 정보를 선택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를 인식하고 극복하려는 노력을 통해 보다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다고 본다.
요즘 한국 사회가 -특히 정치권을 중심으로- 편을 갈라 확증 편향의 늪에 갇혀 있는 것 같아 많이 안타깝다. 지금이라도 한 발짝 물러서는 여유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