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돈태 Sep 08. 2019

방향성

2019년 8월 20일 / 1회 세미나

 <고양시 노인인구와 치매 관련 통계> <고양시 의회 상황 및 조례 상황> <치매 국가정책> <치매 고양시 정책> <고양시 요양 시설과 요양병원 현황> <고양시 경로당 현황>     


멤버들이 분담해 조사해온 자료 목록이다. 독서모임을 끝내고 행동을 위한 첫걸음으로 실제 현실을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암, 치매 등 질병과 장애 등 간병 대상이 되는 범위가 너무 넓어 정확한 자료 조사가 힘들다는 판단 아래 우선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한 간병으로 범위를 좁혔다.     

 

한 명씩 각자 준비해온 자료를 발제하고 질문을 받았다. 지난 두 번의 독서모임 때보다 활기찬 논의가 오갔다. 멤버들 스스로 직접 준비해온 내용이기에 할 말도, 궁금한 것도 더 많다.   

   

2017년 기준 고양시 인구 104만 1983명 가운데 노인 인구(65세 이상)는 12만 333명(11.55%)이다. 모임의 문제의식이 들어맞는 부분은 이제부터다. 공식적으로 집계된 고양시 내 치매환자는 1만 2399명으로 경기도에서 제일 많다. 치매 환자 한 명이 한 해에 부담하는 진료비는 222만 원이고, 고양시는 치매치료관리비를  1110명에게 지급했다. 1인당 23만 원 수준이다.     


고양시의 지원은 수치로만 보면 턱없이 부족하다. 지원 근거가 부족한 것일까? 고양시의회가 제-개정한 조례 가운데 간병인 지원에 초점을 맞춘 내용을 찾지 못했다. 그나마 ‘고양시 장애인가족 지원 조례안’에서 간병인을 지원하는 내용이 짧게 언급된 것을 확인했다.      


국가 차원의 치매 정책으로는 ‘치매안심센터 운영’을 꼽을 수 있다. 전국에 189개소가 운영 중이고 올해 3월까지 208만여 명이 이용한 것으로 나타난다. 치매안심센터에서 받은 상담 및 진단 등의 내역은 ‘치매노인 등록 관리 시스템’을 통해 관리된다. 건강보험 보장성도 강화되고 있다. 중증치매환자 의료비 부담률이 현재 10%로 내려간 상황이다.      


눈에 띄는 내용은 기저귀 구입비용 지원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는 점이다. 치매환자 가족들은 기저귀 비용으로 월평균 6~10만 원을 부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다. 사소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가족 간병인들의 경제적 부담과 직결되는 문제다. 독서모임을 통해 경제적 부담이 살인으로 이어지는 참담한  현실을 기억해야 한다.      


요양병원과 요양시설은 설치 근거법이 다르다. 요양병원은 국민건강보험법, 요양시설은 노인장기요양법에 의거한다. 고양시 내 요양병원은 30개소, 요양원과 요양센터가 각각 7개씩 있다. 이번 모임을 위해 상당한 수작업도 들어갔다. 고양시 내 경로당은 총 55개 소다. 동네별로 세분화하면 덕양구는 232개, 일산동구 149개, 일산서구 175개다.      

조사해온 자료를 공유한 후 멤버들은 자신들이 생각하는 모임의 목적을 나눴다. 앞으로의 여정에 대략적인 로드맵을 잡아보자는 취지다. 제도 개선, 인식 개선, 정치적 성과, 추후 확장성 등 다양한 키워드가 나왔다. 키워드들은 한 가지 방향성으로 모인다. 마침 故 노회찬 의원의 유고산문에 모임의 방향성과 맥이 닿는 지점이 있어 이곳에 옮긴다.      


<노회찬의 진심 中 p60>

오후 4시 비행기로 광주 송영길 의원 모친상 조문을 가다. 지난 2일 <100분토론>에서 만난 송 의원은 7년간 장기입원 중인 모친 병원비로 가족들이 겪는 어려움을 얘기한 바 있다. 그 모친이 6일 별세한 것이다. 이부영 열린우리당 의장과 함께 온 정장선 의원도 치매, 뇌출혈로 인한 장기입원환자의 경제적 부담에 대한 문제점을 얘기한다. 다들 무상의료의 필요성을 생활 속에서 느끼면서도 현실에서 이를 추진하는 힘은 아직도 적다.



작가의 이전글 의기투합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