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장교진 Oct 03. 2016

존재하지 않는 독자들, 어떻게 해야 할까?

[네 번째 책] 알랭 드 보통의 '뉴스의 시대'

현재까지도 천안함과 관련한 이야기가 뉴스거리로 등장할 때 나는 지루함과 피곤함을 느낀다.


이 감정은 모두 알고 있는 사실을 또 이야기하고 논쟁한다는 것에서 오는 것이 아닌 '무지'에서 오는 것이다.


나는 천암함 사건이 있었을 때, 내가 아는 세상에 대한 정보라고는 '입시'와 관련한 것이 전부였던 고등학생이었다. 마침 집안에 제사가 있어 상을 차리고 있을 때 속보로 뜬 파란 글씨를 잠깐 읽은 게 내가 기억하는 천안함 사건의 전부다.


나는 그 사건을 자세히 모르기 때문에 정치권 뉴스에 이 이야기가 간혹 등장하면 넘겨버리기 일쑤다. 사건의 전후 '맥락'을 잘 모르기 때문이다.


누군가는 이런 나에게 우리 사회에 한 획을 그은 사건인데, 알아봐야 하는 것 아니냐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알랭 드 보통 이 친절한 남자만은 나의 편인 듯 하다.


독자를 긴 이야기 속 아무데나 빠뜨렸다가 다시 재빨리 꺼내면서도 사건이 전개돼온 더 넓은 맥락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지 않는 것이야말로, 언론이 우리 사회에 넘쳐나는 중요한 사건들을 기사화할 때 상습적으로 벌이는 일이다. 우리가 지루해하는 게 이상한 일이 아니다. -<뉴스의 시대>, P26-


알랭 드 보통, 그는 친절한 남자다. 그는 사람들이 정치, 경제 뉴스에 무관심한 이유가 뉴스의 전달 형식에 있다고 비판하면서 전체적인 맥락을 비롯해 독자에게 세부적인 내용을 전달해야 한다고 <뉴스의 시대>를 통해 주장한다.


즉, 뉴스가 친절해져야 한다는 것이다. 파편적으로 제공되는 정치, 경제 뉴스가 일반 독자에게 난해하다는 것, 그래서 대중의 관심을 끌 수 없다는 점에 나는 전적으로 동의한다.


그러나, 그가 제안한 '친절한 뉴스'가 과연 이 시대 대중의 관심을 끌 수 있는 현실적 대안이 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살짝 의문이 드는 것은 사실이다.


'친절한 뉴스'가 가질 수 있는 모순을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독자의 관점에서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취업을 위한 자기소개서 항목 당 500자 혹은 10줄 이내, 트위터에 쓸 수 있는 글자 수 140자, 카카오톡을 비롯한 SNS로 전달되는 간결한 정보들.


이것이 오늘날 글을 읽는 독자들이 처한 환경이다. 사람 간의 정보 공유 속도는 빨라졌고, 그 정보는 간결하고 신속하게 확산되고 있다. 즉 독자들의 지구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인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심층 취재를 기반으로 한 월간지나 주간지의 인기가 예전만 같지 못하다는 것을 통해서도 확인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친절한 뉴스'의 대안은 회의적일 수밖에 없다.  




알랭 드 보통의 '친절한 뉴스'가 읽히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독자가 필요하다. 관심이 없는 분야지만 뉴스를 읽으려는 의도를 가진 독자가 우선 전제돼야 한다.


헤드라인을 통해 관심 없는 분야라고 확인했어도, 읽어 보려는 시도하는 독자여야 한다. 그 독자는 뉴스가 꽤 많은 분량이지만 끝까지 읽겠다는 의지를 갖는다.


그리고 뉴스 전달자가 '시인과 소설가의 기예를 물려받아' 창작의 고통을 통해 작성한 뉴스의 가치를 충분히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독자여야 한다.


이럴 때 알랭 드 보통의 '친절한 뉴스'는 독자에게 읽히고, 새로운 분야에 관심을 가진 새로운 대중이 탄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자신의 개성이 존중받길 원하는 개인이 만들어 가는 이 시대에 관심 없는 것을 참을성을 갖고 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것처럼 보인다.



그럼에도 알랭 드 보통의 '친절한 뉴스'의 가치가 시사하는 바는 크다.


누군가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할 수 있는 힘은 교육에서 나온다. 문제 의식을 가지지 못하고 의지가 없는 성인을 변화시키는 것은 어렵지만, 앞으로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제대로 된 교육을 제공한다면 알랭 드 보통의 '친절한 뉴스'는 대중에게 어필할 수 있는 뉴스의 형태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오랜 기간 축적되어 온 여러 저작들을 인내심을 갖고 읽게 하는 독서 교육, 세상의 여러 가지 일들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토론 교육, 글 속에 숨겨진 가치들을 발견하고 제대로 평가할 수 있게 하는 인문학적 소양 교육, 그리고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쓰고 말할 수 있는 표현 교육. 이것이 '친절한 뉴스'가 대안이 될 수 있는 미래의 독자를 기를 수 있는 방법인 것이다.

현재로서는 알랭 드 보통의 <뉴스의 시대>의 제안에 전제가 되는 독자는 이 시대에 존재하지 않는 독자이다. 물론 독서 토론 교육이 잘 이루어지는 프랑스는 아니라고 반박할 수 있다.


그렇다. 프랑스의 독자들에게 '친절한 뉴스'는 경쟁력 있는 뉴스 형태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2016년 현재 대한민국에 그러한 독자는 '존재하지 않는 독자'인 것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김치녀'는 생각하지 마!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