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Anonymoushilarious Oct 01. 2021

어른인 척 하는 아이들의 이야기

영화 "기적" 리뷰

수학 천재라서 문제는 다 풀어놓고, OMR카드에 1번으로 찍는 도라이, 정준경. 그는 통학 하는 데 왕복 5시간이 걸리는 시골마을에 산다. 마을에 들어가려면, 기찻길이 다니는 통로를 지나가야 하는데, 그 통로를 건너다가 기차 사고로 죽는 사람들이 많아지자, 준경은 간이역을 만들어 달라는 청원을 청와대에 보낸다. 하지만 청와대는 답이 없고, 준경의 마음은 애타는데, 과연 준경의 꿈은 이루어질 수 있을까?


혹시 영화를 보러 가실 분들이 있다면, 도움이 될 만한 포인트를 최대한 스포없이 제공해보고자 한다. 과연 그게 될까? 근데?

출처 네이버 영화

1. 트레일러에 속지 말 것


처음에 이 영화의 트레일러만 보면, 준경과 라희의 풋풋함으로 승부하려는 청춘 영화인가? 하는 느낌이 든다. 간이역을 만들고자 하는 준경의 마음은 그저 시골 소년의 이웃을 위하는 훈훈함으로 포장되고, 결국 메인 스토리는 옛날의 향수를 불러일으는 러브 스토리에 가깝지 않을까 생각했었다. 그러니까 쉽게 말해, 이 영화 예상가능한 플롯으로 구성되어 있을 것 같으니, 내가 이 영화를 본다면, 배우진들에 대한 팬심으로 보거나 아니면 자극적이고, 숨쉴 틈 없이 흘러가는 플롯들이 인기를 얻고 있는 현 시점 영화관 개봉작들 중에서 조금 따뜻한 영화를 보고자 하는 마음에서 선택하지 않을까 생각했었다.

그런데 이 영화, 생각보다 강력하다. 뭐랄까, 반전이 있다. 트레일러만 보면, 이 영화는 장르가 코미디 영화인가 싶지만 이 영화는 신파극이라고 본다. 사실 나조차도 신파라면 애초에 보려고도 하지 않았으니, 어느 순간부터 신파에 대한 이미지가 참 많이 훼손된 것 같은데, 영화를 보고 나오는 순간, 느꼈던 점은 신파도 결국 빌드업을 잘 해 놓으면, 억지스럽지 않고, 공감으로 승화된다는 점이었고, 내가 신파를 너무 평가절하하고 있었음을 반성하게 되었다. 잘 만들어진 신파도 있음을 알게 되었다. 신파극이란 이래야 한다고 본보기로 제시할 수 있을 만큼 감독이 의도한 감정적 코드가 전혀 억지스럽지 않았기 때문이다.

출처 네이버영화

2. 준경을 만든 두 여자, 보경과 라희


 영화를 보지 않은 사람들은 임윤아 배우가 여주인공이라고 생각하겠지만 사실 이 영화에서 임윤아 배우는 비중으로 따지면, 비중있는 조연에 가깝다. 영화 상에서 라희는 자신의 꿈은 누군가의 뮤즈가 되는 것이라는 대사가 있는데, 딱 뮤즈라는 단어가 잘 어울리는 역할이었다. 누군가의 인생에 영향을 주는 사람. 준경의 첫사랑 상대라고만 하기에는 준경의 부족한 사회성을 채워주는 엄마같기도, 누나같기도 한 다면적인 해석이 가능한 역할이라서 좋았다. 자신만의 섬에 갇혀 살던 준경을 사회로 끌어내준 사람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준경을 이해하려면 보경을 이해해야 한다.

보경은 준경에게 엄마 대신이라면, 라희는 친구 대신이다. 보경은 준경을 아이가 엄마에게서 느낄 정과 사랑을 준 사람이었다면, 라희는 사춘기 준경을 어른으로 한 뼘 더 자라게 한 사람이었다. 보경의 희생적인 사랑은 양날의 검이었던 것이, 그를 착하고, 올바르게 키워내긴 했지만 그를 더 어둠 속으로 들어가는 데에 일조하는 모순적인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라희는 보경과의 삶에서 벗어날 생각을 하지 않던 그를 세상 밖으로 나올 수 있도록 꾸준히 노크해준 사람이다. 하지만 보경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한 준경은 계속 간이역에 집착하면서 라희의 노크를 애써 무시한다.

준경에게 보경은 준경의 패쇄적인 마음을 대변한다. 준경에게 보경은 보호해야할 사람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영화가 진행될수록 준경의 보호 심리는 누나를 위한 것이 아니라 누나에 대한 보호 심리를 핑계 삼아 떠나지 못하는 아이같은 마음이 남아있는 준경의 자기보호임을 알 수 있다. 준경은 그저 누나를 방패삼아 자신의 마음 속 터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어린아이일 뿐이었다.

3. 모두가 몸만 큰 아이들이었음을


이 영화를 보면서 느낀 점이 있다. 어른들도 어른인 척 하고 살아간다는 것. 사실 마음 속에 어린 아이가 하나씩 자리잡고, 어찌해야할 할 줄 모르는 상황 속에서도 침착한 척 하고 살아가는 것이구나 했다. 준경의 아버지가 딱 그렇다. 자식들을 제대로 케어하지 못했다는 죄책감은 준경에 대한 무심함으로 표출되었다. 제 3자가 본다면, 미안할수록 더 잘 해줘야 하는 것 아닌가 하지만 너무 미안하면, 어떻게 해줘야 할지 모르겠는 그 당황스러움이 이해가 가기도 했다. 자신의 커진 몸과 비례하지 않는, 자라지 못한 마음, 자신의 죄책감이 들키는 순간을 두려워했던 것이 아닐까. 그 모습을 보면서, 나이가 들어도 마음은 생각보다 빨리 자라지 않는다는 것을 이 영화를 통해서 다시금 깨달았다. 어른들은 그저 자신의 약한 부분들을 적당히 감추면서 사는 법을 터득한 것 뿐이지 어른들이라고 마음의 나이는 자라지 않았을 수도 있다는 것을.


결국, 마음의 나이는 성숙한 척하는 겉모습에서 판단할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의 솔직함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닐까. 라희를 제외한 모든 인물들이 모두 어른인 척하는 어른이들이었음을 인지하고 나자, 라희가 그렇게 성숙해 보일 수가 없었다. 겉모습은 왈가닥이고, 자신의 마음을 숨기지 않는 그녀가 철부지 같아 보여도 오히려 가장 성숙한 인간이 아니었을까 되새겨본다. 자신의 마음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오해가 없게끔 소통에 적극적인 그녀의 모습에서 마음의 나이는 가장 어른이었을지도 모른다.

매거진의 이전글 스스로를 의심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추천하는 신작 영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