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기획자를 위한 글 #3
하나의 서비스를 출시하기 위해 회사들은 어떤 순서로 일을 할까요. IT 분야의 업무 방식은 워낙 회사마다 제각각 이기 때문에 이렇게 해야한다 저렇게 해야한다 정의할 수는 없지만, 보편적인 기본 흐름은 가지고 있습니다. 이 기본 흐름 기준으로 업무 프로세스를 추가하거나 제외하여 일을 하면 됩니다.
프로젝트 성격
프로젝트의 성격은 크게 구축과 운영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구축은 서비스의 방향성 및 이용할 서버의 종류, 인프라 등 서비스 제작을 위한 어떠한 것도 결정되지 않은 최초의 상태를 말하며, 운영은 이미 만들어져 있는 시스템에 기능을 추가하거나 보완하는 상태를 말해요. 스타트업을 시작하거나 나만의 웹 또는 앱 서비스를 제작하려는 사람들은 '서비스를 구축한다'는 문장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명확하겠네요. 이 밖에 리뉴얼 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는 일정 범위 내에서 어떠한 이유에 의해 ‘다시 구축 또는 일부를 구축’ 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진행하려는 프로젝트가 구축인지 운영인지 먼저 파악을 하고 서비스 제작 계획을 세우게 됩니다. <기획자가 하는 일>편에서 기획 일을 서비스 기획과 화면 설계로 나누었는데요. 이번 편에서는 서비스 기획의 일반적인 제작 순서를, 다음 편에서는 화면 설계의 일반적인 제작 순서를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서비스 제작 순서
1. 유사 서비스 조사
어떤 서비스를 제작하겠다는 목표가 생기면 첫 번째로 유사 서비스를 조사합니다. 해당 업종에서 유명한 몇 군데의 서비스들의 특징과 구현하려는 기능으로 유명한 서비스들의 특징 이렇게 구분해서 정리하면 좋겠네요.
2. 시장 현황 조사
제작하려는 업종과 업계에 어떤 사회적인 이슈가 존재하는지 꼼꼼하게 조사합니다. 뉴스, 커뮤니티 등을 활용하면 수월합니다. 그리고 관련된 법은 무엇이 있는지 최대한 꼼꼼하게 조사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반려견 생활정보 제공 커뮤니티를 제작하려고 하는데 다음 달에 법이 개정되어 특정 자격이 있지 않은 사람은 반려견 관련 커뮤니티를 운영할 수 없는 법이 신설되었다고 가정해 봅시다. 극단적인 경우 서비스의 방향성을 변경하거나 접어야 되는 일이 생길수도 있어요. 법의 존재를 인지하지 못하고 서비스 제작을 진행할 경우, 많은 자금과 시간을 낭비하는 상황에 놓이게 되겠죠. 시장 현황 조사는 반드시 꼼꼼하게 자주 진행하셔야 합니다.
3. 차별성 도출
유사 서비스 그리고 시장 현황 조사를 통해 우리 서비스만의 차별성을 도출합니다. 세상에 비슷한 서비스는 굉장히 많고 유저가 우리 서비스를 사용해야만 하는 이유를 만드셔야 합니다. 이것이 '서비스의 컨셉' 입니다.
4. 정책 정의
컨셉을 통해 서비스의 방향성이 잡혔다면 서비스 제공 주요 타겟은 누구인지, 우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규칙이 무엇인지를 정의해 나갑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독서실을 이용할 때 일반적인 독서실의 한 쪽 벽면에는 이런 문구가 붙어있죠. '전화는 밖에서 받아주세요, 설날에도 운영합니다, 독서실 내에서 이동 시 뒷꿈치를 들고 살금살금 걸어주세요 등등' 이런게 그 독서실만의 규칙입니다. 조금 더 엄격한 의미가 된다면 정책이 됩니다. 웹과 앱을 이용한 IT서비스는 프로그래밍 기술 기반의 서비스 이기 때문에 정확해야 합니다. 정확한 정책을 정의해 프로그래밍 언어로 정의를 내려야 하거든요. 간단한 예를 들면 이런거에요.
<서비스정책>
회원 가입 시 아이디와 비밀번호로만 회원가입을 시켜 유저에게 서비스의 진입 장벽을 낮춘다. 아이디는 이메일주소로 한다. 이메일 인증을 통해 이메일 사용 여부 확인을 한다.
<서비스 정책에 따라 필요한 프로그래밍 규칙>
회원가입 시 수집 데이터, 데이터 인증, 이메일 인증 등
정책은 경우에 따라 화면 설계와 연관되어 있는 부분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화면설계 기획자와 함께 진행될 수 있는 부분이에요. 물론, 혼자 서비스기획과 화면설계를 모두 해야하는 상황이라면.. 혼자 하면 되지만요..^^
서비스 기획 순서로 1번을 진행하다가 3번을 진행하기도 하고 동시에 진행하기도 하는 등 업무 상황마다 다를 수 있어요. 가장 일반적인 절차임를 알려드리며 본인에게 효율적인 순서로 진행하면 됩니다. 기획 일에는 보편적이고 다양한 방법론은 존재하지만 프로그래밍 처럼 명확한 답은 없거든요. 단, 반드시 모든 업무는 문서화가 되어야 합니다. 문서화는 기획자가 해야 할 중요한 일이에요.
서비스 기획은 조사, 컨셉, 정책 이 세 가지 모두가 꼼꼼하고 정확하게 문서로 도출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