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경에 빠지는 건 뭔가를 몰라서가 아니다. 뭔가를 확실히 안다는 착각 때문이다.
It ain't what you don't know that gets you into trouble. It's what you know for sure that just ain't so.
- 마크 트웨인 -
요즘 계속해서 경제 위기에 대해서 뉴스에서 많이 나오고 있는데 잠시 여유 시간을 틈타서
가장 최근에 가장 큰 위기였던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인 리먼브라더스 사태에 대해서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008년도 이전에 가장 큰 금융 위기 중에 하나였던 닷컴 버블이 터지자 미국 연준은 경제를 살리기 위해서 금리인하 정책을 쓰기 시작합니다. 낮은 금리는 미국의 중산층들이 싸게 돈을 빌려서 집을 살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었습니다.
이렇게 지렛대를 이용해서 몇 배의 힘을 내는 것을 레버리지라고 하는데 레버리지가 아마 절정이었던 시기가 리먼브러더스 사태가 터지기 전이 아닐까 싶습니다.
레버리지의 예를 들어 보자면 1000만원의 투자로 수익이 10%가 낸 사람의 수익이 100만원이라고 하면 레버리지로 1000만원은 원금이고 1000만원은 빌려서 투자를 할 경우에 같은 수익률이 10%라고 가정하면 거래 비용 및 세금을 포함하지 않고 계산을 한다면 2000만원의 10%의 수익이기 때문에 200만원의 수익을 얻습니다. 이는 앞서 원금을 투자했을 때 보다 레버리지를 일으켰을 때 수익성이 2배 가량 높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저금리 시대의 미국의 대부분 사람들은 저금리에 취해있었습니다. 특히 부동산에 투자한 개인들은 부동산 불패라는 것을 믿고 있었고, 쉽게 부동산을 구할 수 있다는 믿음과 함께 부동산에 대한 매수를 개인은 집을 구입할 때 집을 담보로 받는 대출인 모기지론[mortgage loan]을 빌려서 하였습니다.
그때 가장 보편적인 모기지론은 원금+이자를 동시에 나누어 갚아나가는 형태 였습니다. 하지만 저금리로 돈이 풀어나가기 시작하자 공격적인 방식을 취했던 금융 기관들은 대출을 할 때에 집 담보의 가치를 보지도 않고, 갚아나갈 능력을 보지도 않고, 자산이 없어도, 신용이 좋지 않아도 모기지론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그것이 바로 서브 프라임[subprime] 모기지 론이라고 합니다.
여기에서 끝났으면 사실 미국의 금융시장이 무너지진 않았을 겁니다.
당시 미국인의 모기지론을 받는 사람들의 구분을 위와 같이 3등급으로 해놓았습니다. 프라임, 알트 A, 서브프라임으로 구성을 해놔서 등급을 만들어 놓았습니다.
그 중에 앞서서 말씀드린 신용등급이 좋지 않고, 자산도 없는 등급인 서브프라임 모기지론은 전체 모기지론 신규 대출의 20%에 해당하는 양의 판매를 하게 됩니다.
모기지를 일으킨 회사에서는 서브프라임 등급은 프라임 등급보다 2~4%정도의 추가 이자를 받았습니다.
서브 프라임은 프라임 등급보다 돈을 갚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그런 사람들을 모아 집단을 다시 형성하고 다시 금융 공학자들이 관련된 상품을 만들어 판매를 하게 됩니다.
금융 공학자[Financial engineer]는 포트폴리오 이론에 따라서 서로 상관관계가 적다고 믿는 것들을 섞어서 위험도를 낮추는 방식으로 파생 상품을 만듭니다. 간단하게 설명을 드리면 풀 안에 들어있는 것들은 서로 상관관계가 낮으면 가격이 떨어진다고 해도 다른 것들의 가격이 덜 떨어지거나 오히려 올라가 전체 집단의 가격이 떨어지는 것을 막아준다는 것입니다.
포트 폴리오 이론적 관점과 교과서적으로 보자면 관련된 내용은 문제가 되지 않았고, 금융 월가를 지배하는 천재들이 볼 때에도 문제가 없어 보였습니다.
월가의 금융 천재들은 그러한 부분에 있어서 확신이 있었고 이런 확신을 깨부수는 것은 정말 쉽지 않아 보였습니다.
이런 2008년 금융 위기에 대해서 조금 더 실감 나게 공부해보고 싶으신 분들은 빅쇼트라는 영화를 추천 드립니다. 다시 돌아가서 금융 공학자들은 포트폴리오의 풀에서 대출을 일으키고 그것을 상품을 만듭니다. 그것이 바로 CDO 입니다.
CDO[Collateralized Debt Organization]은 여러 금융 상품을 섞어서 다시 재구성을 하거나 여러 사람의 주택담보대출을 모아서 만든 증권을 말합니다.
집을 산 사람이 대출금을 은행에 갚으면 은행은 투자자들에게 원금에서 이자를 붙여서 지급을 했고, 이로인해서 은행은 더욱 많은 자금을 유치하였으며 투자자들은 안전하게 돈을 번다고 생각하게 만들었습니다.
이러한 CDO의 수익률은 미국의 부동산 호황 당시 30~40%이상의 수익을 기록하였고, 신용등급은 B,BB,BBB등급을 하나로 모은 후 충분히 채권이 모이면 리스크가 감소한 것으로 되어 신용 평가사들이 A등급 이상을 주었습니다.
이렇게 되었기 때문에 모든 사람들은 낮은 금리를 이용해 자산운용사, 헤지 펀드, 사모펀드 등에 엄청나게 많은 돈이 돌고 돌았습니다.
CDO에서 끝났으면 좋았으련만.... CDO의 파생상품인 CDS 가 출현합니다.
CDS[Credit Default Swaps] 신용부도스와프를 만들어 냅니다. 이것은 미국의 금융 기관과 금융 기관을 복잡하게 연결 시키는 원흉이자 미국 전체 금융 시장의 상관 관계가 급속도로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이끌어 갑니다.
CDS는 CDS를 파는 쪽이 CDS를 산쪽의 신용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보상을 해주는 신용 파생상품입니다.
쉽게 얘기해서 보증이라고 보면 되는데요. A회사가 B회사에 대출을 해주었을 때 A회사는 B회사가 대출을 갚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C회사에게 CDS를 삽니다.
B회사가 갚지 못할 경우에 C회사가 전부나 일부를 대신해서 책임을 지우는 형식이라 리스크가 줄어들 것이라고 생각하였으나 CDS를 너무 많이 팔게 되었을 경우에 C회사까지 문제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AIG가 리먼브라더스 CDS를 너무 많이 팔아서 엄청난 곤란에 빠지게 되었습니다.
이제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서 서브 프라임이라는 집단을 처음 만들 때에는 서로의 상관 계수가 적다는 가정하에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파생해서 나오는 상품들은 결국에 개별의 다른 상관 계수를 점차 동일하게 움직이는 방향성으로 만들었습니다.
이런 방향성에 대한 움직이기 동일하게 나타나면서 계속해서 리스크는 상당하게 커지지만 월가를 지배하는 망령을 충족시킬 때까지 계속해서 자본은 자본을 먹어가면 제물을 키워갑니다.
월가의 망령이 월가를 지배할 때 망령을 타파하고 싸우려는 사람들 중에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마이클 버리입니다.
1971년생이고 사이언 캐피탈 헤지 펀드 창립자로서 2000년도에 창립한 회사를 2008년도까지 운영을 합니다.
특이한 경력으로는 UCLA와 밴더빌트 대학교에서 의학전문대학원을 졸업하고 스탠퍼드에서 신경학과 레지던트로 일했는데 그때 당시에 주식 시장에 영감을 받아 '주식 시장 분석'이라는 책을 쓰게 되고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갖습니다. 보통 주식 중개인에서 펀드 매니저로 가는 경우가 많은데 의사를 하시던 분이 갑자기 획기적인 이론을 들고와서 더욱 관심을 많이 받았습니다.
그는 이론적으로 이러한 상관계수와 문제에 대해서 터질 것이라고 생각은 했지만 생각보다 많이 늦어진 다는 것을 몰랐습니다. 인간의 광기에 대해서 예측은 하기가 쉽지 않았던 것으로 보입니다.
2005~2006년 정도에 터질 것이라고 생각했던 버블은 2008년까지 진행이 되었고, 마이클 베리는 2008년도 까지 고객들로 부터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게 됩니다. 그는 CDS에 숏 포지션을 취했지만 슬금슬금 CDS 가격이 올라가면서 환매를 해달라고 고객들이 찾아와서 협박함에도 불구하고 전매를 금지하고 버팁니다.
리먼 사태가 터지면서 잭팟이 터졌고, 그는 고객들에게 엄청난 수익을 제공해 줘서 일약의 스타가 되었지만 헷지 펀드 회사를 그만둡니다. 이유는 사람의 이기심과 혐오감이라고 주변 사람들은 말하고 있습니다.
2008년 금융 위기는 욕심에 찬 개인과 은행들이 만들어낸 것입니다. 하지만 금융 감독기관들 역시 그들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고, 모든 것이 다 처음부터 잘못되었다고 생각되어 금융 기관의 이러한 문제들을 바로 잡으려고 하고 있습니다.
600만명이 집을 잃고 800만명이 직장을 잃었으며 5조가 증발한 사건입니다. 수 많은 사람들이 직장을 잃고 가정이 붕괴 되며 자살자가 속출하였지만 그 누구도 책임을 지지 않은 사건입니다. 몇몇 은행이 도산하긴 했지만 납세자의 세금으로 다시 살아났습니다.
마지막으로 말씀 드리고 싶은 것은 그 누구도 위기에 대해서 지켜주지 않습니다. 그리고 그 누구도 대신 책임 져주지 않습니다. 과도한 위험 추구와 앞으로도 잘 될 것이라는 착각은 결국에 파멸을 이끌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상을 잘 분석하시고, 위기 속에서도 기회가 있다는 것을 생각하시고 분석하셔서 한국의 위기에서 꼭 마이클 버리같은 부자가 되시길 기원합니다 !
긴 글 읽어주시어 감사합니다!
매일 같이 청약 일정도 함께 정리해 올리려고 합니다.
부동산 & 저축 & 투자, 합이 재테크죠.
일단 오픈 채팅방을 열어 실시간으로 정보 공유를 같이 해볼까합니다 :)
https://open.kakao.com/o/gSzPdNM (참여코드:2030)
편안하게 들어오셔서 무음으로 해놓고 시간나실 때 보고 질문하시고 하시면 좋겠습니다.
올해는 더 많이 나눌 수 있도록 주경야독 하겠습니다.
날이 많이 어수선하죠, 늘 건강관리 잘하시길 진심으로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