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Across Canada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호월 Nov 15. 2019

동향/ 캐나다 문화 분야 노동시장 보고서 2탄

한국과 캐나다가 마주하고 있는 현실이 크게 다르지 않구나...

 CHRC (Cultural Human Resources Council)에서 발표한 캐나다 문화 분야 노동시장 보고서 내용 요악 본 2탄이다.


5. 문화 분야 재무 실적(financial performance)

 - 문화 분야 중 6개의 중요한 영역의 경제적 상태와 사업의 상태를 알려줌

  * 1) 문화유산 및 도서관 2) 라이브 퍼포먼스 3) 시각 및 응용예술 4) 출판업계 5) 방송 및 영화, 미디어 6) 사운드 리코딩 7) 기타(multidomain)

 - 각 영역별로 주요 재무 실적에 대한 간략한 개요와 최신 주요 재무지표에 대한 내용을 담았으나, 프로파일이 개발되면서 점차 갭(gap)이 발견되어 데이터를 추출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음. 따라서 데이터가 불일치하는 경우가 발생됨

 * 이 어려움에 대해서는 챕터 9에서 다룰 예정임


캐나다 문화예술 분야 수익구조

위의 표를 보면 정부의 지원이 평균 16.8%인 것으로 확인 되나, 이는 2009-10 데이터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현재를 정확하게 반영된 것으로 보기 어려움

세부적으로 각 영역별로 분석한 자료가 이후 작성되었으나, 데이터들이 최신 자료가 아닌 경우가 많아서 정확한 자료라고 보기 어려워 보임.


6. 문화 분야 경제 개요 (Economic Overview)

- 문화 분야에 재무 실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경제 지표에 대해 다루었음. 

- 6개의 중요한 영역 중심으로 다루었으며, 각 영역의 최근 재무 성과 중심으로 살펴보았음. 이를 통해 각 영역에서 단기적으로 직면하게 될 기회와 문제점을 예상할 수 있음.

 1) 부가가치 생산량

 2013년과 2017년 사이 5%(연간 평균 1%)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음. 각 문화 영역마다 성장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사운드 리코딩 영역은 5년 동안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음 (연간 성장률 6.6%). 이에 반해  출판업계 영역은 2013년보다 2017년에 13.3% 낮아졌음 (연간 2.8% 감소). 

 * 소비 패턴의 변화와 실제 출판업계의 불황을 알 수 있었음

 2) 가계 소비

 2016년과 2017년 사이에 3.4% 감소하였으나, 같은 해에 총 가계 소비(세금, 저축 등)는 2.5% 증가하였음. 2013년부터 2017년간 문화 분야에 가계 소비가 10% 이상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음.


2013-2017 문화 분야 가계 소비 현황

 3) 문화 상품 수출

 2012년에서 2016년 사이 매년 6.8% 증가하면서 꾸준한 성장을 기록하였음. 5년 동안 시간 및 응용예술 분야와 문화유산 및 도서관 분야가 매년 9%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함

 4) 정부 지원

 연방정부 및 지방 자치단체 등에서의 문화 분야 재정지원은 2005-06년과 2009-10년 회계연도 사이에 매년 4.1%씩 꾸준히 증가하였음. 2010년 말 회계 연도에 정부의 지출은 총 96억 달러를 넘었음.  


2009-10년 문화 분야의 정부지원의 의존성

7. 문화 분야 컨설팅 (Cultural Sector Consultations)

 - 문화 분야를 외부에서 보는 방식이 아닌, 문화 분야에서 일을 하고 있는 노동자, 사업체 또는 조직으로부터 얻은 정보를 제공함

 - 온라인 설문조사와 포커스 그룹 및 인터뷰 세션을 별도로 진행함

 1) 포커스 그룹 세션

 - 지역별로 구분하여 160여 명의 문화 분야 종사자들의 이야기를 들었으며, 몇 가지 공통적으로 논의된 주제가 있었음

  * 자원의 부족 : 금전문제, 유능한 인력 부재, 호의에 의존하는 경향 등

  * 취약한 경제력 : 문화 분야 각자 영역과도 경쟁하면서 스포츠 이벤트와도 경쟁을 해야 함. 정기 수입이 없어서 지속적으로 일을 하기 어려운 형태 등

  * 풍부한 생산 가능성 : 창조적인 분야에 일을 하는 사람들은 멀티플레이어가 가능함   

  * 공식 출처에서 사용되는 명칭이 시대에 뒤떨어짐

 2) 온라인 설문조사 

 - 총 1,867명과 311 사업체의 응답을 받았음 

 - 문화 노동자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동향과 이슈는 아래 표를 보면 수입의 부족함이 가장 큰 것으로 볼 수 있다.

 

 3) 주요 이해관계자 인터뷰

 - 캐나다 문화 분야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지만 최근 여러 가지 문제점에 직면하고 있음. 

 - 많은 인터뷰 대상자들이 문화 분야 전체에 적용되는 빈곤 문제, 인종문제, 장애인 차별 등에 대한 문제점을 강조하였음  

  * 보고서를 보면 3페이지 분량으로 다양한 의견을 읽어 볼 수 있음


 8. 문화 분야 노동자 공급과 수요에 대한 예측

 9. 데이타 문제점과 한계

 10. 권고사항 (Recommendations)


위 3개 챕터는 시간상, 분량상 작성하기 어려워 보고서 링크를 남긴다. 관심있는 분들은 다운받아서 읽어보시기를! 

보고서 링크 http://www.culturalhrc.ca/LMI2019



오타와에 머물면서 캐나다 현지 페스티벌 및 예술 기관 담당자를 만나 이야기를 듣고 그들에 대해 알아가는 리서치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캐나다 현지 문화예술 기관 동향도 틈틈이 살펴보고 있는 중이다. 이번 보고서를 살펴보면서 한국과 캐나다가 크게 다르지 않은 현실을 마주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매거진의 이전글 여행/ 옐로나이프, 오로라를 볼 수 있을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