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여에스더 Nov 12. 2021

마스크 착용 후 피부 트러블이 생겼다면?

감태추출물(씨놀) 효능

01. 항(抗) 박테리아
02. 여드름 개선
03. 자외선으로부터 피부 세포 보호




안녕하세요. 논문 읽어주는 약사입니다.

최근 사용되기 시작한 ‘Maskne’라는 신조어, 들어보셨나요? 이 신조어는 ‘마스크(Mask)’와 ‘여드름(Acne)’의 합성어로 마스크 착용 후 발생한 피부 트러블을 일컫습니다. 


마스크 내부는 습도가 높아 박테리아가 번식하기 쉽고, 이와 반대로 피부에 접촉하는 마스크 면에 경피 수분을 빼앗겨 피부가 건조해지면서 외부 자극에 취약해집니다.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기에 최적의 조건이라고 할 수 있지요.


그렇다고 마스크를 벗을 수는 없는 이 때, 마스크 속 피부 건강을 위한 천연 항균제를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바로 감태추출물(씨놀)입니다. 




01. 항(抗) 박테리아

감태추출물이 해양유해세균에 대한 강력한 항균활성을 가진다는 보고가 누적되면서, 이 항균활성이 병원균에도 작용하는지가 학계의 초미의 관심사로 부상했습니다.


이러한 관심 속에서, 2002년 Journal of Antimicrobial Chemotherapy에는 감태추출물의 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토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보고했습니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감태추출물이 병원성 박테리아에 대한 살균 활성을 나타냄을 시사한다.”

참고 논문 : Nagayama, K., Iwamura, Y., Shibata, T., Hirayama, I., & Nakamura, T. (2002). Bactericidal activity of phlorotannins from the brown alga Ecklonia kurome. Journal of Antimicrobial Chemotherapy, 50(6), 889-893.


02. 여드름 개선

감태추출물이 해양유해세균 뿐만 아니라 병원균에 대해서도 항균활성이 있다는 보고들이 누적되면서 여드름균과 같은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토하는 연구들도 이어졌습니다.


2014년 Botanical Sciences에는 주요 여드름 균(Pro 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감태추출물의 항균작용을 검토한 연구보고가 발표되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피부 트러블의 개선에 대한 감태추출물의 적용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감태추출물이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어 여드름 방지 화장품 및 의약품의 천연 첨가제로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참고 논문 : Choi, J. S., Lee, K., Lee, B. B., Kim, Y. C., Kim, Y. D., Hong, Y. K., ... & Choi, I. S. (2014).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phlorotannins dieckol and phlorofucofuroeckol-A from Ecklonia cava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Botanical Sciences, 92(3), 425-431.


03. 자외선으로부터 피부 세포 보호

트러블만큼이나 신경쓰이는 것이 바로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이지요. 항균작용과 함께 항산화 작용으로 주목받은 감태추출물인 만큼, 학계에서는 감태추출물이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을 개선할 수 있으리라는 가설이 제기되었습니다.


2014년 Biolog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에는 감태추출물의 다양한 성분들이 자외선(UVB)에 의한 산화스트레스로부터 세포 보호 작용을 수행하는 수준을 검토한 연구보고가 발표되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감태추출물이 UVB로 인한 산화 스트레스로부터 인간 피부의 각질 세포를 보호하여 세포 구성 요소에 대한 손상을 줄인다는 것을 시사한다.”

참고 논문 : Piao, M. J., Lee, N. H., Chae, S., & Hyun, J. W. (2012). Eckol inhibits ultraviolet B-induced cell damage in human keratinocytes via a decrease in oxidative stress. Biolog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35(6), 873-880.




이상으로 학계에서 검증을 거친 감태추출물(씨놀)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마스크는 벗을 수 없는 이 때, 조금 더 신경 써 피부를 관리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언제나 유익한 콘텐츠로 찾아뵙겠습니다.

늘 건강하세요 :)

매거진의 이전글 정말 밝아지나요? 논문으로 알아보는 먹는 백옥주사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