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lovefund이성수 Mar 04. 2019

당신의 재테크 목표는 무엇인가요?

lovefund(財talk)Best131회

많은 이들이 재테크를 고민하고 연구하고 실천하고 있습니다. 초등학교 학생이 돈을  모으는 것부터해서 사회 초년생, 중장년층, 노년층 등 남녀노소 모두 재테크를 의식중이든, 무의식 중이든 생활화하고 있습니다. 그런데말입니다.  우리가 하고 있는 재테크 그 목표는 과연 무엇일까요? 그 목표를 생각하고  재테크에 임하는 분들은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본 글은   2016년 2월 25일에 작성되었으며, 2019년 3월 4일 재편집한  글입니다.)



ㅇ 막연히 "부자"가 되고 싶다는  생각


돈을 왜 모으고,불리고,지키는 재테크를 왜 하시는지 물어보았을 때 가장 많이 하는  대답은 "부자"가 되기 위해서란 말입니다.

부자가 되기 위해서, 그렇다면 목표 자산은 얼마가 되야할 것 같느냐고 물어본다면  대략적인 금액은 이야기하지만, 자신의 재테크 목표로서 삼고 있는 수치가 아닌 막연히 "이 정도의 자산이면 부자가 아닐까?"라고 바로 떠오르는  수치를 말할 뿐입니다.


막연히 부자가 되기 위해 재테크를 한다는 것은 자칫 저 멀리 구름 사이로 어슴프레  보이는 산을 향해 걸어가는 것과 같습니다. 이러한 막연한 생각은 자칫 내가 원하는 산이 아닌 다른 산으로 가게 할 수도 있고, 제대로된 방향으로  간다하더라도 중간에 지쳐 주저 앉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하기에, 재테크에 목표를 둔다는 것은 자신이 재테크 목표를 위해 무엇을 해야하는지  실천 방향을 구체적으로 만들어줄 수 있습니다.


[긴 재테크 여정에 목표를 두어야...사진참조 :  pixabay]




ㅇ 일단, 초장기 목표를 하나 먼저  그리시고...


사람에 따라 다르겠지만, 초장기 목표를 하나 먼저 설정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이 때 그 목표는 막연히 "부자가 되어야지"가 아니라 구체적인 수치를 가미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초장기 목표는 여러가지가 있겠지요.


"30년 뒤 노후에 재무적인 걱정없는 삶"

"20년 안에 재무적 독립 완성"

등 이외에도 다양한 초장기 목표를 세울 수 있을 것입니다.


그 다음, 초장기 목표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어떤 재테크 성과를 만들어야하는지를  구체적인 수치로 표현하여 보십시요. 

예를들어 20년 안에 재무적 독립 완성이라면, 전체 자산에서 연 3%씩 사용하여도  생활비 최소 연 3000만원씩을 빼서 사용할 수 있는 자산규모를 생각 해 볼 수 있겠지요. 그렇다면 약 10억원의 자산을 완성해야한다는 초장기  목표가 세워집니다. 여기서 10억원이 부동산을 포함한 금액인지, 아니면 10억원의 자산이 부동산 자산을 뺀 유동자산(현금,유가증권 등)만  의미하는 것인지에 따라 목표는 또 다시 달라질 것입니다.

그리고 이 초장기 목표를 완성하기 위한 실천방안을 엑셀로 표를 만들어 그려보시거나,  


미래자산평가액 공식 = 적립액 X ((1+연수익률)^년수 -1) /  연수익률 

매년 적립금의 미래자산평가액 공식으로 미래만들어질 총 금액을 계산하여  보십시요.

[참고 : 엑셀 또는 구글스프레드 시트에서는 미래가치를 계산하는  FV 라는  함수가 있습니다. 사용방법 따옴표 안을 참고하세요. " =FV(수익률,기간,연적립액,기초투자원금,0) " ]


예를들어 매년 1200만원씩(매달 100만원씩) 연 15%수익률로 20년을 꾸준히  쌓아갈 경우 12억 2932만원을 계산할 수 있음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를 활용하여, 내가 초장기적 미래에 목표로 하는 금액을 만들기 위해서  연목표수익률을 얼마로 해야할지 그리고 매년 적립해야할 금액 목표를 확립할 수 있습니다.


만일, 연 10%로 목표수익률을 낮춘다면 매년 1800만원을 적립하였을 때, 20년  뒤 10억원을 넘길 수 있고, 연 5%목표 수익률로 하였을 때는 매년 3000만원씩 적립을 해야만 합니다. 혹은 재무적 독립을 30년 뒤로  늦춘다면 연 5%로 매년 1600만원씩 적립하여 30년 뒤 10억원을 넘길 수 있습니다.


초장기 목표금액, 기간을 통해 목표 수익률을 달성하기 위하여 어떤 자산에  투자해야하는지 시나리오를 만들 수 있으며 그 목표 수익률을 위해 매년 얼마씩 적립 해 가야하는지 구체적인 시나리오가 세워지면서 실천을 위한  방향을 잡을 수 있습니다.



ㅇ 중간 목표를 두는 것도 지치지 않게 하는  방법


재테크가 단 몇년만에 목표에 도달하는 것이 아니다보니 자칫 지쳐버릴 수 있습니다.

그러하기에 중간 중간 목표를 두는 것도 지치지 않게 하는 방법입니다. 그리고 그  목표를 달성하였을 때 본인에게 일정 부분 스스로 공치사를 하십시요.


예를들어, 30년 뒤에 20억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하더라도 30년은 한 세대가  바뀌는 긴 기간입니다. 그래서 중간 중간 목표지점을 두고 상을 주십시요. 중간 목표 1억, 5억, 10억 등 중요 단위를 중간 목표로 두는 것도  방법입니다.

그래서 1억원을 달성했다하면, 전체 자산의 1% 즉 100만원은 내가 하고 싶은 것을  무엇이든 할 수 있게 하는 것도 목표를 달성했을 때 스스로 공치사를 하는 좋은 방법입니다.

만약 중간 목표 5억원을 달성했다면, 사고 싶었던 자동차를 산다거나 혹은 비싼  취미용품을 한번 정도 살 수 있게 본인에게 상을 내린다면 긴 재테크 항해에 지루함을 덜어줄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상을 내리는 방식의 중간목표 외에도

일정 금액이 되면 집을 산다는 중간목표를 둘 수도 있으며

일정 금액이 되면 재테크의 방식을 공격형 투자 방향에서 안정형으로 전환한다거나 하는  투자 방식의 전환을 만드는 것도 중간 목표를 두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ㅇ 마지막으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적어도 매년 적립금은 꼭!  지키시길



[힘들어도 목표를 위한 노력은 계속 이어져야, 사진참조 : pixabay]


목표가 설정되게 되면 매년 적립금을 쌓고, 투자를 통해 수익률을 추구하실 것입니다.  그런데 수익률이란 것은 매년 자신이 원한 수익률을 달성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어떤 해에는 목표수익률보다 훨씬 높게 달성할 수도 있지만, 어떤  시기에는 목표 수익률을 크게 하회할 수도 있습니다. 수익률은 장기적인 결과물이다보니 약간은 피동적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매년  적립해야할 자금은 꼭 생활비를 아껴서라도 꼭 목표 적립액을 완성하십시요. 필자가 강조드리는 재테크의 3원칙 "모으고,불리고,지키기"에서 모으기만 하여도 재테크의 절반은  완성되기 때문입니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부득이한 상황(어쩌면 핑계...)으로 적립액을 만들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생활비를 쓰기 전에 먼저  적립하는 한이 있더라도 모으셔서 최대한 적립해 가셔야만 합니다.  힘든 과정이지만, 단순히 모으기만 하여도 시간이 5년,  10년 흘러갈 수록 그 결과는 삶의 질의 변화로 나타나게  됩니다.

 그리고 재테크의 목표를 두고 실천하여 가기에 차근차근 그 목표를 완성 해 가는 본인  모습을 보며 흐믓함을 느끼시게 될 것입니다. lovefund재토크  129회 글 "나만의 재무제표 작성하고 계신가요?"에서 안내드린 개인 재무제표를 써가시면서 재테크 목표와  함께하신다면 미래 여러분의 재무적 성과는 아무런 목표없이 생활하는 이들과는 전혀 다른 결과를 만들게 될  것입니다.


2019년  3월 4일  월요일

lovefund이성수(CIIA charterHolder, 유니인베스트먼트  대표)

(본 글은   2016년 2월 25일에 작성되었으며, 2019년 3월 4일 재편집한   글입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고급자동차  부러워하다 가랑이 찢어진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