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matgrim May 26. 2020

팬데믹 마스크 착용과 유아의 정서발달

팬데믹 마스크 착용과 유아의 정서발달 연구

위 한 문장, 어쩌면 몇 년 후 아동학 연구집에서 볼 수 있는 논문 타이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

며칠 전에 아이들과 마스크를 쓰고 마트를 방문하는 길에 작고 귀여운 마스크를 쓴 작고 귀여운 두 돌 아기를 보았다. 세상 가장 예쁘고 귀여운 시기. 그 아이를 향해 나는 한껏 미소를 지었으나, 마스크에 선글라스까지 쓴 나의 그 어떤 표정도 몸짓도 그 아이에게 전달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유모차에 기대어 멍한 시선만을 보내던 아기가 낮잠 잘 시간인 탓에 고단한 상태였을 수도 있겠다. 그러나 순간, 아 하는 신음 같은 것이 나를 퉁 치고 지나간다. 저 아기에게 전달되지 못한 낯선 아줌마의 미소. 그렇게 날아가버린 타인의 따뜻한 표정 하나, 이 아이가 볼 기회를 누가 빼앗아 갔는가.

.

누구에게도 잘못을 따지기 힘든 시절. 불확실성의 바이러스가 몰고 온 위협은 우리의 얼굴을 온통 가리게 만들었다. 그렇게라도 당장 저 어린 아기의 생명과 건강을 지켜주어야 하기에 우리는 얼굴을 가렸다. 우선순위의 목록에서 보자면 마땅한 우리의 선택이다. 그리고 우리는 무엇인가의 대가를 치루어야 할지도 모른다는, 신중하고도 깊은 고민도 그 목록에 빠짐없이 올려 두어야 한다.

.

아기는 “낯가림”으로 자신의 존재를 깨닫기 시작한다. 모르는 얼굴에 대한 두려움, 불안, 공포를 경험하며 동시에 안전, 위안, 위로를 학습하도록 우리의 뇌는 세팅이 되어 있다. 만 2살을 전후로 우리의 뇌는 폭발적으로 외부 자극을 수용하여 생존에 필요한 갖가지 정서로 교환한다. 아장아장 걷기 시작할 때부터 전두엽이 제법 자리 잡게 되는 만 10세까지 사회적 경험이 중요하다는 연구는 다시 거론할 필요 없이 당연한 지식이고. 또래 집단과의 교류 마찰 갈등 등을 오감으로 수용하며 작은 사람은 그렇게 ‘성장’한다. 여기에 ‘나’가 아닌 ‘너’, 즉 타인이 나에게 보내오는 각종 정서적 사인(sign)은 더할 나위 없는 보물과 같은 체험이다. 이 경험의 누적 정도에 따라 한 사람이 성인이 된 이후에 가지게 될 정서적 지능이 달라진다. 생물학적 유전 외에 환경적 유전이 중요한 이유다.

.

그런데, 

앞으로도 금방 수그러들 가능성 적다고 점쳐지는 수인성 바이러스, 신종 코로나가 들썩 거리는 시절이 길어질 것으로 보이는 지금. 우리의 내일이 될 유아, 아동의 정서발달에 큰 자극 한 부분이 마스크에 가려질 것으로 보인다. 여러 이유로 아주 어려서부터 어린이집, 보육원 등의 집단생활을 시작하는 아이들일수록 더 많은 마스크 얼굴을 마주할 것이다. 마스크가 완전히 걷히기까지 앞으로 얼마의 시간을 더 보내야 할지 아무도 모른다. 그러나 그 기간만큼, 하루가 다르게 세포분열로 성장 중인 우리 꼬마들은 그만큼 “얼굴과 표정”을 마주할 기회가 그 비율로 줄어든다. 그렇게 성장한 이 아이들의 정서적 발달 상황이 어떠할지 조심스럽게 고민해야 하는 시점이 아닌가 싶다.

.

인간은 생존력이 있다. 우리는 탄력적이다. 분명, 2020년 이후부터 한동안 마스크로 가려진 정서적 자극의 기회를 다소 놓쳤다 하더라도 어떤 식으로는 이 아이들은, 이 세대는 다른 방식으로 이를 극복할지도 모르겠다. 마치 한쪽 뇌가 사라져도 남은 뇌가 스스로를 변형시키며 살아남듯이 말이다. 하지만, 넋 놓고 얼굴 가리고 아기들을 마주하기 전에, 이제 고민해야 한다.

우리 어린아이들에게 웃는 미소를 보내는 일에 대해, 어떤 방법이, 어떤 대처가 가능할지 함께 고민했으면 싶다.

매거진의 이전글 어린이가 사랑받는 곳에는 어린이날이 없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