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Movie Critic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MC 워너비 Jul 28. 2023

페미니즘을 만난 바비 인형

<바비> (그레타 거윅, 2023)

<바비>를 봤다. 재미있는 영화였다.


바비는 “바비 인형 같다”는 관용어처럼, 여성에 관한 미적 기준을 획일화한다고 비판받아온 대상화의 상징 같은 존재다. <바비>가 집요하게 파고드는 건 바로 바비 시리즈에 드리워진 대상화다. 마고 로비가 맡은 배역의 이름도 ‘전형적인 바비’이며, 바비 인형을 대표하는 고정관념 그대로의 외양이다. 여성독재 사회 바비월드는 가부장 사회를 비추는 거울상이다. 두 사회를 오가며 성별과 존재에 대한 대상화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신랄한 유머를 전시하는 것이 이 영화의 문법이다.      


이렇듯 대상화를 조소하기 위해 <바비>가 채택한 전략은 스스로 모든 것을 대상화하는 것이다. 무언가에 대한 관념을 이루는 ‘전형적인’ 요소들을 끌고 와 과장하고 비트는 패러디를 통해 현실에서 이뤄지는 대상화의 작위성을 꼬집는다. 그 손가락질은 가부장제도, 맨스플레인 같은 남성 중심적 관습은 물론 페미니즘, 정치적 올바름, 바비 시리즈와 바비 인형을 만드는 회사 마텔까지 겨냥한다. 바비랜드를 여성들의 낙원처럼 묘사하는 내레이션 뒤에 “적어도 그들은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라고 빈정거리는 뉘앙스가 붙으며 바비 시리즈가 정치적 올바름에 입각한 비판에 직면하며 추가해 온 다양성의 실체를 되묻는 식이다. 이런 문법을 통해 남성성을 야유하는 연출을 유머로 뒤트는 안전장치가 마련 됐고, 젠더 이념이란 무거운 소재를 경쾌한 리듬으로 다룰 수 있었다.


그리고 여기에 <바비>가 품은 모순이 있다. 대상화를 통해 대상화를 비판하지만, 정작 그 대상화가 지닌 매력에 의존하며 상업성이 구성된다. 장난감 왕국처럼 아기자기하고 장식적이면서 화려하게 치장된 바비랜드의 미장센은 영화의 가장 큰 볼거리이자 바비 시리즈가 소비자들에게 전통적으로 어필해 온 감성이다. 대상화된 인물과 시추에이션은 관객의 폭소를 끌어내는 코미디 요소로서 짜릿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대상화의 내밀하고 폭력적인 속성을 실감시키진 못한다. 영화는 ‘전형적인 바비’가 바비랜드를 떠나 현실에 투신하며 인형이 아닌 한 사람의 여성으로 살아가기를 택하는 관습적인 여성 성장서사로 막을 내리지만, 관객은 내심 그가 좀 더 바비랜드에 머물고 그 세계가 주는 매력을 더 맛보게 해주길 바랄지도 모른다.  


<바비>는 바비인형 회사의 투자를 받아서 만든 영화다. 그런 한편 바비 인형에서 벗어나는 결말을 제시한다. 그레타 거윅은 <바비> 후속작을 연출할 계획이 없다고 못 박았는데 그럴 만도 하다. 이런 관점의 연출이 이어지는 한 바비들은 2편, 3편에서도 바비랜드를 떠날 것이고 켄과 앨런만 남을 것이다. 바비 시리즈의 명성에 의해 제작돼 시리즈를 홍보하는 영화인 동시에 그와 상충되는 결말을 제시하는 영화란 것. 이 점이 바비랜드와 현실 세계를 잇는 포탈의 균열처럼 영화에 드리운 균열이다. 엔딩 크레디트에서 길게 전시되는 각종 바비 인형 제품들은 소유욕을 일으키는 사랑스러운 모습이며 흡사 영화의 균열을 봉합하기 위해 덧붙인 홍보용 카탈로그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전형적인 바비’는 현실의 여성들을 만나고 그들의 삶의 기억이 머릿속에 흘러 들어오는 경험을 거치며 각성을 이룬다. 이것이 포털의 균열에서 비롯한 결과인 것처럼, <바비>는 대상화의 상징인 바비 시리즈에 균열을 내고 그 안에 페미니즘을 흘려보내는 영화다. 시리즈에 내재한 정치적 비판지점을 스스로 드러내는 연출과 평범한 여성의 삶을 택하는 결말은 바비란 브랜드를 대상화의 혐의 속에서 건져 내는 씻김굿과도 같다. 역시 결말에 이르러 등장하는 루스 핸들러의 유령은 마텔의 창립자이자 바비 인형 발명가로서 영화 속에서 남성 임원들로만 채워진 현 경영진 이면에 있는 마텔의 근본처럼 제시된다. 이런 연출들이 어울려 나오는 상태가 있다면, 여성들이 바비 인형(처럼 대상화된 자신의 외모나 취향)을 애호하거나 그 연장선에서 스스로를 대하더라도 “죄책감”을 갖지 않도록 대상화의 짐을 덜어 주는 것이다. “(바비인형처럼)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다. 그렇다 해도 바비는 바비다”라는 그레타 거윅의 코멘트는 이 영화의 메시지로서, 바비 인형을 통해 여성주의를 논하고 여성주의를 통해 바비 인형을 재구성하는 기획이다.     


<바비>는 훌륭한 부분도 있고 그렇지 못한 부분도 있다. 바비랜드가 재현된 모습은 진귀한 눈요기 거리이고, 대상화와 패러디를 통해 현실을 뒤집는 연출은 재치가 번득이고 전복적 쾌감을 준다. 하지만 모든 것을 대상화하는 그 문법이 이어질수록 메시지의 진의가 유실되지 않도록 보호할 필요가 있었을 것이고, 후반부에서 다소의 신파와 직설적이고 장황한 대사가 나타난다. 이 때문에 후반으로 갈수록 산만하고 균형이 깨지면서 늘어지는 느낌이 든다. 다시 말해, 이 영화에서 잘 된 연출은 페미니즘 자체와 무관하거나 페미니즘 반대편에 있는 대상을 반사하는 대목이고, 잘 되지 않은 연출은 페미니즘을 지지하는 논변을 직접 펴는 대목이다. 그 논변의 내용도 상투적이고 피상적이다.


남성성이 조롱당하는 광경을 ‘유머’로 즐길 수 있는 사람들에겐 <바비>는 재미있고 통쾌한 코메디거나 낮은 레벨에서 페미니즘을 재현하는 영화로 보일 것이다. 그걸 즐길 만한 흉금을 갖지 못한 사람들은 노골적인 ‘페미 영화’로 보이거나 ‘남혐’과 ‘여혐’ 모두 비판하는 ‘휴머니즘’ 영화라고 인지 부조화에 빠질 지도 모르겠다.



매거진의 이전글 한국형 자경주의의 등장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