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국희 Jun 01. 2022

복잡한 정체성

복잡한 나를 편하게 수용할 수 있게 되기

난 누구인가?

난 어떤 사람인가?


개인의 정체성을 묻는 질문이다.


단순한 걸 좋아하는 사람들은 이 질문에 단순하게 답하길 원하고,

실제로 그렇게 하는 경우가 많지만,

개인의 정체성이라는 것은 결코 단순하지 않다.


어떤 사람들은 직업을 정체성이라고 생각하지만,

그럼 직업이 없을 때는 정체성이 없는 건가?


어떤 사람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것이 정체성이라고 생각하지만,

그럼 좋아하지 않는 것은 정체성이 아닌가?


다른 사람들은 자신의 관심을 끄는 것이 정체성이라고 생각하지만,

관심을 끌지 않는 것도 정체성일 수 있다.


정체성은 그 안에 다양한 요소들이 합쳐져 있으며,

그 다양한 요소들이 상호작용하기도 하는 복잡한 실체다.


그럼 왜 우리는 이 복잡한 정체성을 자꾸 단순화하려고 할까?

복잡한 정체성을 복잡한 그대로 받아들이길 어려워할까?


개인적으로 우리네 의무 교육에 문제가 있다고 본다.

의무 교육에서 학생들은 늘 정답 찾기를 강요 당한다.

사실 인생에 정답이 어디 있으며,

정답 찾기가 늘 가능한 것도 아니지만,

학교에서는 정답 찾기를 한다.


이런 우리의 교육 환경은 정답이 없는 문제에서도

또 정답을 만들어 가야 하는 문제에서 조차 정답을 찾게 만드는 부작용을 낳는 것 같다.

이런 교육은 정답이 없는 문제에 대한 대응력을 낮출 뿐 아니라

정답을 찾지 못하면 불안과 걱정, 근심에 빠지게 만들기까지 한다.


Photo by Brett Jordan on Unsplash


이런 정답 찾기 교육은

개인들로 하여금

정답이 없는 문제이자, 다양한 요소들이 간의 집합인 복잡한 정체성에 대해서까지

단 하나의 정답이 있을 것이라고 착각하게 한 모양이다.


그러나 이제부터라도 우리는 정체성에 대해 올바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정체성은 직업 하나로, 취미 하나로, 좋아하는 것 하나로, 호기심 하나로 규정할 수 없다.


이런 모든 것이 합쳐진 복잡한 존재가 나라는 존재라는 것을 조금은 편하게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나에 대한 단 하나의 정답이 없는 것을 불안해 할 필요도 없고, 불편해 할 필요가 없다.

인간이 원래 복잡하다. 세상이 원래 복잡하다.

물리학 법칙들은 단순하지만, 인간의 심리는 물리학 법칙이 아니다.


복잡한 것들을 하나씩 이해해 나가고, 정리정돈해 나가고,

나라는 존재를 큰 틀에서 묶기도 하지만, 작게 쪼개기도 하고,

이런 상황에서는 이렇게, 저런 상황에서는 저렇게 할 수 있다는 것과

그런 존재가 바로 나임을 이해할 필요가 없다.


청소년들에게 정답 찾기 교육은 이제 좀 그만 시켰으면 좋겠다.

정답을 찾게 하는 교육을 하지 말고,

문제를 만들고, 정답도 스스로 만드는 교육이 필요하다.


정체성이 원래 그렇다.

누가 내준 문제의 정답을 맞혀봐야 내 정체성에 대해 이해하기 어렵다.

내가 문제를 내 봐야 내 정체성에 대해 이해할 수 있고,

내가 낸 문제의 답을 내가 어떻게 전개해 나가는지를 봐야

내 자신의 복잡한 정체성에 대해 조금씩 이해할 수 있다.


아이들에게 단 하나의 정체성을 찾으라고, 발견하라고,

어른들이 만들어 놓은 시스템 안에서만, 틀 안에서 인생의 정답을 찾으라고 강요하지 말라.


틀 밖에서, 다양한 자기 자신과 마주치게 하고,

복잡한 자기 자신과 마주치게 하라.


이런 복잡한 특성을 가진 것이 진짜 정체성이니 말이다.


*참고문헌

Waterman, A. S. (1982). Identity development from adolescence to adulthood: An extension of theory and a review of research. Developmental Psychology, 18(3), 341–358.


Markus, H., & Wurf, E. (1987). The dynamic self-concept: A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Annual Review of Psychology38(1), 299-337.


*표지 그림 출처

Photo by Yasin Yusuf on Unsplash


*인지심리학자 이국희 교수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xpwfINPyNYaSKJX7Io2BUA

작가의 이전글 행복은 메달색을 보지 않는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