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찬승 Oct 20. 2017

의료의 영역을 넘어서는 정신치료의 세계: 인격의 성숙

현재 한국의 정신건강은 정신질환의 유병률과 자살률의 증가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다. 이에 정신건강 증진의 일선에 서있는 최고의 전문가 집단인 정신건강의학과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정신치료에 대한 현행의 비현실적이고 획일적인 저수가 제도는 정신건강의학과 진료 형태를 왜곡시켜서 개인에 대한 충분한 진료와 상담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를 개선하고자 하는 시도는 무엇보다도 국민의 정신건강 증진을 최우선 목표로 하여 현재 활발히 활동 중인 정신치료를 연구, 수련, 실시하는 여러 학파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실질적으로는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일대일로 깊이 있게 분석적 태도와 기법을 적용하여 치료하는 행위’에 대한 가치의 정당성을 인정받아야 한다. 


정신치료는 창안될 당시부터 철저히 두 개인 간의 계약에 기반해서 이루어져 왔다. 이 계약 과정 자체가 치료의 중요한 요소이며, 전체 과정에서 치료적인 인자로 작용한다는 것도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므로, 정신치료를 집단적이고 획일적인 제도하에 두는 것은 학술적으로도, 치료적으로도 부적절하다.  


인간 정신의 심층을 다루는 융 학파의 견지에서 분석대상은 ‘병’이나 ‘환자’가 아닌 한  개인의 존재, ‘그 사람 Person'이다. 분석은 우울증, 불안장애 등의 특정 질병의 치료를 목적으로 하기보다는 분석을 받는 사람의 자기실현을 통해 보다 성숙한 정신성을 획득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는 분석이 정신병리의 범주 안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분석을 받는 피분석자의 전체 인격을 대상으로 함을 의미한다. 


분석은 의학적 치료를 넘어서 그 개인이 자신의 전체가 되도록 무의식을 의식에 동화시키는 작업이다. 이것은 전통적인 체계적 임상진단, 적응증, 금기, 예후 등의 의학적 접근방식을 버리고 철저히 분석대상 개인의 의식, 무의식에 맞추어 개별적으로 접근하는 과정이다. 실제로 신의 본질을 탐구하는 종교인, 창조성을 찾고자 하는 예술가, 삶의 의미를 고민하는 젊은이, 생의 마지막을 준비하는 노인들이 분석을 받고 있다. 이들을 환자로 지칭하거나 분석을 제도적 의료행위로 국한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현행의 법과 제도는 불완전하며 끊임없는 개선이 요구된다. 획일적인 제도는 자율성을 강조하는 정신치료의 영역을 크게 훼손시킬 우려가 있다. 모든 정신치료에 있어서 고유한 존재로서의 개인의 가치를 최우선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2017년 10월에 열린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추계학술대회 토론회 '상담을 원하는 국민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에게 질 높은 상담을 받게 하기 위한 정책'의 강연 초록입니다.



글 _ 정찬승 (융 학파 분석가,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의학박사)

http://www.maumdream.com

[현] 마음드림의원 원장, 울산대학교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외래교수,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재난정신건강위원

[전] 한국분석심리학회 총무이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홍보기획위원, 대한노인정신의학회 평이사

[주요경력] 세계보건기구 서태평양지부 전문가회의 참가, 국제노년신경정신약물학회 젊은 연구자상 수상

매거진의 이전글 나의 분석심리학 입문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