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때아닌 Oct 19. 2021

그늘에 가까운 빛, 빛에 가까운 그늘

Day 23

나의 오래된 친구가 종종 하던 말이 있다. 쓰레기처럼 술마시고 싶다. 이 말의 뜻은 자신이 요즘들어 쓰레기처럼 술을 마시지 못하고 있으며 따라서 쓰레기처럼 술을 마시던 그 시절이 그립다는 것이다. 난 이 말이 의미하는 바를 잘 알 것 같다. 떠오르는 비유가 하나 있다. 이건 내가 한창 시를 쓰고 배우던 때 소주가 시와 같다며 늘여놓은 이야기다. 소주는 꼭 시같지 않은가. 잔과 잔을 부딪혀서야 술을 마신다는 술자리의 형식은 유리잔이 부딪히는 챙챙 소리를 만드는 외형율 같고 우리는 그 리듬 속에서 술에 취해 제자신을, 그러니 화자를 잃어가기 시작하며 어느 순간에는 나도 모를 내 안의 깊숙한 욕망들을 꺼내놓는다. 난 이 비유가 참 어리숙하다는 걸 알고 있다. 그러므로 이 비유의 요점은 과연 소주가 시를 얼마나 닮았느냐가 아니라 이런 비유를 들던 시절의 내 어리숙함이라고 생각한다.


술을 좋아하는 사람은 외로운 사람일 것이다. 이 또한 내 경험에 비추어 하는 말이다. 난 여전히 술을 좋아하므로 어느 때든 난 내가 외롭다는 걸 알고 있고, 혹은 난 여전히 외로우므로 어느 때든 난 술을 좋아한다는 걸 알고 있다.(만약 당신이 내가 외로운지 또는 술을 좋아하는지 궁금하다면 내가 술을 좋아하는지 또는 외로운지 살펴보면 되는 셈이다) 난 이 외로움이 단순한 적적함은 아니라고 느낀다. 이건 공허함에 대한 감각이다. 어떤 발랄한 분위기 속에서도 기어코 공허함을 감지해내는 종류의 사람이 있다. 그들의 예민함은 귀한 것이지만 동시에 버거운 것이어서 자주 그 감각을 잊을 필요가 있고 그래서 자꾸 술을 찾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공허함은 취기 어린 눈에는 참 낭만적으로 보이기도 했다. 그래서 난 죽음에 관한 시를 많이 썼고 누구는 돈을 흥청망청 쓰며 그 낭비하고 소진하는 느낌을 청춘이라 부르기도 했을 것이다.


또한 참 반어적이기도 하다. 죽음에 관한 시를 쓰며 그걸 아름답다고 하는 일, 혹은 자기 재산을 낭비하고 소진하는 행위를 두고 청춘이라며 예찬하는 일, 더불어 내 친구의 말과 같이 쓰레기처럼 술을 마시고 싶다고 하는 일. 실은 누구도 죽고 싶지 않았고, 누구도 재산을 탕진하고 싶진 않았으며 누구도 쓰레기처럼 취해버려서 자기 체면을 내버리긴 싫었다. 그래서 난 술을 사랑하고 술에만 취해 살았던 나의 어떤 시절을 가증스러웠던 시기라고 생각했다. 난 늘 비애에 빠진 사람처럼 행동하며 죽음 곁에 사는 예술가를 꿈꾸었으나 그게 다 기만이었다는 거. 그런데 그게 정말 거짓이고 허풍이었다면 왜 우린 이제와서 다시 그 시절을 그리워하고 쓰레기처럼 술을 마시고 싶다는 말 따위를 하는 걸까.


이제는 그게 기만이 아니었다고 고쳐 생각해본다. 뭉뚱그려서 그 시절의 감각을 '죽음'이라고 말해본다면 그때 나와 친구들의 행동이 꼭 죽음의 흉내는 아니었을 것이다. 물론 우리가 진짜 죽고 싶었던 건 아닐지어도, 그래서 우리가 우리의 죽음을 자랑하던 짓들이 다 진짜 죽음은 아닐지어도 그러므로 그게 다 가식은 아니었다. 어쩌면 죽음과 삶 사이에 아주 많은 감정과 생각들이 있듯이, 세상에는 죽음에 한 없이, 정말 한 없이 가까운 사랑과 믿음과 행복도 있는 것이며 그날 우리들의 마음이 바로 그런 것이었음을. 그래서 난 죽음에 한 없이 가까운 사랑에 대해 다시 생각해본다. 그건 과연 무엇일까. 절벽에 떨어지면 끔직하게 죽을 걸 알면서도 절벽에 한 없이 가깝게 걸어가고픈 마음일까. 그 낭떠러지 앞에서 애인과 손을 붙잡으면 내 손에 가득 차는 땀이 내 애인의 손결이 긴장되서 난 땀인지 아니면 저 절벽 아래 죽음이 두려워 난 땀인지 헷갈리기만 한데 그 헷갈림 자체가 매혹적이던 그런 느낌인 걸까.


알 수 없다. 알 수 없기에 계속 그 마음에 대해 생각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오래된 기억과 서랍장의 높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