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마일스톤 경제 Jan 08. 2020

이란, 미군기지에 미사일.. 미국은 왜 이란을?

증시 및 환율

오늘 오전, 이란이 이라크 미군 기지에 미사일을 발사했다는 긴급 뉴스들이 떴다.

미국난 3일, 이군 실세인 레이마니 장교 그리고 혁명수비대 사령관을 암살 드론 공격으로 사살하였고...

열 받은 이란이 보복성으로 금일 이라크 미군기지에 수십 개의 미사일을 발사하였다. 피해 정도는 아직 정확한 브리핑이 나오지 않았으며... 트위터를 사랑하는 트럼프는 이후 본인의 계정 "All is well!" 괜찮다며 미국 세계에서 가장 강한 군사력을 지닌 것을 강조하 공식 성명 발표는 내일 오전 하겠다고 게시하였다.

트럼프 트위터 계정글

허나 몇 시간 뒤.. 이란 공영방송에서 미군기지를 공격하여 미군 80여 명이 사망하고 많은 피해를 입혔다는 방송이 나왔으며.. 트럼프 트위터의 내용은 미국이 일부러 아닌 척 감추는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하였다

개인적으로.. 아니 누가 봐도 이란 국민을 의식한.. 들의 작전이 성공한 것처럼 보이 하려는 거짓 뉴스를 내보낸 것으로 생각되지만... (그랬으면 좋겠다) 아직은 미국의 정식 발표가 없었기에 어떤 반응과 답을 할지가 궁금하다.


만일 저 뉴스가 사실이라면 미국이 잠자코 있진 않을 텐데.. 물론 쉽게 전쟁을 일으키진 못하겠지만.. 그냥 넘어갈 미국은 절대 아니기 때문에 신뢰성은 떨어진다.



증시/달러

뉴욕 요 증시들도 이번 이슈로 인해 상승세를 멈추었지만, 생각만큼 시장은 흔들리는 모습이 적었으며.. 금일 S&P500 지수는 0.28% 하락 마감하였다. 

그동안의 상승분을 생각해보면 이러한 이슈에도 시장이 히려 선방하고 있다는 느낌이 강하다..

코스닥 증시 / investing.com

국내 증시는 지난 3일 사건 이후부터 이미 상승을 멈추고 하락세로 돌아섰으며, 오늘 같은 경우는 오전의 속보 뉴스들로 인해 방산 및 석유 관련 주요 종목들 위주로 기사 하나하나에 반응하며 큰 변동성을 주며 상한가를 치기도 하였다... But, 그 외 종목들은 하락을 면치 못하였으며 거의 2,000여 종목이 음봉에 불을 고 코스피와 코스닥은 각각 1%, 3% 이상 하락 마감하였다..


달러는? 며칠 전만 해도 1,150원대까지 진입했었지만.. 금일 1,180원 가까이 올라서게 된다.

글로벌 경제 및 상황이 불안하다 느끼면 안전자산 선호도는 올라간다. 금값 그리고 달러는 약세 후 안정세를 찾아가는 듯했었으나 이번 이슈를 시작으로 다시 방향을 돌아선 것을 알 수 있다.

달러/원 환율 @investing.com

장중에는 불안감 고조로 인한 급등이 나오다 후반에는 좀 더 지켜보자는 움직임이 강해지는 듯 시 떨구며 안정세를 찾아갔지만, 이번 이슈를 통해 다시금 안전자산들이 어떨 때 움직이는지 왜 필요한지 확인해볼 수 있었을 것이다.



미국은 왜 이란을?

중동에 관여하지 않겠다고 했던 미국이 현재 이란과의 이슈가 터진 이유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것이고.. 트럼프의 입장에서는 명분이 있다고 한들.. 경제적 이익 바라보지 않는 행위는 하지 않을 것이다.


물론 이 중에는 중국도 어느 정도는 포함되어 있을터..

중동으로부터 원유 수입을 하는 국가 1위가 중국이다.  미국은 셰일(Shale) 혁명으로 원유 수출국 1위의 자리에 올라서기도 하며 에너지 국가로서도 패권을 다지는데...


중국이 치고 올라오는 것을 싫어하는 미국이.. 원유 경쟁가를 떠나서.. 중동국가를 누르 되면 중국 입장에서그다지 좋을 것이 없다.

대한민국은 미국의 영향으로 2018년에 이미 중동의 원유를 수입하지 않고 있지만.. 중동 석유산업에 투자금 지원도 아끼지 않는 중국이 자꾸 타국가의 점수를 따려 들면 미국 입장에서는 눈에 가시가 될 우려도 있지 않을까..?

이란과 사이가 좋은 중국이 현재 국과 무역 협상 중인 상황에서... 이번 사태에 대해 섣불리 어느 한쪽의 입장을 강하게 옹호하기에는 쉽지 않을 듯하다.


트럼프는 그가 말하는 미국이 잘 사는 나라가 되게 하고자 이러한 요소들을 사전에 견제하고 제거하여 자국의 경제적 이익을 높이려는 목적 또한 상당수 포함되어 있을 것이라 생각되기도 한다..


어쨌든.. 미국이나 이란이나 전면전을 시행하기란 쉽지 않겠지만.. 국제법 위반이나 타국가를 이용하며 피해를 주는 등의 행위 없이.. 좀 더 외교적인 방법으로 해결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미국 증시 산타랠리, 또 사상 최고치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