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신하영 Apr 01. 2020

작가는 어떤 마인드를 가져야 할까.






클래스를 운영하며 가장 중요시하는 것은 작가들의 이야기를 귀 기울여 듣는 것이다. 글을 단순히 쓰는 것도 좋지만 내가 쓴 글을 읽는 것도 글쓰기에 많은 도움이 된다. 목에 힘을 주어 나의 활자를 읽는 행위는 생각보다 두텁고 무시 못할 광경이라고 말하고 싶다. 매주 10명 이상의 작가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나는 각자의 캐릭터에 대한 정보들을 쌓아간다. 그러다 보면 단순한 문장만으로도 그 사람의 감성을 이해할 수 있는데 여기서 오는 기분은 상당히 쾌활하다고 말할 수 있다. 어떠한 이야기들이 귀에 가득 차면 이제는 내 이야기를 꺼내고 싶은 욕망이 가득 찬다. 그래서 작가님들의 이야기를 다 듣고 맨 마지막에 살포시 내 이야기를 꺼내면 그제야 모든 것을 소화한 것 같은 기분이 든다. 


끊임없이 무언갈 쓴다는 건 어쩌면 적금과도 같은 일이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어느 작가는 자신이 과거에 썼던 글을 보고 영감을 받아 새로 글을 적는 경우도 있었고 어떤 작가는 우울할 때마다 과거의 자신이 썼던 글을 본다고 한다. '애틋함'이라는 것을 피부로 느낄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오그라들고 구역질 나오는 감정이 있을 수도 있겠지만 나아진 일상에서 과거의 우울한 나는 보듬어주고 싶은 아주 연약한 존재가 분명했다.

그리고 이러한 행위는 내가 쓰는 글에 대한 자존감을 높여주기에 충분하다. 자존감 높은 사람이 타인에게 매력적이듯 작가의 자존감도 높아야 독자들에게 그것이 비치는 법이다.


이런 말 하기엔 조금 우습지만 나는 내 글을 가장 좋아한다. 이렇게 지질하고 바보 같은 내가 유일하게 어느 것에 몰입하는 게 글이라 어떤 글을 쓸지 모른다는 그 막연한 기대가 재밌게 느껴지는 것이다. 가끔씩 누워 내가 써온 글들을 살펴보면 감탄을 할 때도 있고 손발이 오그라드는 진공상태가 될 때도 있다. 하지만 그건 나를 되돌아보는 과정이었기에 자기 전에 할 수 있는 최고의 행위라고 생각한다. 


출간된 책들은 사실 책을 위해 써진 글들이 아니었다. 물론 암묵적인 목적은 있었지만 나는 그저 하루하루 썼을 뿐이고 그것들을 모은 것뿐이다. 하루하루 솔직한 나의 감정들은 분명 다른 사람들에게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었을 것이다. 그들처럼 나도 매일 변화하는 감정을 매달고 살았기 때문에.


작가는 귀를 열어야만 한다. 영감은 내면에서 오는 경우도 있지만 제삼자를 통해 들어오는 경우가 더 많을 때도 있다. 각자 다른 삶을 살았기에 다른 감정을 가지고 있는 건 가만히 생각해보면 흥미로운 일이 아닐 수가 없다. 마치 배역에 따라 연기를 하는 배우처럼 작가도 갖가지 상황에 몰입을 하여 글을 쓸 줄 알아야 한다. 나의 영혼이 타인의 상황에 들어갔을 때 어떤 기지를 발휘할지. 그것을 기대하며 글을 쓰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굳이 시행착오가 필요할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