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미셸 Michelle Feb 04. 2022

02 경쟁 서비스는 어떻게 확인할까

2022 커리어 인사이트 노트 : 마케팅xAI - 미셸의 Job생각 02

* 안녕하세요, 미셸입니다. 본 글 타래는 IT 마케팅, 세일즈, 데이터 분석, AI 스타트업 트렌드를 공부하며 정리하는 인사이트 노트로 테크/스타트업/비즈니스에서 공부 내용들을 간추려 실험적으로 발행하고 있습니다. (추후 카카오 뷰 또는 뉴스레터로 변형 가능)


* 개인적으로 본업이 물론 가장 중요하고, 사이드들도 본업과 시너지를 낼 수 있고, 내야 가장 베스트라고 생각하는데, 실제로 글로벌에서 일부 선도적인 기업들은 시너지를 생각해 사이드를 장려한다고까지 합니다. N잡, 부업, 경제적 자유 등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프로틴 커리어'라는 커리어 트렌드에 따라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이 생겨나는 때에, 개인 비즈니스나 부업을 운영 중이시거나 초기 스타트업을 운영하시는 분들께 특히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






02 경쟁 서비스는 어떻게 확인할까


누울 자리를 보고 다리를 뻗는다는 말은 우리 옛 선조님들이 마케팅을 알고 하신 말씀은 아니었을까? 신규 프로그램이든, 글이든, 영상이든, 앱이든, 강의든, 스마트 스토어든, 신제품이든, 서비스든.. 서비스나 제품으로 세상에 어떤 가치를 더하고 싶다면, 이미 우리의 서비스들과 비슷한 가치를 창출하고 있는 제품들은 어떤 것들이 있을지, 그 제품들이 가진 강점은 무엇이고, 우리 제품은 어떻게 뾰족한 차별 지점을 가져갈지 확인이 필요하다. 그러려면 누울 자리를 알아야 하고, 또 누울 자리에는 다른 어떤 이들이 어떤 모습으로 누워있는지도 잘 살펴야 한다.


1. 누울 자리 보기 = 시장 찾기

2. 다른 누워 있는 이들 살피기 = 경쟁자 찾기


그렇게 누울 자리를 알기 위해 이미 누워 있는 이들부터 살피기가 우선이 될 수 있으니, 2번부터 본다. 프로그램/글/영상/앱 등등.. 무엇이든 제공하고픈 서비스 카테고리를 정했다면, 그 카테고리 안에 핵심 플레이어들은 어떤 플레이어들이 있을지 꼭 확인한다. 이 플레이어들이 있다는 걸 알면, 1번 시장이 있다는 걸 알게 되니 우선 먼 길 돌아 없는 시장부터 만들어야 하는 건 덜 해도 되어서 좋고, 우리 서비스의 차별 지점을 구체화할 수 있어서도 좋다.


다만 1번이 없다면, 글쎄.. 보통 없는 시장을 개척하는 건 에어비앤비, 우버처럼 팀으로 달라붙어 경영사에 획을 긋는, 혁신의 별을 쏘는 규모고, 아직 시장이 없는 데는 보통 복잡하고 해결하기 어려운 구조적인 이유가 있기 쉬우니 있는 시장을 쪼개는 틈새 전략부터가 나을 수 있다. 뭐든 시작할 때는 작은 성공들로 자신감 붙여 가는 것도 중요하니까. (그래도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은 맞다. 때로 복잡한 문제이고, 여럿이 해결해야 하며, 불편함이 많을 수 있는 시장일수록 높은 기회가 있다고들 하니. 단 지금은 제외하고 본다.)


그러려면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Map이 있으면 좋은데, 요즘은 멋진 기자님들, 창작자분들 등이 부지런하셔서 검색만 잘하다 보면 Map을 구할 수 있다. 없으면 직접 엑셀이나 아이패드, 종이에 그리자. 그리고 이때 카테고리 구상조차 어떻게 할지 모르겠으면, 역시 이미 존재하는 맵들의 카테고리를 참고하자. 블로그라면 네이버, 티스토리 안에 카테고리 섹션이 있을 것이고, 제품이라면 온갖 웹/앱 스토어들의 제품 분류가, 서비스라면 서비스 분류 사이트들이 넘치는 친절한 세상이다.



오늘은 스타트업, AI 위주로 생각 중이라,

아래 몇 개 사이트도 같은 결로 추천해 본다.




1. 혁신의 숲 ; 스타트업 성장 분석 데이터 플랫폼

https://innoforest.co.kr/

2. 더 VC ; 스타트업 투자 데이터 베이스

https://thevc.kr/

3. 판다랭크 ; 검색어 기반 가장 잘 팔리는 상품 랭킹 확인 사이트

https://pandarank.net/


4. G2 ; 세계 소프트웨어 데이터 베이스

https://www.g2.com

* 정말 좋아하는 사이트인데, 브런치 문제일까 미리보기가 안 된다.


5. 앱애니 ; 모바일 트렌드, 경쟁 앱 분석 서비스 1

https://www.appannie.com/kr/

* 정말 좋아하는 사이트인데, 브런치 문제일까 미리보기가 안 된다 2.


6. 앱에이프 ; 모바일 트렌드, 경쟁 앱 분석 서비스 2

https://ko.appa.pe


7. 프로덕트 헌트 ; 매일 새로 추가되는 최고의 신규 테크 서비스들

https://www.producthunt.com/


8. 디스 콰이엇 ; 우리나라 메이커들 (개발자&디자이너&기획자 등)의 소셜 링, 서비스 소개 플랫폼

https://disquiet.io/



** 시간이 많다면, 직접 네이버, 구글 신문 기사 뒤져 가며 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도 말리지는 않겠다. 나름의 배움들이 있다.



헌데 나는 AI를 좋아하니 AI Map으로 살펴보겠다.


여러 분야가 눈에 들어온다.


아니 눈에 안 들어온다 ㅠㅠ 알아볼 수 없는 화질ㅠ.ㅠ 지능정보산업협회까지 들어가서 원본을 찾았는데, 기사로 링크되어 원본을 구할 수 없었다; 노여워하지 말아 주시길.. :0


대신 그나마 알아볼 수 있는 작년도 자료를 첨부한다.


앱 서비스들을 확인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은 맵도 있다.



아무튼 지도는 지도고, 우리 서비스는 엑셀이 필요할 수 있다.


나만의 엑셀을 그린다면, 행과 열을 잘 적어서 DB화 하는 게 좋다.


각 행은 당연히 경쟁 서비스들 이름과 각 서비스들의 데이터일 테고, 열은 구분 짓고 싶은 특징이나 중요하게 여기는 수치 데이터인 게 좋다.


예를 들어, AI 서비스고 살펴보는 카테고리가 영상, 음성 인식 카테고리라면, 열은 다음과 같겠다. 경쟁 서비스 이름/한 줄 소개/특징/시리즈 단계/투자 유치 금액/현재 시점 기준 사용자 수 등을 나열할 것이다. 이때 이렇게 펼쳐질 열은 얼마든지 창의적으로 추가할 수 있다. 더불어 목표 지점을 알기 위해서는 투자 유치 금액, 사용자 수 등 목표로 잡을 수치를 구체화해서 적는 게 중요하다.


핀테크 서비스라면 핀테크 서비스들의 직접적인 경쟁 카테고리부터 볼 것이고, 간접적인 경쟁 카테고리가 있다고 생각하면 (넷플릭스, 유튜브, 게임 등 우리 시청각을 모두 유혹하는 요소들까지 생각할 수 있을까?) 간접 경쟁 카테고리도 추가로 행에 추가해 들여다볼 것 같다.


이렇게 적어 나가다 보면, 우리 서비스가 어디에 발을 뻗으면 좋을지 힌트가 정리된다. 속해 있는 카테고리에서 가장 잘하고 있는 다른 기업/제품/서비스들은 뭘 잘하고 있는지도 한눈에 볼 수 있고, 우리 서비스가 후발 주자라면 어디를 얼마나 따라잡는 것을 목표로 할지, 어떤 특장점들은 아직 잘 안 보이니 어떤 특장점부터 제공해주며 시장을 쪼개 들어가기 시작할지도 물론 확인이 가능하다.


중요한 건 한눈에 보기와, 계속 새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는 기록하기 편한 시스템을 만들어주는 것 같다 :) 그러니 적자…!


그래서 이렇게 서비스 뉘일 곳을 찾았다면... 우리 몸도 누이러 가자.



요약 : 시작하고 싶은 서비스는 어떤 카테고리에 속할까? 어떤 경쟁사들과 부대껴야 하고, 어떤 목표를 잡고 있을까? 또 결국 어떤 차별점을 제공해주려고 하는가? 차별점 구체화는 다음 시간에...




** 기타 참고 자료

https://www.linkedin.com/pulse/2022-technology-landscape-make-ai-self-service-uttamchandani-ph-d-?trk=articles_directory



** 추가 자료 : 글로벌 유니콘 스타트업 태블류 매핑 추가 (직접 제작)

(ㅠ.ㅠ 태블류에서는 마우스를 얹으면 밸류에이션 크기까지 나오는데, 이미지/pdf 등으로 다운로드 하면 해당 부분이 되지 않아서 아쉽네요. 원본 로 데이터는 CB 인사이츠 - 7월 자료 기반입니다.)





덧 1. 전 세계 스타트업 DB 이자 AI 스타트업 지도는 데이터 공부하면서 태블류로 만들었었는데, 수정이 필요해 주말에 마저 손봐서 이 안에 다시 추가하겠습니다. > 글로벌 유니콘 스타트업 관련 매핑 상단에 추가 완료


덧 2. 혹시 위 8개 사이트 외에 또 참고하시는 사이트가 있으신가요? 있으시다면 어떤 사이트들이신가요? 말씀 주시면 다른 분들도 보실 수 있도록 이 글에 추가해보겠습니다.



덧 3.

** AI 스타트업, ML+AI 스타트업 트렌드, AI 노코딩 플랫폼, 비상장 투자 등에 관심 있으신 분들이 계시면 작게 5-6명 인원으로 온라인 스터디를 모집하고자 합니다.

핏을 보기 위해 시간 맞춰 대화 나누어요 :D

>> 오픈 카톡으로 질문하기

https://open.kakao.com/me/ysMichelle


** 오늘 글은 어떠셨나요? 어떤 질문/피드백/반응이든 편히 나눠 주셔요. 모두 큰 힘이 됩니다.

소통 환영 ! :)


매거진의 이전글 01 브랜드 이름은 어떻게 정할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