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마지막 네오 Oct 25. 2022

인류 멸망에 대한 엉뚱한 상상

세 대의 로봇 - 러브, 데스 + 로봇 시즌1(2019)

√ 스포일러가 엄청납니다. 원치 않는 분은 읽지 않으시길 추천합니다.


☞ 러브, 데스 + 로봇(Love, Death + Robot) 시즌1 중에서
세 대의 로봇(Three Robots)
☞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애니메이션 / 18부작 옴니버스
☞ 2019.03.15. 넷플릭스 방영 / 절대 성인용
☞ 작품 관련 이미지 출처 : 넷플릭스


<세 대의 로봇> 줄거리는,

멸망으로 인류가 사라져 버린 후, 남아있는 텅 빈 도시를 로봇 세 대가 관광한다는 짧은 이야기다.


첫 장면부터 영화 <터미네이터>의 상징적인 장면을 패러디했다.

작품의 메시지와 스타일을 읽을 수 있는 재치 있는 패러디였다.


로봇들은 도시 이곳저곳을 다니며 인간이 남긴 문화유적(?)들을 구경한다.

체육관에서 농구공을 발견하곤 튕겨보기도 하고, 식당에선 음악을 틀어놓고 인간의 소화 과정에 대해 얘기 나누기도 한다.


농구공을 튕겨보는 장면에서 이런 대사가 나온다.


“기분이 어땠어?”

“갈수록 기운이 빠졌어.”

“인간 세상이 딱 그랬대”


이 작품에서는 위와 같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주로 재미있는 대사로 나타냈다.

두 로봇은 직립보행을 하고 하나는 미끄러지듯 다니는데, 지적 수준은 미끄러지듯 다니는 로봇이 그나마 가장 높아 보인다.


이번에는 평범한 가정집이다. 여기에서 로봇들은 고양이를 만난다. 스스로 살아 움직이는 존재가 처음 출현한 것이다.

정체를 뚜렷하게 알지 못하는 존재는 두려움을 주는 법.

고양이에 대한 잘못된 정보로 인해 로봇들은 고양이가 갸르릉 거리는 소리를 폭탄이 작동했다고 생각한다. 이때부터 어쩔 수 없이 고양이를 데리고 다닌다.


게임센터에서는 전자 오락기를 발견하는데, 로봇들의 대화에 ‘티배깅(Tea-bagging)’이라는 말이 나온다.

‘티배깅’은 게임상에서 상대방을 능욕하려는 목적으로 하는 특정 동작을 말하는데, 주로 상대의 얼굴이나 특정 부위에 앉았다 일어났다 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원래 의미는 녹차 티백을 컵 안으로 넣었다 꺼냈다 하는 동작을 은유한 것이지만, 게임에서는 성관계 동작을 흉내 냄으로써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유발하는 목적으로 쓰인다.


이 단어를 로봇들의 대화에 부각한 이유를 생각해보았다.

이런 의미를 담은 동작은 인간만이 생각해낼 수 있는 행동이기 때문에 로봇들에게는 특별했던 것이다.

완전히 제압된 상대를 계속해서 경멸하고 모욕하는 것을 즐거운 마음으로 할 수 있는 것은 인간뿐이다.

인간의 악성(惡性)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단어로 쓰인 것이다.


티배깅이 무엇을 뜻하는 것인지 몰랐던 로봇은 다른 로봇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관련된 정보를 검색해보더니 심한 모욕감을 느낀다.

인간은 로봇조차 부끄럽게 생각하는 짓을 했던 파렴치한 동물이었던 것이다.


마지막 장소에는 거대한 핵탄두가 있다.

작품의 첫 설정부터 인간이 멸종한 후라고 해서 궁금했었다.

핵탄두가 보이자 ‘인간은 왜 멸종했는가?’에 대한 답을 유추하게 만들었다.

‘아! 핵전쟁을 일으켜서 전부 다 몰살되었구나!’ 하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 작품은 뻔한 결말은 거부한다.

<세 대의 로봇>은 끝까지 엉뚱한 발상으로 보는 이에게 뜻밖의 재미를 선사했다.

핵탄두는 뻔한 결과를 예측하게 만드는 미끼일 뿐이었다. 인간은 핵폭발이나 그에 따른 환경파괴로 인해 멸망한 것이 아니었다.

로봇들이 계속해서 비꼬던 인간의 ‘자만’과 ‘오만함’으로 인해 멸망했던 것이다. 그런데 이걸 풀어가는 방법이 아주 재미있다.

인간은 유전자 조작을 통해 고양이에게 인간 이상의 지능을 갖게 했다. 그 결과는 고양이의 대사로 가늠해볼 수 있다.


“스스로 할 수 있는데, 굳이 집사는 더 이상 필요치 않게 된 거다”


2001년에 국내 개봉되었던 영화 <캣츠 앤 독스(2001)>를 잠시 소환해본다.

영화에서는 개에 대한 인간의 알레르기 반응을 제거하는 혈청 연구를 놓고 개와 고양이가 대립한다.

인간들은 모르고 있지만 영화에서의 개와 고양이는 인간 이상의 기술과 지능을 가진 것으로 표현된다.

스파이 작전을 방불케 하는 개 진영과 고양이 진영의 싸움에 있어 개는 인간의 편에서 고양이와 대립한다.

영화에서도 나타나지만 개는 인간에게 길들여진 동물로, 고양이는 인간을 길들이려는 동물로 표현된다. 인간과 공생한다는 면에서 결과는 비슷해도 근본적 의미가 다른 것이다.

때문에 고양이의 이 한마디 대사는 이상하게 수긍이 가는 대사다.


작품은 처음 농구공을 발견한 순간부터 마지막 핵탄두가 있는 곳까지 여정을 거치며, 로봇들의 대화를 통해 미련하고 멍청하며 오만하고 책임감 없는 인간에 대해 말하고 있다.

로봇들의 대화 곳곳에는 인간을 비꼬아 업신여기는 요소가 숨어있다. 마지막까지 다 보고 나니 로봇들의 개그에 마냥 웃을 수만은 없는 웃픈(웃기지만 슬픈) 상황에 빠져버렸다.

그리고 유쾌하게 인간을 비꼬던 로봇들은 인간이 사라진 상황에서 졸지에 집사 노릇을 하게 생겼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