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시골교사 Aug 17. 2019

독일의 대학교 간, 수준 차이가 없다

이곳 대학교에는 수준차이가 없다. 학생, 교수, 시설 면에서 학교 간 질적 차이가 거의 없다. 2006년부터 국가경쟁력 제고 차원에서 특성화 대학을 지정하여 정부가 지원을 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대학 수준에 별 차이가 없다는 게 독일 사람들 사이에서의 정설이다.      

이런 이유로 한 지역, 한 대학으로 인재가 쏠리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대학 간 수준 차이가 없는데 굳이 방값 따로 내면서 다른 지역으로 갈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학생들 수준이 평준화되어 있는 탓에 어느 대학 교수든 가르치고 연구하는 일에 보람과 재미를 느낄 수 있고 대학 간 공정한 경쟁 또한 가능하다.      

대학을 졸업하면 보통 자기 고장에서 직장을 찾는다. 의대를 졸업하고 해당 주(州)의 주립병원과 지방 도시 병원에서 일자리를 찾고, 정치학을 공부한 뒤에 해당 주의 의회에서 정치인으로 일한다. 교수가 될 사람은 ‘하빌리’(박사학위 상위과정인 교수자격과정)를 거친 후 다시 모교에 자리를 잡는다.     

지방인재가 이렇게 다시 그 지역으로 흡수되기 때문에 정치, 교육, 의료, 문화수준이 지역마다 고르게 발전하게 된다.   

        

대학대학원까지 공짜     

독일 대학에는 수업료가 없다. 대학의 전 과정은 물론이고 박사학위 논문을 끝낼 때까지도 마찬가지다. 돈 때문에 교육권을 박탈당하는 일은 생기지 않는다. 이것은 독일에서 공부하는 외국인에게도 똑같이 적용된다.      

독일이 경제적으로 잘 나가던 때는 물론이고 통일 후 10년 정도까지 치·의대에서 수업시간에 쓰는 재료비 일체를 국가가 무상으로 보조해 주었다.(이것은 지방마다 차이가 있다.) 이과계열의 한 유학생은 한국에선 조교나 교수 외에는 만질 수 없었던 비싼 실험용 재료를 이곳에서 마음껏 써볼 수 있어 너무 놀랐단다. 하지만 2000년대의 경제적 불황 앞에 그 원칙은 무너지고, 치대에서 수업시간에 쓰는 연습용 재료 정도는 이제 학생이 스스로 구매해야 한다.     

언제부터인가 이런 ‘공짜 교육’이 국가경쟁력 약화를 가져왔다는 여론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투입과 산출 면에서 보면 무상교육이 그런 흐름을 둔화시켜 국가 경쟁력 약화를 가져온 것임에는 틀림없다. 아는 한 독일친구는 경제학과를 3년 다니다 제적당하고 교육학과로 전과해 대학생활만 10년째이다. 또 다른 친구는 취업을 결정하는 졸업시험을 계속 미루고 만학의 길을 여전히 걷고 있다. 그래서 학교 내에 학생인지 교수인지 구분하기 어려운 나이 드신 학생들이 종종 눈에 띈다. 이것은 무상교육의 결과이다. 한번 늘어진 학업은 그렇게 졸업을 더디게 만들기도 한다.     

등록금 외에 생활비로 어려움을 겪을 땐 국가의 지원을 요청할 수 있다. 본인이 생활비를 벌며 공부하는 경우, 대학졸업 시험을 앞두거나 대학원 논문 학기라면 1년간 매 달 50만 원 정도를 보조받을 수 있다.(보통, 대학과정에서 6개월, 대학원 과정에서 6개월 정도를 보조받는다.) 박사 시험 준비를 하고 있는 학생들에게도 매달 80여 만원 정도를 약 3개 월 정도 지원해 준다. 유학생 역시 이런 혜택을 똑같이 받을 수 있다. 거기다 더해지는 정당 장학금, 기업 장학금, 재단 장학금 등으로 학생들은 경제적 걱정 없이 공부에만 전념할 수 있다.

작가의 이전글 “여보! 서둘러! 문 닫을 시간이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