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ilentMeditator Nov 08. 2024

1930년대 한국 대중음악의 특징(1)

일제강점기와 1930년대 대중음악의 형성 및 대표 곡


1930년대는 일제강점기 아래에서 한국의 대중음악이 뿌리내리고 꽃피기 시작한 시기였습니다. 

그 당시 음악은 어두운 식민지 시대 속에서 민족의 슬픔과 희망을 담아내며 사람들의 마음을 위로했습니다. 

어려운 시절 음악은 그저 즐거움을 넘어 아픔을 나누고 희망을 품게 해주는 소중한 친구 같은 존재였습니다.





1920년대 후반부터 대중음악이 서서히 모습을 드러내더니 1930년대에는 더욱 다양한 장르로 발전했습니다. 

창가와 신민요, 영화 주제가 같은 곡들이 인기를 끌었는데 이들은 전통 민요와 서양 음악이 섞여 색다른 매력을 보여주었습니다. 

특히 신민요는 옛 민요의 멜로디와 이야기를 현대적으로 풀어내어 사람들에게 따뜻한 울림을 주었습니다.





이 시기의 대표적인 노래로는 박태준이 작곡하고 최순애가 작사한 '오빠 생각'이 있습니다. 

이 곡은 독립운동에 헌신했던 오빠를 그리워하며 부른 노래로 많은 사람의 마음을 울렸습니다. 

또 1935년에 발표된 이난영의 '목포의 눈물'은 항구 도시의 쓸쓸함을 노래하면서 그 안에 담긴 민족의 아픔을 상징적으로 표현해 큰 사랑을 받았고 약 5만 장의 음반이 판매되었습니다.





고복수의 '타향살이'도 1934년에 발표되자마자 큰 인기를 얻었습니다. 

이 노래는 고향을 떠나 낯선 곳에서 살아가며 느끼는 외로움과 그리움을 담고 있어 많은 사람의 가슴속에 깊이 자리 잡았습니다. 

그 덕분에 발매 직후 약 5만 장이 판매될 정도로 뜨거운 반응을 이끌어냈습니다.





그 당시, 음악을 만드는 사람들은 단순히 음반을 파는 데 그치지 않았습니다. 

빅터, 태평, 콜롬비아, 포리돌과 같은 외국 음반사들이 활동했지만 우리나라에는 이철이라는 사람이 운영하던 오케레코드도 있었습니다. 

오케레코드는 1933년부터 음반을 내기 시작해 일제강점기가 끝날 때까지 약 1,300종의 음반을 발매했는데 이는 그 당시 한국의 음악 산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습니다. 

이 회사는 콜롬비아 다음으로 큰 규모를 자랑했습니다. 





음반사들은 단순히 음반을 제작하는 것에 머물지 않고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스스로 악극단을 만들어 공연을 하고 신인가수를 뽑기 위한 노래 대회를 열기도 했습니다. 

이런 노력들을 통해서 새로운 음악과 가수가 발굴 되었고 당시 사람들에게 큰 즐거움이 되었습니다. 





1927년에는 경성방송국이 문을 열고 라디오 방송을 시작했습니다. 

이 라디오는 주로 도시의 중산층 가정에서 들을 수 있었지만 음악을 집에서도 들을 수 있게 하여 대중음악이 진정하게 대중들이 들을 수 있는 음악으로 인기를 크게 끌어올렸습니다. 

라디오 덕분에 새로운 음악이 더 널리 퍼지고 사람들은 더욱 쉽게 음악을 즐길 수 있었습니다. 

이전 01화 1920년대 한국 대중가요의 태동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