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메이쌤 Dec 03. 2021

오늘 학원 가야 해요?

동네 학원 영어강사로 살아남기 35


나는 계획을 좋아하는 사람이다. 규칙성이 있는 일정을 좋아하고 통제 가능한 변수를 예상하려고 노력한다. 매일, 매주, 매달 의 큰 계획을 세우고 행동하는 것을 선호하는 성향이다. 최근의 코로나 상황은 이런 나를 굉장히 괴롭힌다. 


[A 초등학교 확진자 발생으로 오늘은 휴강입니다. ]


공지가 떨어졌다. 최근 학생들 사이의 확진이 많아지면서 나도 2년 만에 처음으로 코로나 검사를 해야 했다. 정말 집에만 있긴 했나 보다. 이 정도면 잘 버텼다고 생각한다. 시국이 시국이다 보니 확진이 생기고 검사를 하는 것은 문제가 아니다. 문제는 그다음이다.


해당 수업을 취소하면 내일은? 자가 격리가 필요한 선생님과 학생들은? 그럼 다음 주 수업은? 진도는? 


내 머릿속에 제일 먼저 드는 생각을 이런 것들이다. 하지만 코로나 시국에는 통하지 않는다. 우리는 결과를 기다려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도 요즘은 코로나 검사 결과가 하루면 나온다. 다음날 오전이면 결과를 알 수 있으니 오후 계획 정도는 당일에 세울 수 있다. 자가 격리해야 하는 반은 온라인 수업 진행하고, 음성으로 결과 나온 반은 대면 수업 진행한다. 만약 특정 선생님이 자가 격리에 들어가야 하면 그 반 수업은?


상황에 적응해야지 속으로 백 번 외우고, 나는 그냥 기다리는 쪽을 선택했다. 결과가 나오고 생각하자. 


아침부터 학생들의 메시지가 쏟아진다.

[선생님, 오늘 수업해요?]

[쌤, 오늘 학원가요?]

[쌤, 검사 결과 나왔어요! ]





반대 상황을 겪어 봐야 나의 성향을 비로소 알 수 있다고 했나. 나는 규칙적인 것을 좋아 하지만 돌발 상황에 대한 스트레스가 큰 줄은 몰랐다. 예상하지 못하는 뭔 가를 위해 대비하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 생각보다 피곤한 일이라는 걸 깨닫는다.  뜬금없이 아이들의 문자를 보면서 하는 자아 성찰이다. 


계획에 집착하지 않아도, 내가 전전긍긍하지 않아도 일어날 일은 일어난 다는 걸 머리로는 안다. 하지만 쉽사리 내려놓지 못하는 걸 보면 마음을 비우는 연습이 더 필요한 것 같다. 






 


매거진의 이전글 선생님 100점 받았어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