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라우드소싱 Apr 29. 2024

[아이디어 공모전] 2024 소비자교육 콘텐츠 공모전

2024 소비자교육 콘텐츠 공모전




Q. 한국소비자교육지원센터는 어떤 브랜드인가요?

 한국소비자교육지원센터(KOINCE: Korean INstitute for Consumer Education)는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소비자 교육의 활성화와 정착을 위해 다양한 방면에서 소비자 교육 관련 활동을 지원하는 전문적인 소비자교육 연구 지원기관 입니다. KOINCE는 소비자분야에 관한 국내외 전문가 집단으로 구성된 지식공동체로서, 디지털 시대를 주도하는 자주적 역량을 지닌 소비자를 교육하기 위하여, 국내외 유관기관과의 연계 및 협력을 토대로 소비자교육의 글로벌 네트워크화를 지향하며, 정부(공공단체), 기업 그리고 소비자간의 조화롭고 미래지향적인 관계설정을 지원하고자 있습니다.





Q. 공모전의 상세 내용은 어떻게 되나요?


✅ 공모전 참여하기

   


  [참가 자격]

  - 대학(원)생(휴학생 포함) / 개인 또는 팀별(4인 이내) 참가 가능 ※중복 지원 불가


[공모 주제]

  - 기후변화와 소비자교육

   * 주제는 아래 두 가지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선택 가능

       - 기후변화와 소비자문제

       - 기후변화를 막기 위한 소비자의 노


[시상 내역]

총 상금 1,000만원


[공모 일정]

  - 접 수 : 2024. 5. 17 ~ 2024. 05. 31

  [※ 05월 31일 오후 6시 접수 마감]

  - 결과발표 : 2024. 06. 17.

  (사)한국소비자교육지원센터 홈페이지(www.koince.org)의 공지사항

  - 시상식(예정) : 2024. 06. 28(금) 오후 2시/장소는 추후 공지 예정

  [※ 시상식 참석이 원칙]


[접수 방법]

  - 웹하드(www.webhard.co.kr)의 지정폴더에 ①,②,③을 업로드

  ① 공모 신청서 ② 공모 작품 요약서 ③ 공모 작품

    * 양식 다운로드 및 웹하드 정보는 (사)한국소비자교육지원센터(www.koince.org)의 공지사항을 확인


[심사 방법]

  - 내용의 활용성, 흥미성, 적절성, 창의성 등 4개 항목


[유의사항]

  - 공모작은 타 공모전에 출품되지 않은 순수 창작물이어야 합니다.

  - 주제에서 벗어나거나 지정된 형식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 심사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 응모작 수준이 내부기준에 부합하지 않거나 주제별, 분야별 수준을 감안하여 시상내역이 변경될 수 있으며, 접수 및 심사일정은 내부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수상작에 대한 저작권은 주관측에 귀속되며 홈페이지 게시 및 광고, 홍보(캠페인) 등에 활용 배포할 수 있습니다.

  - 영상 제작 시 배경음악이 있는 경우 음원 저작권에 위배되지 않아야 하며 최종 수상작이 되기 위해선 추후 음원에 대한

     모든 음원 권리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상금은 위 시상내역에서 제세공과금 공제 후 지급됩니다.


[문의]

  - (사)한국소비자교육지원센터 02-887-3230/ koince@koince.org




✅ 공모전 참여하기



라우드소싱이 알려주는
공모전 참여 전, 반드시 알아야 할 Tip 5!



라우드소싱은 ?


기획자, 카피라이터, 디자이너 등 20만 명 이상의 전문가가 이용하고 있는 공모전 플랫폼이에요.

10년 동안 공모전을 개최하고 운영해왔어요.

LG, 삼성 등 대기업부터 통계청, 행정안전부와 같은 공공기관, 중소기업까지

2만 건 이상의 공모전을 진행했답니다.



❗️참여 전 반드시 알아야 할 Tip 5


※어떤 아이디어 공모전이든 주최사에 대한 사전 조사를 반드시 해야 합니다.

주최사의 특성을 이해하고 아이디어의 방향성을 잡아야 수상의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공공기관, 대기업, 재단 등에 따라서도 달라져야 하기 때문이죠.



※네이밍, 슬로건, 문예 부문

주기적으로 개최하는 공모전이라면 이전 수상작을 참고하여 창작해 보세요.

작성 후에 지인에게 읽어보게 한 후에 피드백을 받아 보완하면 아이디어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네이밍과 슬로건은 공모전 중 가장 적은 노력으로 수상이 가능합니다. 공모전 출품 경험이 없다면, 가벼운 공모전부터 시작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경쟁사 분석, 사용할 타깃 파악, 제안한 아이디어에 대한 의미 상세 설명은 필수입니다.



※마케팅, 사업전략, 정책제안, 논문, PT 부문

주최사 성격에 따라 문서 디자인과 레이아웃까지 달라지기 때문에 사전 분석을 꼭 해야 합니다.

ex. 공공기관의 경우 : 디자인보다 아이디어를 뒷받침하는 논리적인 설명, 실현 가능성에 중점을 두어 제작합니다.

ex. 사기업의 경우 : 기업 컬러를 활용한 올드하지 않은 디자인이 중요하고, 시장분석, 창의성에 중점을 두어 제작합니다.



※사진, 광고, 영상, 영화 등 콘텐츠 부문

수상작들이 보통 온라인에 공개되므로, 이전 수상작을 참고해 전체적인 퀄리티나 주최사가 선호하는 콘셉트를 파악해야 합니다.

제작을 위한 장비와 실력이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전문가들이 다수 분포되어 있는 공모전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여러 번 제작하고 출품해 보면서 실력을 키워나가다 보면 수상 가능성이 점진적으로 올라갑니다.

난이도가 높은 편이나, 실무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높아 수상할 경우, 취업이나 관련 직무에 도움 되는 유용한 포트폴리오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아이디어 공모전] 부산MBC전국청소년UCC콘테스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