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꿈꾸는 시시포스 Dec 07. 2023

중국 희토류 산업 동향

@중국 희토류 기업 우광희토(五光稀土)

국 희토류 산업 현황

금년 초 중국 중상산업연구원(中商産業硏究院)은 <2022년 중국 희토류 산업 시장 동향과 2023년 발전 전망>을 발표하였는바, 현지 매체(中商情報罔 2.18일자)가 보도한 관련 내용을 요약해 보면 아래와 같다.


중국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17종류의 희토류 금속, 특히 군사용 중(重) 희토류를 생산하는 나라이자 세계 희토류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공급자이기도 하다. 중국의 희토류 생산량은 2018년 12만 톤, 2020년 14만 톤, 2021년 16만 8000 톤, 2022년 21만 톤이었고, 2023년에는 24만 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자료: US Geological Survey)


중요 전략자원인 희토류는 생산과 제련 등에 중국 정부의 엄격한 통제를 받고 있으며, 공업정보화부와 천연자원부가 발표한 2022년 희토류 채굴, 제련 분리 총량 통제지표는 각각 21만 톤, 20.2만 톤이었다.


전 세계 희토류 자원 분포는 중국이 36.7%로 가장 높고, 베트남 18.3%, 브라질과 러시아가 각각 17.5%, 기타 10% 순이다. 중국의 희토류 자원은 내몽고자치주 바오터우바이윈(包頭白云) 시의 어보(鄂博)에 83%, 산동 웨이샨(微山)에 8%, 쓰촨 량샨(凉山)에 3%, 남방 7개 성에 3%, 기타 지역에 3% 순으로 매장되어 있다.


중국의 희토류 가격은 2022.2월 기준 산화 네오디뮴(Neodymium oxide) 평균 가격이 116.9만 위안/톤으로 최근 10년간 최고가를 기록했고, 산화 터븀(Terbium oxide)은 11천만 위안/kg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5% 상승했는바, 희토류 시장은 점차 정책 주도에서 수요 주도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1년 중국의 희토류 수출량은 48,918톤으로 전년 대비 38% 증가했고, 2022년 수출량은 48,727톤으로 전년 대비 0.4% 감소했으나 금액은 1,064백만 달러로 전년 대비 62.8% 증가했다.(자료: 중국세관)


전 세계 희토류 소비 1위는 중국으로 57%, 일본이 2위로 21%, 미국이 9%, 유럽 7%, 기타 6%의 점유율을 각각 차지했는바, 중국 내 희토류 수요 분야는 영구자석 재료 42.3%, 석유 화공 9.0%, 유리 세라믹 7.8%, 수소 저장재료 7.0%, 발광재료 6.2%, 광택 소재 5.0%, 촉매 물질 4.7%, 기타 18.0%로 나타났다.(자료 : 희토류 공업학회)


중국 희토류 산업은 2016년에 북방희토, 남방희토, 중여공사(中鋁公司), 광동희토, 오광희토, 샤먼구업(廈門鉤業) 등 6대 기업이 주도하며 경쟁하는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중국은 2021년 말 중여공사(中(金+呂)公司), 오광희토 및 간저우(贛州)희토 등 3대 희토 기업으로 구성된 중국희토 그룹을 설립하고, 중국강연(鋼硏) 과학기술 그룹 및 유연(有硏) 과학기술 그룹이 중(重) 희토류 공급을 통제토록 하는 등 희토류 공급 구도 최적화를 위한 조치를 취한 바 있다.


한편, 2022년 9월 ‘오광희토’를 ‘중국희토’로 이름을 바꾸었고, 현재 북방희토와 중국희토는 중국 내 경(輕) 희토류 채굴량의 74%, 중(重) 희토류 채굴량의 68%를 각각 점하고 있다.

희토류 채굴 모습(@photo 百度)

희토류 산업 미래 전망

2011년 이후 중국의 희토류 제련 분리 기업은 99개에서 59개로 재편되었고, 6개 희토류 그룹이 시장을 주도하는 구도가 형성되었다. 2021년 공업정보화부는 희토류 관리 규정을 발표하고 희토류 총량 관리를 통하여 생산 능력 집중화와 고품질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2022년 12월 상무부, 해관총서는 '수출허가관리화물목록(2023년)'에 포함된 희토류에 대하여 수출 허가관리제를 시행하고, 11월 발표 '광물 지질조사 규범-희토류'를 통해 희토류 자원조사와 광산 생태복원사업을 규범화했다.


희토류는 군사, 야금, 석유화학 등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며, 특히 영구자석 재료는 자동차와 풍력 분야에서 활용도가 80% 수준으로 신에너지 차량, 산업용 및 휴머노이드 로봇, 자기부상열차 등 분야에서 수요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해관총서는 상무부와 공동으로 2022.12.30. 일 <수출/입 허가증 관리화물 목록(2023) 발표에 관한 공고>를 발포하여, 수출허가증 관리대상화물에 희토류 67종(세관 품목분류 번호 10 단위 기준)을 포함시켰다.


2022년 중국의 희토류 수출량은 48,727톤으로 전년 대비 0.4% 감소했으나, 금액은 1,064백만 달러로 전년 대비 오히려 62.8% 증가하는 등 중국산 희토류의 국제 평균 거래가격이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전 세계적으로 희토류에 대한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세계 최대의 희토류 매장량 보유국인 중국은 희토류의 생산 및 제련에 대한 총량 관리, 수출입 허가제 등을 통하여 국가 차원의 엄격한 통제 대상 품목으로 관리해 나갈 것으로 관측된다. 


우리가 중국의 희토류 산업과 정책 동향에 촉각을 곤두세울 수 밖에 없는 것은 이차전지 등 신성장 동력 주력산업에 필요한 핵심 원재료인 희토류의 대 중국 의존도가 지대하기 때문이다. 장단기적으로 안정적인 희토류 공급망 확보 대책이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Laojang

매거진의 이전글 중국의 전자상거래 산업 동향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