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미디어리터러시 Dec 26. 2016

2016 대한민국 청소년 미디어 대전


김우주, 2016 다독다독 기자단


[요약] 2016년도 어느새 끝을 향해 달려가고 있습니다. 생각해보면 올 한해는 기억해야 하는 일들도, 기억하고 싶은 일들도 참 많은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청소년들은 어떤 일을 그들의 머리와 가슴에 담아두고 있을까요? 올해로 제16회를 맞이한 KYMF (대한민국 청소년 미디어 대전)에서 각종 미디어로 남겨진 그들의 기억을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지난달 17일부터 19일까지 서울시청 및 서울시민청에서 ‘제16회 대한민국 청소년 미디어 대전 (KYMF)’이 개최되었습니다. ‘기억해야 하는 이유’라는 주제로 영화와 광고,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 사진 등 다양한 미디어 매체를 통해 청소년들이 자신들의 생각을 나타냈습니다. 이 행사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대부분 청소년 행사의 심사가 주로 선생님, 전문가와 같은 어른들이 하는 것과 달리 청소년이 심사위원을 맡았다는 것입니다.


취재과정에서 다큐멘터리 작품인 <쓰리,go>와 <엄마의 상자>, 그리고 영화 <첼로 소리는 사람 목소리와 가장 비슷하다>, 애니메이션인 <WINSTON> 등을 관람하게 되었는데, 소재 선정이나 영상의 기술적 완성도, 그리고 자신들만의 스타일로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방식 등이 신선하면서도 그 퀄리티가 전문가 못지않게 높아 매우 놀랐습니다. 영상 상영 후 감독과 관객들이 대화할 수 있는 GV(관객과의 대화)가 마련되었습니다. 심사위원으로 참여한 청소년들과 일반 학생들의 질문이 오갔는데 이 역시 깊이 있어 행사명에 적힌 ‘청소년’이라는 글자에서 느꼈던 미숙함이 고정관념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 영상이 상영되었던 태평홀의 모습 ▲ 영상작품 상영 후, GV(관객과의 대화)가 이루어지는 모습

한편, 꿈이 없는 친구가 꿈을 찾고 꿈을 가진 친구가 방향을 잃고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꿈에 대한 출발과 고3이라는 신분이 가지는 압박감과 무게를 표현하고자 한 <쓰리,go>와 30년 전 엄마와 엄마 친구들이 작성한 설문지를 되돌려 줌으로써 어른들에게는 잊고 살았던 청소년기의 꿈을 되찾아주고 이를 지켜보는 청소년들 역시 자신의 꿈을 생각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는 <엄마의 상자> 등에서 오늘날 청소년들이 가진 관심사와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작품을 통해 미디어 대전이 어른과 청소년이 소통할 수 있는 가교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이벤트홀 사진전시장에는 기억하고 싶은 장면들을 한 컷에 담아놓은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었습니다. 독립운동가들에 대한 감사함을 담았다는 작품 <광복과 독립을 기억해야 하는 이유>부터, 명절날을 손꼽아 기다리시는 할머니 할아버지를 뷰파인더 속에 담은 <그날..>, 일상의 소중함을 알게 하고 싶었다며 교복을 걸어놓은 옷걸이부터 항상 교실에서 보았던 앞자리 친구의 등을 사진으로 남겨놓은 <기억해야 하는 모든 것들>이라는 작품 등이 있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재개발과 철거의 열풍 속에서 점점 없어져 가는 골목의 모습을 늦기 전에 담아두고 싶었다는 <골목>이라는 작품이 좋았습니다. 일상적인 골목의 풍경임에도 어딘지 모르게 쓸쓸함이 묻어나는 그 모습에 작가의 의도가 무척 잘 배어있다는 점을 느끼며 한참을 사진에 빠져있었습니다.

이번 행사는 단순히 작품을 관람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관객들이 직접 참여함으로써 미디어를 통해 다양한 체험과 경험을 쌓을 수 있는 ‘미디어 워크숍’도 마련되었습니다. 여기에서는 특히 ‘치유’를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미디어 매체를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대한민국 청소년 미디어 대전>에 대한 청소년들의 반응은 어떨까요? 


이번 행사의 청소년 심사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는 학생(김수현, 동두천외고 2학년 재학)을 인터뷰했습니다. 김수현 학생은 선생님의 추천과 PD라는 자신의 꿈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점 때문에 이 행사에 참여하게 되었다고 했습니다. 직접 행사에 참여해 보니 연출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알게 되는 것뿐만 아니라 미디어에 관심이 많은 다른 청소년들을 만날 수 있어 좋았고 참신한 작품들이 많아 다양한 사고를 할 기회가 되었다며, 더 많은 친구가 참여하면 좋을 것 같다는 말을 전했습니다. 하지만 한 편으로는 감독과 관객이 소통할 수 있는 시간이 여전히 부족한 것 같다는 아쉬움을 드러내기도 했습니다. 이렇듯 학생들이 주체적으로 참여할 기회가 좀 더 보완된다면 <대한민국 청소년 미디어 대전>은 미래에 각종 미디어 분야를 이끌어나갈 청소년들에게 다양한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어른들에게는 다른 세대와 소통할 수 있는 창구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들었습니다.


미디어에 관심이 많은 분이라면, 혹은 다른 세대와 소통하고 싶고 다양한 사고의 기회를 얻고 싶은 분들이라면 앞으로 열릴 제17회 <대한민국 청소년 미디어 대전>을 기다려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작가의 이전글 나를 깨우는 한 줄 (12월 3주차)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