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Dr Gang Jan 26. 2020

대학에서 교수로 시작하기

'한국 교수, 미국 교수되기' 편에서도 이야기를 했지만 박사과정은 연구자를 양성하는 것이 목적이지 교육자를 양성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다. 학교마다 다를 수는 있지만 적어도 95% 이상은 연구자를 교육하기 위한 것이라고 본다. 다른 말로 하자면 좋은 연구자라고 좋은 교육자가 되는 건 아니라는 말이다. 사실 거꾸로도 그 등식은 성립한다. 


학교마다 학교에 잘 적응을 하기 위한 오리엔테이션은 있다. 다만 UNIST의 경우는 대부분 한국인인 반면에, Salisbury University (SU)의 경우에는 정말 다양한 나라에서 온 교수들이 임용이 된다. 그러다 보니 아무래도 미국의 학교가 훨씬 더 많은 시간의 오리엔테이션이 필요하다. 비자 문제, 의료보험 문제, 등등 


물론 UNIST가 연구중심학교이고 SU가 교육중심학교라 오리엔테이션의 주요 요지 또한 차이점이 크다. 미국에 오니 한국에서 느끼지 못했던 학생들의 다양한 면에 대해서 많은 시간을 들여 교육을 시키는 인상을 받는다. 최근 들어, 학생들의 정서적 문제라던지, 인종차별, 장애인에 대한 차별 등 워낙 소송의 나라라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이런 부분에 대해 많은 정보를 제공하였다. SU에 임용이 되었을 때는 전체 420명 정도의 교원 중에서 55명이 새롭게 임용이 되어서 한꺼번에 오리엔테이션이 진행되어 아무래도 소규모로 진행되었던 UNIST에 비해 좀 더 체계적인 느낌을 받았다. 특히, 각 부서별로 책임자가 나와서 교수들이 알아야 할 사항을 자세히 설명하고 질의응답을 통해 이해를 시켜나가는 게 의미 있게 보였다.  


하나 특이한 점은 매년 새로운 Academic year가 시작될 때 SU의 경우 'Provost's welcome back meeting'을 하는데 이 자리에 학교 전체의 교수가 모여서 새로운 한 해를 맞이하며 새로 임용된 교수를 소개함과 동시에 학교의 주요 어젠다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다. 사실 이러한 공식 석상에서도 항상 눈이 띄는건 '유머'이다. 어떻게 보면 아주 포멀한 자리이지만 거기서도 청중의 주의를 끌고 분위기를 환기하는데 유머를 참 잘 사용한다는 느낌을 항상 받는다. UNIST에서도 비슷한 형태의 미팅이 있긴 했는데, 분위기는 자못 달랐다.  


개인적으로 수업을 준비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재미'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나 역시 유머를 많이 쓰려고 자료를 준비한다. 그리고 다음은 주요개념도 중요하지만, '왜 우리가 이걸 논의하고 이해하려고 하는지?'의 답이 되는 자료를 많이 준비한다. 나 역시도 대학생 때 어지간히 공부를 안 했던 사람인데, 그 이유 중에 하나가 '내가 왜 이걸 하고 있지?'라는 생각이 들어서였던 것 같다. 수업을 준비함에 있어서 크게 다르지는 않다. 다만, 미국 학생들에게 맞는 사례나 자료를 준비해야 하는데 일단은 내가 그 지식이 부족하다. 아울러 이름 중심의 사회인 미국에서 이름을 외우는 게 여간 곤욕스러운 게 아니다. 


이제 나는 타이틀 사회에서 네임 사회로 넘어온 것이니 말이다. 


출처: https://07701.tistory.com/139 [강박의 2 cents]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