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일 오후, 운전하면서 딸과 짧은 대화.
"엄마, 어제 <그것이 알고 싶다>를 보니까, 우리에게 또 다시 그런 일이 벌어져도 아무도 못 구할 것 같아ㅠㅠ"
"아마 그럴지도 몰라. 위에 보고를 더 많이 해야 하는 상황 같더라ㅎㅎ 그러니, 더 많이 노력하고 교훈을 다시 봐야지. 뭐든 바꿔보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이 있어"
"세월호가 나빴던 거야? 대한민국이 나쁜 거야?"
"어른들이 나빴어. 미안해. 대한민국도 쉽지 않지. 그걸 바로잡는 몫은 어른들도 애 쓰겠지만, 앞으로는 너희들 몫이 될 거야. 도망치는 것도 어려우니, 더 좋은 사회로 만드는 수 밖에."
"세월호 1주기 집회 때 차벽에 물대포? 어떻게 그럴 수가 있어??? 말이 됨?"
"어제 집회는 평화로왔다고 하더라. 경찰도 친절했고. 어제 <그것이 알고 싶다>에도 나오지만.. 나쁜 언론도 있고, 좋은 언론도 있어. 경찰도 좋은 사람도 많고. 공무원도 그래."
"경찰이 나쁘다고 생각하지 않아. 그런데 가끔 수뇌부가 문제인 것 같아"
"오. 딸. 바로 그래. 리더가 중요해." (좋은 리더를 뽑는 것도 중요하고.. 리더가 올바르게 갈 수 있도록 견제도 중요하지..)
정부도 중요하고, 민간도 중요하지만.. 결국 시민사회가 건강하게 잘 움직여야 하고. 언론은 어때야 하며... 딸은 학원에 쏙 들어가면서, 이따가 돌아가는 길에 2교시 하기로. 엄마는 학원 앞 카페에서 대기 중.
어떻게 가르치고 배울 것인가. 세월호 사건을 계기로.. 아이가 사회에 대해 질문하는 법을 배우고 있다. 모녀는 대화 중 도라에몽 탈을 쓴 영석이 아빠 얘기를 하다가.. 둘이 같이 울컥했지만.. 그래도 우리는 이야기를 이어나간다.
세월호를 가르치고 배우는 현장은 정답이 아니라 물음이 중요한 곳이 될 것이다. 길을 잃었던 그 지점에서 다시 만나 같이 고민하면서 새로운 길을 찾는 과정이 될 것이다. 세월호를 가르친다는 것은 단지 세월호의 아픈 기억을 다음 세대에게 고스란히 전달하는 작업이 아니다. 파국적 사건을 기록하고, 이해하고, 그로부터 배움으로써 이 사회를 조금이라도 더 안전하게 만들고 그 구성원의 삶을 조금이라도 더 탄탄하게 만들 수 있는 역량을 키우는 일이다. 이번에도 배우지 못하면 우리는 영영 제자리를 맴돌 것이다.
어젯밤 <그것이 알고 싶다> 가 진짜 대단했다. 우리가 세월호에서 배워야 할 건 정말 많다. 별이 된 아이들은 많은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
그것이 알고싶다. 진짜, 그것이 알고싶다.
여러가지 생각꺼리들.
- 세월호와 국정원의 관계는 그냥 넘어갈 일이 아니구나. 의혹이 양파처럼 까도 까도 또 나온다. 사실 음모론을 좋아하지 않고, 엄청난 음모 가능성을 현재로서는 믿지 않지만. 어떻게 해명 한 마디가 없나. 관리부실한 선박의 든든한 빽인지, 뭔 관계였는지.
- 청와대 관계자가 그 급박한 순간에 보고를 닥달하고, 단 한 명의 인명 피해도 발생하지 말라고 엄명하셨다는 대통령 메시지를 받아적게 하는 장면..
- 그 청와대 관계자의 장탄식은..배가 뒤집히거나 배에 갇힌 사람이 많아서가 아니라 5분전에 대통령에게 보고드린 인원수가 틀려서.
- 추모 정서는 미묘하게 유가족을 탓하는 방향으로 바뀌는데. 이 과정에서 언론은.. 정부와 유가족의 갈등을 집중 보도하고, 피해자들간 편가르기까지 선동. 결국 일부 국민들이 세월호 가족들을 외면하고 악당으로 몰아간 것은 언론.
관련 기사
그래도 이렇게 냉정하고 깊게 보도한 것도 결국 언론. 그것이 알고싶다 팀에 감사와 응원을 보낸다.
세월호와 관련된 그 모든 사람들 중, '내 책임' 이라는 말을 (글이지만) 하신 분은 그때 돌아가신 단원고 교감선생님뿐이다. 절대 잊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